• 제목/요약/키워드: Bufo bufo gargarizan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1초

Intramuscular Single-dose Toxicity Test of Bufonis venonum Pharmacopuncture in Sprague-Dawley Rats

  • Lee, Kwang-Ho;Sun, Seung-Ho;Yu, Jun-Sang;Kwon, Ki-Rok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1-58
    • /
    • 2015
  • Objectives: Bufonis venonum (BV) is the dried white secretions of the auricular and skin glands of the toads Bufo bufo gargarizans or Bufo melanosticus Schneid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oxicity of intramuscularly-administered Bufonis venonum pharmacopuncture (BVP) and to calculate its approximate lethality through a single-dose test with Sprague-Dawley (SD) rats. Methods: Twenty male and 20 female 6-week-old SD rats were injected intramuscularly with BVP or normal saline.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five female and five male rats per group: the control group injected with normal saline at 0.5 mL/animal, the low-dosage group injected with 0.125 mL/animal of BVP, the medium-dosage group injected with 0.25 mL/animal of BVP and the high-dosage group injected with 0.5 mL/animal of BVP. All injections were in the left thighs of the rats. After administration, we conducted clinical observations everyday and body weight measurements on days 3, 7 and 14 after the injection. We also carried out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on day 15 after treatment. Results: No mortalities were observed in any experimental group. No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that could be attributed to the intramuscular injection of BVP were observed in any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Lethal dose of BVP administered via intramuscular injection in SD rats is over 0.5 mL/animal.

섬소(蟾?)에 관(關)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Bibliographic Studies on the Bufonis Venenum)

  • 강계성;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5-47
    • /
    • 2001
  • Objectives : Through the literatures on the effets of Bufonis Venenum, we are finding out the clinical possibility and revealing the more effective to intractable diseases.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literatures of Oriental Medicine and experimental reports about Bufonis Venenum. Results : 1. Bufonis Venenum is made of bufonidae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or bufo melanostictus schneider of white serum which secreted from parotid gland or dermato gland, and it is dried for using. 2. In oriental medicine, Bufonis Venenum has been mainly used on the tumors, cacanthrax and dermatic disease, and then it has been clinically used on infantile athrepsia, tetanus, sore throat, toothache, and so on. 3.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Bufonis Venenum are cardiotonic, respiration stimulation, depressor or vasopressor, topical anesthcsia, hallucination, striped muscle stimulation, antiasthmatic,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ticancer, diuretic, immuno effects, etc. 4. Bufonis Venenum is largely divided in ether binding steroid compound, hydroxyl steroid compound, carboxyl or aldehyde steroid compound, indole compound, and adrenaline, cholesterole, etc. 5. Symptoms of Bufonis Venenum poisoning in digestive system are vommitig, abdominal pain, diarrhea, dehydration, in circulatory system are palpitation, shock, bradycardia, in nervous system are vertigo, somnolentia, muscle-tendon reflex weakness, and critical conditions to tissue necrosis and heart attack. 6. Ways to treat Bufonis Venenum poisoning include gastric irrigation with $0.2~0.5\%$ potassium permanganate fluid and atropine $0.5{\sim}1.0mg$ subcutaneous injection. From the chinese book of Bon Cho Gang Moke(本草綱目), if white serum of Bufonis Venenum enter the eyes, it happens the edema and pain. And then washed the eyes by juice of Lithospermi Radix(紫草) that the edema is removed. Conclusions and Discussion : The results from above literary studies show that prescriptions and Aqua-acupuncture of Bufonis Venenum could be clinically used to sedative, anticonvulsant,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topical ataralgesia. However it is expected that pharmacological and side effects of Bufonis Venenum are further studied.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지역의 양서.파충류상 (Herpetofauna of Kojedo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1-388
    • /
    • 1999
  • 1998년 5월 3일부터 11월 8일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 중 거제도 일대에서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5과 9종, 파충류는 1목 3과 9종이 관찰되어 덕유산 주왕산 설악산 국립공원 등,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상대적으로 풍부한 결과로 나타났다. 특정야생동물로 도롱뇽, 두꺼비, 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무자치, 능구렁이, 실뱀, 살모사와 까치살모사 등 9종의 양서류 및 파충류를 관찰 및 탐문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종인 황소개구리가 1개 지역에 집중 분포하였는데 국립공원구역에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Multimeric Expression of the Antimicrobial Peptide Buforin II in Escherichia coli by Fusion to a Cysteine-Rich Acidic Peptide

  • Lee, Jae-Hyun;Kim, Jeong-Hyun;Hong, Seung-Suh;Lee, Hyun-Soo;Kim, Sun-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303-310
    • /
    • 1999
  • A cost-effective mass production method for a strong antimicrobial peptide, buforin II, which was isolated from the stomach of Bufo bufo gargarizans, has been developed. This method is based on the neutralization of the positive charge of buforin II by fusion with a cysteine-rich acidic peptide (CAP) to avoid any lethal effect on the host. The neutralized fusion peptide was multimeriz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s tandem repeats to increase the production yield. Multimers of the CAP-buforin II fusion peptide were successfully expressed at high levels in E. coli as inclusion bodies. More than 100mg of pure buforin II was obtained per 11 of E. coli culture after cleaving the multimeric polypeptide with CNBr. The buforin II obtained from the recombinant E. coli had antimicrobial activity identical to that of natural buforin II. The proposed expression system can provide a cost-effective mass production method for both antimicrobial peptides and other host-lethal basic proteins.

  • PDF

한라산 국립공원의 양서.파충류 현황 및 생물지리학적 고찰 (Current Status and Biogeographical Comments of Herpeto-Fauna at Hallasan National Park)

  • 오홍식;장민호;김병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7-112
    • /
    • 2007
  • 한라산 국립공원의 양서 파충류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100고지, 어승생악, 돈내코, 어리목, 영실, 관음사, 성판악 주변을 2006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조사하였다. 한라산 국립공원에서 발견된 양서류는 총 4과 5종, 파충류는 4과 8종이었다. 내륙 지방에서는 개체수가 적은 대륙유혈목이(Amphiesma vibakari ruthveni), 줄장지뱀(Takydronus wolteri), 도마뱀(Scincella vandenburghi), 실뱀(Coluber spinalis), 제주도룡뇽(Hynobius quelpartensis)과 한반도에서는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비바리뱀(Sibynophis chinensis)을 확인하였다. 제주도는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남방한계와 북방한계인 양서 파충류가 서식한다. 제주도의 양서 파충류는 오랜 격리와 기후에 의한 차이를 보이며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또한 기존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만, 서식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두꺼비(Bufo gargarizans), 옴개구리(Rana rugosa), 금개구리(R. plancyi). 무자치(Elaphe rufodorsata), 아무르장지뱀(T. amurensis)의 현황에 대한 연구는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택지개발지구내 양서류 서식처로서 묵논습지의 특성과 기능평가 (Assessment of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s Habitats for the Amphibia within Land Development Districts)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2011
  • The current study analyzed appropriateness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s habitats for the Amphibia by assessing functions and value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within land development districts as a habitat for living creatures and researching into the Amphibia living in the subject distric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esignated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within Hwaseong A District and Pangyo B District under land development as subject lands. Those wetlands went through succession after abandonment of farming. Detail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rom classification of wetland types and an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herbaceous plants such as smartweed communities, horsetail communities and reed communities, and woody plants such as pussy willow communities appeared in both districts. Thes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shows typical characteristics of palustrine wetlands. As a result of a vegetation structure research, it was observed that succession has been progressed for at least over 2~3 years. In assessment of wetland functions by item, it was found that they are developing into fine wetlands in terms of functions because they are ranked over Moderate Class except separate distance from streams. Also from a research into animals living in th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it was found that main inhabitants are Rana nigromaculata,Rana dybowskii, Hyla japonica, Bufo bufo gargarizans, et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re providing appropriate conditions as habitats to the Amphibia in a view that those species have life cycles of inhabitation (shores and wetlands) - egg-laying (rice paddy, puddles and swampy places) - hibernation (rice field banks and swampy places). From this point of view, it was found that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that developed because of abandonment of farming can be used as means to improve structure and functions of habitats.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Anuran Tadpoles in Korea

  • Park, Dae-Sik;Cheong, Seo-Kwan;Sung, Ha-Cheo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5호
    • /
    • pp.425-432
    • /
    • 2006
  • The tadpoles of 12 Korean anuran species, including Bombina orientalis, Bufo gargarizans, B. stejnegeri, Hyla japonica, Kaloula borealis, Rana dybowskii, R. huanrenensis, R. coreana, R. nigromaculata, R. chosenica, R. rugosa, and R. catesbeiana,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 collected eggs or tadpoles of the 12 Korean anuran species from Gangwon, Incheon, Chungcheong, and Gyeonggi districts in 2005 and 2006 breeding seasons. When the tadpoles reached at $27{\sim}37$ Gosner's developmental stages, we describ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dpoles of each anuran species and measured their physical parameters such as total length, body length, and body mass. After that, we chose 1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dentify each species and to use them as classification keys such as eye location, caudal musculature pattern, spiracle location, oral disc morphology, and labial tooth row formula. In this paper, we presented classification key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rawings for the tadpoles of 12 anuran species.

국립공원의 양서류 로드킬 현황 (Roadkill of Amphibians in the Korea National Park)

  • 송재영;김민선;김인수;김태헌;노일;서상원;서은경;서정근;양주영;우경덕;원혁재;이영구;임윤희;한선희;문명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3
    • /
    • 2009
  • 국립공원 내 양서류 로드킬(Roadkill)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24개 노선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목 5과 9종 1,748개체가 차량에 의해 로드킬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년차별 비교결과 2006년에 비해 2007년, 2008년에 로드킬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월부터 6월 사이에 북방산개구리, 두꺼비, 물두꺼비가 집중적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하천" 및 "산림-산림" 환경에서 교통사고가 집중 발생하였고, 덕유산국립공원 국도 37호선, 속리산국립공원 지방도 517호선, 오대산국립공원 국도 6호선, 월악산국립공원 지방도 597호선 등 총4개 노선에서 집중적으로 로드킬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의 주요 로드킬 대상종이 북방산개구리와 물두꺼비로 확인됨에 따라서 이들 종에 대한 저감대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광휴양지 개발이 양서.파충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 - 민주지산 일대의 양서ㆍ파충류를 중심으로 - (Amphibia and Reptilia Fauna by Sport and Leisure Complex - Amphibia and Reptilia Fauna in Minjujisan Area, Korea -)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8-73
    • /
    • 1994
  • 최근 일부 계층의 오락을 위한 자연환경 파괴 행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충청북도와 충청북도 영동군은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소재의 물한계곡의 자연생태계 6,000,000평방미터에 스키장, 골프장, 콘도미니엄 등의 대규모 휴양시설을 건설하려는 주식회사 동신레져의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이 지역 생물종의 심각한 감소가 우려된다. 본 연구는 대규모 위락시설 개발로 결과될 동물생태계 황폐화를 예견하고 그에 따른 경각심을 촉구하고자 현재까지 잘 보존된 민주지산 물한계곡 일대 의 양서ㆍ파충류상을 선행 조사하여 수행하였다. 1994년 6월 24일에서 6월 25일에 걸쳐 민주지산 물한계곡에서 관찰된 양서류는 2목 5과 8종, 파충류는 1목 2과 5종으로 한국 대부분의 국립공원과 유사한 정도로 다양한 양서 파충류상을 나타내었다. 관찰된 8종의 양서류 중4종(도롱뇽, 꼬리치레도롱뇽, 두꺼비, 북방산개구리), 파충류 5종 중 3종(무자치, 능구렁이, 까치살모사)이 특정 야생동물로, 보호대상종의 빈도가 높아 민주지산의 보존가치는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민주지산 일대는 덕유산국립 공원 지역과 함께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연결하는 생물지리 항상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은 곳이다. 덕유산국립공원 구역의 무주리조트, 스키장 건설 등으로 이미 자연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는 이때 민주지산의 대규모 위락시설의 건설 계획은 마땅히 철회되어야 한다. 민주지산의 자연생태계 보존으로 양서 파충류의 보존과 함께 동식물의 이동로를 보존해야 할 것이다.

  • PDF

도시 습지 자연생태계 변화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서울시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Change and Management in Urban Wetland - Focusing on the Dunchon-Dong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Seoul -)

  • 한봉호;박석철;김종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는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습지 복원 전·후 생물다양성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주변 도시개발 변화에 맞는 습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 생물종을 정밀조사하고, 보전지역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위협요인을 파악·분석하였다. 둔촌동 습지 주변 지역은 과거 산림과 논이었던 지역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일부 배후 산림은 남아있었다. 식물상 변화를 살펴보면, 복원 전 2000년에는 총 193종류이었다가 복원 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종수가 줄었다가 2019년 현재 총 149종류로 다시 증가하였다. 복원 전·후 출현종을 비교한 결과, 숲 속 습한 습지지역에서 생육하는 왕비늘사초(Carex maximowiczii), 삿갓사초(Carex dispalata)와 습지 내 얕은 물이 유지되는 지역에서 생육하는 올챙이고랭이(Schoenoplectiella juncoides), 큰고랭이(Schoenoplectus tabernaemontani) 등 사초과 초본이 증가하였다. 습지 식생유형별 면적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복원 이후 습지자생초본이 가장 높은 비율로 세력을 형성하였다. 습지자생초본의 세력 변화는 26.6%(2000) → 44.6%(2002) → 49.0%(2005) → 53.3%(2007) → 28.7%(2010) → 37.3%(2019)로 증가세를 보이다 2010년에 크게 감소 후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10년 이후 변화는 습지 내 개방수면 확보와 담수지 내 유기물 제거를 위한 전면적인 식생관리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자생목본은 복원 후 오리나무(Alnus japonica) 치수가 출현하여 세력을 1.6%(2005) → 6.3%(2007) → 14.8%(2010) → 21.9%(2019)로 계속 확대되고 있었다. 양서류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모니터링 결과 도롱뇽(Hynobius leechii), 두꺼비(Bufo gargarizans), 맹꽁이(Kaloula borealis), 큰산개구리(Rana uenoi) 등 총 9종이다. 둔촌동 습지의 양서류는 귀화식물 및 자생식물 관리와 담수지 개방수면 확보를 통해 두꺼비, 도롱뇽, 큰산개구리 등 산림을 기반으로 하며 습지에서 서식하는 양서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야생조류 종다양도 지수는 복원 전 종다양도 지수는 2000년 0.9922, 복원 후 종다양도 지수는 2005년 1.2449, 2010년 1.2467, 2019년 2.2631로 복원 후 수치가 증가하였다.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 보전 관리는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공사 영향 최소화, 습지 인접 무분별한 접근로 정비 및 습지 주 진입부 입구 정비를 제시하였다. 생태계 복원 관리에서는 공사 펜스 철거 시 체계적인 생태 복원 및 완충식재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