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ckwheat-green te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메밀녹차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uckwheat-Green Tea)

  • 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11-1114
    • /
    • 2007
  •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메밀을 고소하게 볶은 시판 메밀차를 중급 정도의 녹차에 혼합하여 메밀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이 있는 향기 성분을 동시증류추출(SDE)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메밀차와 녹차를 1:1로 혼합한 메밀녹차의 향기성분으로 42종류를 동정하였다. 메밀녹차에는 메밀차의 향기성분 23종류와 녹차의 향기 성분 16종류 및 공통으로 포함된 3종류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메밀녹차의 향기성분으로는 15종류의 pyrazine류를 동정하였다. 이는 메밀녹차의 향기 성분 중 약 32%를 차지하는 비율이었다. 메밀녹차의 향기 성분은 본래 녹차가 가지고 있는 향에 구수하고 달콤한 향을 띄는 볶음 메밀의 향기성분들이 부여되어 생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녹차는 중급 정도에 해당되는 덖음차로 고급녹차에 많았든 linalool이나 geraniol은 적은 함량 포함되어 있었으나 녹차향에 기여하는 꽃향기를 띄는 nerolidol의 함량은 많았으며 nonanal, 2-phenylethanol, cis-jasmone, indole 및 ${\beta}-ionone$ 등도 함유되어 있었다. 복은 향의 중요성분으로는 roasted flavor인 pyrazine류와 pyrrole류, 달콤한 향을 띄는 methylbutanal류와 furan류 등으로 밝혀졌다. 특히, pyrazine류는 종류도 많고 함량도 메밀차 전체 면적의 56%로서 녹차에 혼합되었을 때 메밀녹차의 고소한 향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메밀, 포도잎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대사, TBARS 및 혈액응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ve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Activity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김영언;오세욱;권은경;한대석;김인호;이창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79-98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Sprague Dawley 종 수컷 흰쥐에게 콜레스테롤이 1% 함유된 사료를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키면서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포도잎추출물 추출물을 500 mg/kg B.W.의 농도로 4주간 매일 같은 시각에 경구투여하여 흰쥐의 혈액과 간장 내의 지질조성과 혈액응고기전 및 체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군에서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실험식이가 정상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녹차추출물투여군은 고콜레스테롤 급여 대조군에 비해서 흰쥐의 꼬리에서의 출혈시간을 증가시켜서 항혈전효과가 있었다. 고콜레스테롤 급여로 인해 흰쥐에게 고지혈증이 유발되었으며 실험 시료를 경구투여하는데 따른 혈액중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없었다. 고콜레스테롤 급여로 흰쥐의 간장은 비대해지고 간장내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포도잎추출물은 간장 내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켜 간장 내 지질대사의 개선효과가 있었다. 고콜레스테롤의 급여는 혈장 내의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포도잎추출물은 체내 지질과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간에서는 메밀과 포도잎추출물이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Phenolic plant extracts are additive in their effects against in vitro ruminal methane and ammonia formation

  • Sinz, Susanne;Marquardt, Svenja;Soliva, Carla R.;Braun, Ueli;Liesegang, Annette;Kreuzer,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966-976
    • /
    • 2019
  • Objective: The methane mitigating potential of various plant-based polyphenol sources is known, but effects of combinations have rarely been tes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binary and 3-way combinations of such phenol sources affect ruminal fermentation less, similar or more intensively than separate applications. Methods: The extracts used were from Acacia mearnsii bark (acacia), Vitis vinifera (grape) seed, Camellia sinensis leaves (green tea), Uncaria gambir leaves (gambier), Vaccinium macrocarpon berries (cranberry), Fagopyrum esculentum seed (buckwheat), and Ginkgo biloba leaves (ginkgo). All extracts were tested using the Hohenheim gas test. This was done alone at 5% of dry matter (DM). Acacia was also combined with all other single extracts at 5% of DM each, and with two other phenol sources (all possible combinations) at 2.5%+2.5% of DM. Results: Methane formation was reduced by 7% to 9% by acacia, grape seed and green tea and, in addition, by most extract combinations with acacia. Grape seed and green tea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cacia also reduced methane proportion of total gas to the same degree. The extracts of buckwheat and gingko were poor in phenols and promoted ruminal fermentation. All treatments except green tea alone lowered ammonia concentration by up to 23%, and the binary combinations were more effective as acacia alone. With three extracts, linear effects were found with total gas and methane formation, while with ammonia and other traits linear effects were rare.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methane and ammonia mitigating potential of various phenolic plant extracts and showed a number of additive and some non-linear effects of combinations of extracts. Further studies, especially in live animals, should concentrate on combinations of extracts from grape seed, green tea leaves Land acacia bark and determine the ideal dosages of such combinations for the purpose of methane mitigation.

녹차, 메밀 및 포도잎 추출물 첨가식이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급여한 F1B Golden Syrian 햄스터의 지질대사와 대동맥의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s Included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f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on Regression of Fatty Streak Lesions in F1B Golden Syrian Hamsters Fed the Atherogenic Diet)

  • 김영언;권은경;오세욱;한대석;김인호;이창호;이호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2-969
    • /
    • 2005
  • 7주령의 F1B golden Syrian 햄스터에게 동맥경화 유발식이에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및 포도잎 추출물을 함유한 타블렛 제품을 각각 5%와 10%로 첨가하여 7주간 사육하였을 때 햄스터 체내의 지질성분과 대동맥 내에서의 지방의 축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녹차, 메밀, 포도잎 추출물을 함유한 타블렛 제품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섭취하는 햄스터의 혈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켰고, 대동맥궁내에서의 지방의 축적을 예방하였고, 간장내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를 첨가한 군보다 10%를 첨가한 군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녹차, 메밀 및 포도잎 추출물 분말을 이용하여 식이 보조제의 형태로 개발한 타블렛 제품이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식품으로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류에 존재하는 잔류농약 노출 안전성 평가 (The Exposure Risk Assessment of Residual Pesticides in Tea)

  • 김재관;오문석;김기유;김영수;손미희;배호정;강충원;박용복;윤미혜;이정복;정주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8-35
    • /
    • 2011
  • 안산 및 수원시에서 유통 중인 다류 19품목(감잎차, 국화차, 녹차, 라벤더차, 로즈마리차, 민들레차, 보이차, 뽕잎차, 수국차, 자스민차, 나미향차(찹쌀차), 메밀차, 쑥차, 연화차, 오룡차, 용정차, 장미차, 철관음차, 화과차)을 대상으로 218종의 농약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65건 중 19건에서 15종(bifenthrin, bromopropylate, chlorpyrifos, cyhalothrin, cypermethrin, chlorfenapyr, dicofol, endosulfan, fenpropathrin, fludioxonil, fenvalerate, iprobenfos, isoprothiolane, tetradifon, triazophos)의 농약이 검출돼 23.1%의 검출률을 나타냈다. 검출된 농약의 잔류량은 0.01~1.24 mg/kg으로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이하로 나타났으나 보이차(2006 년산) 1건에서 bifenthrin이 기준치(0.3 mg/kg)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농약 15종에 대한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EDI/ADI 값은 0.0001~0.0844%로 나타나 다류에 존재하는 잔류농약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외식업소 음용수의 위생실태와 침출재료에 따른 기호성과 저장성 (Hygienic Quality of Drinking Water Served in Restaura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nking Water Boiled with Various Plant Materials)

  • 안유복;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9-164
    • /
    • 2007
  • 대구근교 외식업체 25곳의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는 음용수의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약 60%가 총균수의 허용한도는 100 CFU/mL를 초과하였으며, 외식업체를 경영하는 CEO 50명을 대상으로 음용수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음용수에 대한 위생의식은 매우 부족하였다.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메밀, 둥굴레, 캐모마일, 현미녹차, 페파민트를 사용하여 제조한 음용수의 색, 맛, 향, 종합적기호도는 생수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호성이 증가하였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둥굴레차가 가장 좋았으며, 옥수수차, 결명자 차, 보리차 순으로 양호하였다. 시판 현미녹차, 둥굴레차,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차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제조하여 플라스틱 물병에 분주하여 $10^{\circ}C$$25^{\circ}C$에 저장하면서 총균수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10^{\circ}C$에서 대조구는 저장 4일 이후 $10^2 CFU/mL$이상을 나타내어 음용수로서 부적절하였으며, 현미녹차, 둥굴레차, 결명차, 옥수수차는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의 증가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5^{\circ}C$에 저장한 경우 대조구는 저장 2일 이후 $10^2 CFU/mL$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옥수수차, 둥굴레차, 보리차, 결명차에서 오히려 미생물의 성장이 촉진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현미녹차의 경우 전 저장기간 동안 생균수의 증가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Strategies of Functional Food for Cancer Prevention in Human Beings

  • Zeng, Ya-Wen;Yang, Jia-Zheng;Pu, Xiao-Ying;Du, Juan;Yang, Tao;Yang, Shu-Ming;Zhu, Wei-Hu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1585-1592
    • /
    • 2013
  •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is one of this century's key global challenges. Cancer is not only the first or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across the world, but also has die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difiable risk factors. Major dietary factors now known to promote cancer development are polished grain foods and low intake of fresh vegetables, with general importance for an unhealthy lifestyle and obesity. The strategies of cancer prevention in human being are increased consumption of functional foods like whole grains (brown rice, barley, and buckwheat) and by-products, as well some vegetables (bitter melon, garlic, onions, broccoli, and cabbage) and mushrooms (boletes and Tricholoma matsutake). In addition some beverages (green tea and coffee) may be protective. Southwest China (especially Yunnan Province) is a geographical area where functional crop produ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s of human evolution with implications for anticancer i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