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preference

검색결과 536건 처리시간 0.024초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Containing Cordyceps militaris

  • Lee, Tae Ho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39-39
    • /
    • 2016
  • There is a growing consumer preference for self-medicat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growth of the Korean functional food market to \1.5 trillion in 2014. Functional foods that can modulate immune responses and enhance liver health are in the top 2 product-specific health functional food categories. The aim of this project was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new health functional foods incorporated with Cordyceps militaris. Cordyceps genus includes about 400 species, many of which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for many years in Asian countries. C. militaris belongs to the class Ascomycetes and has been used extensively as a crude drug and tonic food in East Asia. Owing to the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its main active constituent, cordyceptin, C. militaris is currently being used for multiple medicinal purposes. Recently, many studies have tried to elucidate the pharmac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activities of Cordyceps spp., which include immune activation,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antiviral effects. After continuous attempts and research toward industrialization, C. militaris cultivated using brown rice was developed into a product by a standardized process and mass-cultivating system. It was successfully introduced into the market and was approved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ased on this information, C. militaris containing functional food product for strengthening the immune system was released in August 2014 under the brand name "Dongchoong Ilgi." Dongchoong Ilgi is potentially beneficial for improving immune and liver functions and may enhance both the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of health functional foods taken by healthy people and patients with minor illness. In addition, the results of our study may be applicabl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s that could lower the risk of diseases such as the common cold and cancer.

  • PDF

의복, 배경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제2보) (A Study on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combination of 'Clothing and Ground')

  • 주소현;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6-20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Picture image combination of Clothing and Ground.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1) For the visual evaluation of the Picture image as Clothing vari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2) For the visual evaluation of the Picture image as Ground vari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ractiveness Hardness and softness Cuteness Attention Cool and Warm factor 3) For the visual evaluation of the Picture image as Percentage of Cloth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ractiveness cool and Warm factor. It will Percentage of Cloth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ractiveness Cool and Warm factor. It will aid in choosing the most beneficial background for any clothing brand. It will enhance the picture images to their full potential in any advertising medium 4)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mage effecting on " Preference" is refined-country like harmonious-inharmonious comfortable-uncomfortable beautiful-ugly splendid-dull stable-uneasy live-gentle 5) For the Image effecting on "Harmony" according to clothing im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background are as follows. Mdern and strong images formed charming urban and cool visual images with urban and neat artificial backgrounds. Mature images were created with romantic and static artificial backgrounds. Mannish straight and conservative images created charming and rigid visual images in urban and formatted artificial background. Using a white natural background for the urban style created a cool visual image. The use of an interior background lead to warmer images and more defination lines Causal images created a rural and warm image which expressed charm and a soft visual while using a rural and natural background. A most unharmonious and hard image was created when using an urban and formatted artificial background. The coolest visual image was created with a cool and natural background. Feminine and flawless images created urban and neat visual image using an urban and formatted artificial background. The coolest visual image was fresh created with a cool and natural background. natural background.

  • PDF

백화점 소비자의 의복쇼핑 성향과 점포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Store Choice Criteria on Department stores Consumers)

  • 차인숙;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4-29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n Department stores consumers and to compare consumer characteristics among shopper types and department store types. For this purpose an ethnographic approach which is a kind of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irst. And th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00 female consumers over twenties and residing in Pusan Finally 499 data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1. The result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study were as follows :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hose who patronize department stores were recreational/convenience shoppers. From quantitative analysi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were factor analyzed. which resulted in eight factors ; Recreational Shopping Convenience Shopping. Sensibility Seeking Well-Known Brand Preference Fashion Seeking Economic Shopping Sel-confidence in clothing shopping Convenient store shopping. 2. The results of store choice criteria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ncentrative observation eight store choice criteria dimensions were categorized : Service Store Atmosphere Promotion/Facilities Product Convenience Advertisement VMD Traffic/Location Convenience. From quantitative analysis eight store choice criteria factors emerged; Service Store Atmosphere Promotion/Facilities Assortment Shopping Convenience Advertisement VMD Traffic/Location Convenience. 3. According to the factor scores of recreational shopping and Convenience shopping consumers were segmented into four shopper types ; High Shopping-involved Shopper Recreational Shopper Convenience Shopper and Low Shopping-involved Shopper. Department types were divided into a large enterprise department stores and local department stores.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store choice criteria purchase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opper types and department store ty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tore choice criteria.

  • PDF

포장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의 미각 이미지 판단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캔 맥주 포장의 색채와 패턴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ackaging Visual Elements on the Consumers' Taste Image Judgment - Take the colors and patterns of canned beer as an Example -)

  • 유원;오용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449-1460
    • /
    • 2021
  • The visual design elements of packaging play an vital role in attracting consumers' attention, forming their sense of pleasure and sensory expectations, as well as having an important impact on the actual product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e colors and textures in the packaging design elements of canned beer will affect consumers' senses, judgments and taste perception of canned beer. Participants in Survey I (N=193) evaluated their expectations for beer freshness, softness, bitterness and alcohol content by observing the packaging of canned beer, then recorded whether they could get the expected experience when tasting beer, and evaluated thei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Survey II, 4 kind of colors and 2 types of texture shapes were applied, and all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the same beer for multivariate cross contract analysis to evaluate the specific impact of color and texture of packaging design elements on consumers' tast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ensory judgment and taste perception.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olors and textures had a significant affect on the sensory expectation (pre-tasting score) of canned beer, but their effects on the sensory score after tasting (actual perception)were inobvious.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color, texture and shape on taste perception shows that when the expected packaging appearance perception is similar to the actual drinking perception (i.e., straight line and B/G or arc line and Y/R), it is more likely to obtain consumers' favor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evaluation than the inconsistent canned beer packaging (i.e., straight line and Y/R and arc line and B/G). This paper discusses the influence of these results on the packaging design of canned beer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brand efficiency by meeting the visual elements of packaging design expected by consumers.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검색어 분석을 통한 선호도 융합 분석 : 구글트렌드를 이용하여 (Analysis of preference convergence by analyzing search words for oralcare products : Using the Google trend)

  • 문경희;김장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59-64
    • /
    • 2019
  • 본 연구는 구강관리용품 중 가장 대표적인 칫솔과 치약에서 이용자가 얻고자 하는 관련검색어를 통하여 이용자가 기대하는 선택정보를 구글 트렌드를 활용, 분석하여 이를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글 트렌드에서 제공하는 최초 시점인 2006년부터 2018년 현재(9월)까지의 시기에서 영문 Toothbrush와 Toothpaste를 검색한 뒤 인기순으로 정렬하여 노출되는 관련 검색어 각 25개 총325개의 검색어를 연도별로 수집하였다. 그 후 이용자가 기대하는 검색기능을 파악하는 검색어 세부분석방법과 빅데이터 프로그램 넷마이너를 활용한 단어 네트워크 분석의 두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 세계적으로 Toothbrush에 대하여 브랜드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았으며 Toothpaste에 대하여 치약의 기능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았다. 이를 통해 구강교육의 동기부여를 높이기 위해 칫솔은 브랜드, 치약은 치약의 기능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고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흥미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판단된다.

여성 피트니스웨어 색채 분석 -2017 SS시즌을 중심으로- (Analysis of Women's Fitness Wear Colors -Focused on 2017 S/S-)

  • 김리라;주미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2호
    • /
    • pp.110-123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female fitnesswear by analyzing the status of color usage and color arrangement method of each item of female fitnesswear of sports brands. This study targeted eight global total sportswear brands. A total of 2956 colors of female sportswea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homepage of each br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or of fitnesswear, first, the overall color of the fitnesswear showed high distribution centered on PB, Bk and R of low color tone, such as p and dkg. Moreover, bright tone colors were added for vitality and functional image of spor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or of each item, commonly, the PB, Bk and R had large proportion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2-color arrangements of fitnesswear, color arrangements including achromatic color had overwhelmingly higher frequency than color arrangements that had only chromatic colors. This shows that the color arrangement using achromatic color is important and has a higher preference. Fourth,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color arrangement as color chip and comparing, the 2-color arrangement of female fitnesswear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arrangement of large area main color and small amounts of emphasized color centered on achromatic colors of Bk and W.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color planning of fitnesswear brands by subdividing female fitnesswear into 4 items and analyzing the color-tone and arrangement.

가정편의식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평가 연구 (A Study on User Evaluation about Package Design of Home Meal Replacement)

  • 양근영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49-60
    • /
    • 2019
  •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 및 개인핵가족사회에 진입하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가정편의식 제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가정편의식 이론적 고찰로서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조사를 하였다. 둘째, 디자인 조사로서 가정편의식 디자인 사례 분류를 하였다. 셋째, 실제 사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 및 감성평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품 디자인 감성평가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 3개의 대표 요인으로 분류되어졌다. 1요인은 "형태적 감성", 2요인은 "기능적 감성", 3요인은 "심리적 감성"으로 연구자에 의한 대표 감성언어 명칭을 3가지로 부여하였다. 가정편의식 패키지 디자인으로 다음과 같이 제작되어져야할 것이다. 첫째, 용기를 들때 대부분 비닐용기로 되어져있어 미끄러지고 떨어뜨리기 쉽기 때문에 용기에 그립감을 주어 잘 떨어뜨리지 않게 한다. 둘째, 손목이나 손가락 힘이 약한 고령자를 위하여 쉽게 뜯을 수 있게 제작 한다. 또한, 색상과 관련하여 차가운 한색계열 색상보다는 따뜻한 난색 계열색상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국내 대형마트의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 구매 소비자의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onsumer Purchasing Private Brand Products at Large-Scale Mart)

  • 황성혁;이정희;노은정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4호
    • /
    • pp.1-19
    • /
    • 2010
  • 최근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유통업자브랜드(PB) 상품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형마트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입할 때 PB를 또 하나의 고려 상표군으로 인식하길 바라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여전히 PB상품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이다. 즉 소비자마다 각기 다른 평가를 내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B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PB상품 개발과 판매에 있어 마케팅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있는 소비자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PB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결혼여부, 소득수준, 거주지역이 PB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매특성으로는 대형마트 방문 빈도가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혼자보다 기혼자가 PB상품을 구입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나, DM(Direct Mail)발송이나 핸드폰 SMS(Short Message Service) 발송 등 PB상품 판촉활동의 타겟팅에 있어 기혼자에 대한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득수준과 관련해서는 고소득계층보다 중산층(월소득 301~600만원) 소비자들이, 서울지역보다는 지방 거주 소비자들이 PB상품 구매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특성은 가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소비자를 위한 추가 증정, 사은품 지급, 1+1행사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대형마트 방문 빈도가 월 2회 증가할 경우, PB상품을 구매할 확률이 5.3%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내점빈도를 높일 수 있는 재미있는 매장 만들기, 찾아오는 서비스 등 다양한 집객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PB상품이 단지 가격이 저렴한 일회성 구매 상품이라는 한계를 넘어 NB상품처럼 상품에 대한 로열티를 높이고 지속적 구매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PB상품을 다른 제조업체 브랜드처럼 카테고리 내에서 하나의 고려 상품군(consideration commodity set)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잠재 토픽 기반의 제품 평판 마이닝 (Latent topics-based product reputation mining)

  • 박상민;온병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2호
    • /
    • pp.39-70
    • /
    • 2017
  • 최근 여론조사 분야에서 데이터에 기반을 둔 분석 기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업에서는 최근 출시된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기존의 설문조사나 전문가의 의견을 단순 취합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제품에 대한 대중의 기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필요로 한다. 기존의 주요 방안에서는 먼저 해당 분야에 대한 감성사전을 구축한다. 전문가들은 수집된 텍스트 문서들로부터 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정리하여 긍정, 부정, 중립을 판단한다. 특정 제품의 선호를 판별하기 위해, 제품에 대한 사용 후기 글을 수집하여 문장을 추출하고, 감성사전을 이용하여 문장들의 긍정, 부정, 중립을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긍정과 부정인 문장의 개수를 통해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품에 대한 긍 부정 내용을 자동으로 요약하여 제공한다. 이것은 문장들의 감성점수를 산출하여, 긍정과 부정점수가 높은 문장들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중이 생산한 문서 속에 숨겨져 있는 토픽을 추출하여 주어진 제품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토픽의 긍 부정 내용을 요약하여 보여주는 제품 평판 마이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 방식과 다르게, 토픽을 활용하여 쉽고 빠르게 감성사전을 구축할 수 있으며 추출된 토픽을 정제하여 제품의 선호도와 요약 결과의 정확도를 높인다. 실험을 통해, K5, SM5, 아반떼 등의 국내에서 생산된 자동차의 수많은 후기 글들을 수집하였고, 실험 자동차의 긍 부정 비율, 긍 부정 내용 요약, 통계 검정을 실시하여 제안방안의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AHP를 이용한 패키징이 소비자의 제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측정 -비타민워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les Promotion Functions of Packaging Elements Using AHP -Focusing on Vitamin Water-)

  • 강동현;고의석;송기현;김득수;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3-120
    • /
    • 2014
  • 오늘날 패키징은 '셀프서비스(self-service)적' 판매방식의 시장구조에서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따른 의사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마케팅적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패키징의 마케팅적 기능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리커트(likert)척도를 이용하여 각 패키징 요소의 영향력을 측정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이용하여 각 패키징 요소가 가진 마케팅적 영향력을 수치를 통해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패키징 요소가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가격이나 브랜드의 영향이 비교적 적은 제품, 다양한 패키징 재질 및 디자인 등이 적용 가능한 제품으로 비타민워터를 선정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비타민워터의 패키징 요소를 '용기의 재질', '용기의 형태', '라벨의 색', '로고의 레이아웃'으로 대분류하였으며, 분류된 패키징 요소는 다시 세부 패키징 요소들로 분류하였다. '용기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유리', '금속', '종이'로 분류하였고 '용기의 형태'는 '원기둥형태', 허리가 잘록한 '커브형태', '사각기둥 형태'로 분류하였다. 또한 '라벨의 색'은 'cyan', 'magenta', 'yellow', 'black'으로 분류하였고, '로고의 레이아웃'은 '세로 레이아웃'과 '가로 레이아웃'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비타민워터의 패키징 요소들에 대한 응답자의 선호도는 주관적 판단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이용하여 측정, 수집하였다. 각 패키징 요소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산출한 결과 '라벨의 색'(0.370)이 소비자의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기의 형태'(0.246), '용기의 재질'(0.230), '로고의 레이아웃'(0.154)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 패키징 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는 '용기의 재질'에서는 '플라스틱(0.405)', '용기의 형태'에서는 '원기둥형태(0.423)', '라벨의 색'에서는 'magenta(0.329)', '로고의 레이아웃'에서는 '세로 레이아웃(0.572)'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패키징의 마케팅적 영향을 AHP기법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의 최대한 배제하고 보다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AHP기법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보다 과학적이고 정량적으로 패키징의 마케팅적 역할을 측정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