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x-plot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슈퍼 히어로 액션 스릴러 <다크 나이트>의 연출 분석 (Analysis of Directing Super Hero Action Thriller )

  • 이정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0-154
    • /
    • 2011
  • 이 글의 목적은 개봉 당시 비평과 흥행 양면에 성공한 <다크 나이트>를 통해 할리우드 슈퍼히어로를 주인공으로 한 액션 스릴러를 연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크리스토퍼 놀란의 <다크나이트>는 과거 슈퍼히어로 액션물의 기본적인 내러티브 원리에 충실하면서도 그 주제의 진지함과 시각적 표현력에 있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명품 액션스릴러라고 할 수 있다. 연출 분석은 크게 내용과 형식으로 나뉜다. 내용에 있어서는, 선악의 존재론적 딜레마를 다룬 주제, 과거 배트맨 시리즈보다 깊고 강해진 캐릭터, 5막 구성, 특히 조커의 게임을 활용한 극적 구성, 그리고 다양한 아이러니와 모티프 활용이 돋보인다. 형식에 있어서는 아이맥스 카메라의 효과적인 활용, 특히 카 체이스와 격투액션 등의 액션 연출이 뛰어나다. 편집, 음악, 미술 역시 전편을 뛰어 넘는다. 이 작품이 높이 평가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슈퍼히어로의 액션스릴러라는 블록버스터에 철학적인 주제를 깊이 있게 담아내는데 성공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오랜 역사를 거친 할리우드의 슈퍼히어로 전통과 액션 스릴러의 진화된 기술력이 정점에 이른 시점에 놀란 감독이 뛰어난 연출력이 영화적 스타일과 극적으로 조화를 이뤘기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본다.

거짓으로 진실을 은폐한 거짓 미스터리 - 홍콩영화<무쌍>의 반전서사 분석 (Lie Puzzle Dressed up as the Real---Analysis of Reversal Narrative in Hong Kong Film "Project Gutenberg")

  • 유야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7-116
    • /
    • 2020
  • 홍콩영화<무쌍>은 위조지폐 제작과정, 스릴있는 총격전, 폭파장면을 기반으로 한 복잡한 스토리 전개와 예상 밖의 반전 결말, 그리고 월드스타 주윤발의 개성 등 다양한 요소로 영화 흥행에 성공시켰다. 영화의 전개과정에서, 감독은 사건의 전개자인 이문을 이용해 시각을 한정시켜 경찰과 관중을 속임수에 빠지도록 이끌었고, 배우 주윤발의 상징성을 통해 관객들에게 "화가"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켰으며, 각기 다른 인물과 장소의 복합적인 서술과 플래시백을 도입함으로써 복선층의 전개구조로 진상을 층층이 밝혀내었다. 영화에서 3번의 대반전이 나타나는데, 반전 때마다 영화의 전개가 완전히 뒤집혔고, 또 뒤집힌 전개가 앞 스토리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관객이 알아채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충만한 긴장감을 불러일으켜 관객들로 하여금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진실을 가려내는 심리게임 과정을 통해 완벽한 해방감과 해탈감을 느끼도록 하였다.

본답 초기해충의 생력방제를 위한 imidacloprid의 종자분의 효과 (Effect of rice seed dressing with imidacloprid WS on early occurring rice insect pests)

  • 최병렬;유재기;이상계;이정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5-90
    • /
    • 1998
  • 벼 본논초기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고자 몇가지 약제를 종자분의 및 육묘상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Imidacloprid의 종자분의처리구에서 애멸구 성충수는 3주당 1.6마리로 방제효과가 94% 이상이었으며, 벼물바구미 유충은 5주당 8.8마리로 95.5%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imidacloprid 종자분의처리와 육묘상처리구에서 벼물바구미 성충의 밀도와 피해정도는 약제처리후 26일 까지도 무처리구의 1/10에 불과 하였다. 또한 imidacloprid WS의 종자분의 처리구에서는 벼줄기굴파리의 피해경율은 3%, 벼애잎굴파리의 피해엽율은 3.7%로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Imidacloprid WS을 추천약량으로 종자분의하였을 때 볍씨의 발아율은 처리 1일후에는 71%로 낮았지만 처리후 5일경에는 무처리의 발아율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Imidacloprid WS의 도체내 잔류량은 처리후 40일경에 뿌리와 잎에서 각각 0.11 ppm, 0.05 ppm이었으며, 벼물바구미와 벼멸구에 대하여 약효지속기간은 각각 약제처리 50일과 55일후까지 90%이상의 방제효과을 보였다. 논에서 약제처리방법별 살포되는 농약의 유효성 분량을 조사한 결과 imidacloprid 70% WS는 ha당 0.084 kg이 사용되었으며 2% GR은 0.3 kg이 투여되었다. 약제처리방법별로 종자분의처리는 약제살포시간이 ha당 1시간이 소요되었으나, 육묘상처리는 2.5시간, 수면처리는 3.6시간이 소요되어 종자분의처리가 다른 방제방법보다 $2.5{\sim}3.6$배의 방제소요시간이 절감되었다.

  • PDF

폐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트레할로스 생산을 위한 재조합 대장균 배양 조건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Enhanced Production of Trehalose by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Using Crude Glycerol)

  • 소홍;김성배;김창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97-503
    • /
    • 2016
  • 전처리 폐글리세롤을 기질로 사용한 재조합 대장균 배양에서 트레할로스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들을 도출하고 반응표면 분석법을 사용하여 트레할로스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탐색하였다. $37^{\circ}C$에서 IPTG로 induction 하는 배양이 $27^{\circ}C$ 또는 induction 하지 않은 배양에 비하여 세포생장 및 트레할로스 생산성이 높았다. Box-Behnken design 실험계획법을 사용하여 배지중의 NaCl, 발리다마이신 및 IPTG의 농도를 최적화하였다. 통계분석결과 IPTG와 NaCl의 농도는 트레할로스 생산에 영향을 미쳤으나 발리다마신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등고선도 분석을 통해 298 mM NaCl이 첨가되고 0.1 mM의 IPTG로 induction되는 배양에서 가장 많은 양의 트레할로스가 생산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최적화된 조건에서 생산 균주는 세포 밀도($OD_{600}$) $5.4{\pm}0.2$에서 $304{\pm}15mg/l$의 트레할로스를 생산하였다.

애니메이션 <드래곤 길들이기>의 연출 분석 (Analysis of Animation < How To Train Your Dragon >)

  • 안종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62-170
    • /
    • 2011
  • 이 논문의 목적은 <드래곤 길들이기>를 통해 성공한 할리우드 애니메이션을 연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크리스 샌더스와 딘 데블로이스의 >드래곤 길들이기>는 모험, 코미디, 판타지, 가족물의 기본적인 내러티브 원리에 충실하면서도 그 주제의 전달과 시각적 표현력에 있어 상당수준의 완성도를 보인 애니메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연출분석은 크게 내용과 형식으로 구분한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가족물로써 부자간의 간극을 다룬 주제를 바탕으로 서사구조와 주요 캐릭터 설정, 플롯 속의 아이러니, 캐릭터성과 대중성이 도드라진다. 형식적인 면에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조명과 특수효과, 디자인과 레이아웃, 3D 기술과 입체 카메라 기법 역시 뛰어나다. 이 작품이 높이 평가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은 흥행과 대중성을 지키면서도 거부감없이 철학적인 주제를 성공적으로 담아냈다는 것에 있다. 또한 기획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기에 시스템적으로 운영되지만 감독의 뛰어난 연출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전남 고흥 양식 다시마의 양적형질에 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s of Saccharina japonica cultured in Goheung, Jellanam-do)

  • 윤영성;김철원;최성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59-67
    • /
    • 2020
  • 본 연구는 전남 고흥 명천·계도 양식어장에서 2003년 2월부터 7월까지 완도와 백령도산 다시마 종묘를 이식, 시험양식을 실시하였다. 다섯 가지 환경 조건(수온, 염분, 총질소, 총인, 부유물질)과 두 가지 형질(엽장, 엽중량)을 매월 측정하였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장 패턴, 형질간의 상관관계 및 PCA를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Box plot은 성장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였고, 형질들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산점도, 회귀 계수 및 상관 계수를 이용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명천·계도 양식어장의 총 분산의 91.4%, 90.5% 이상을 제2주성분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주성분분석(PCA)으로 두 어장에서 엽장과 엽중량의 성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환경변수는 수온과 부유물질로 나타났다. 두 품종 모두 명천 어장보다 계도 어장에서 성장이 빨랐고, '백령도' 품종이 '완도' 품종보다 성장이나 중량에서 더 우수하였다.

두 개의 처리 비교를 위한 실용적인 실험 계획 전략과 분석 (Practical Experimental Design Strategy and Analysis for the Comparison of Two Treatments)

  • 임용빈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6-160
    • /
    • 2005
  • 기존의 표준공법과 신공법간의 품질특성치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가장 실용적인 실험 설계는 표준공법으로 진행되고 있는 공정을 신공법으로 바꾼 후에 연속적으로 생산해서 실험 자료를 얻는 것이다. 이 실험 자료로부터 평균 수율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표준공법으로 연속해서 생산된 제품들의 수율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다. 표준공법으로 연속해서 생산된 제품들의 수율에 관한 충분한 최근의 자료가 없으면 분할법에 의한 실험설계가 실용적인 설계이다. 분할법 I은 각 단계의 실험을 축차적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계 1에서는 표준공법과 신공법의 실시순서를 랜덤하게 정한다. 그다음에 정해진 방법에 따라서 연속해서 실험을 r회 실시한다. 단계 2,..., rep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한다. 분할법 II는 모든 실험을 한번에 실시하는 설계로, 두 개의 공정조건의 변경이 제한적으로 가능하다면 먼저 rep개의 반복을 갖는 각 공법을 2*rep개의 일차단위에 랜덤하게 배치하고, 일차단위에 랜덤하게 배치된 공정조건을 고정시키고 실험을 r회 반복한다. 분할법에서 일반적으로 공정조건을 변경하는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서 rep를 적게 하는 효율적인 실험의 반복수 ${\gamma}^*$을 결정하는 것이 엔지니어들의 관심사항이다. 분할법 I이나 분할법 II에서의 효율적인 실험의 반복수는 ${\gamma}^*$=6이고, 차선책은 ${\gamma}^*$=4이다.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Deep Excavation by Using PIV Technique

  • Abbas, Qaisar;Song, Ju-sang;Yoo, Chung-Sik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91-210
    • /
    • 2017
  • The concern study, present the results of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deep excavation by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check the application of PIV for the successive ground deformation during deep excavation. To meet the objectives of concern study, a series of reduce scale model test box experiments are performed by considering the wall stiffness, ground water table effect and ground relative density.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form of contour and vector plots and further based on PIV analysis wall and ground displacement profile are draw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PIV technique is useful to demonstrate the ground deformation zone during the successive ground excavation as the degree of accuracy in PIV analysis and measured results with LVDT are within 1%. Further the vector and contours plot effectively demonstrate the ground behavior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the PIV analysis results fully support the measured results.

지반 굴착시 지하수위가 벽체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Ground Water Table on Deep Excavation Performance)

  • 송주상;;유충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3-4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대심도 굴착시 흙막이 벽체에 대한 실내 모형실험 결과를 다루었다. 지반의 지하수위와 벽체의 강성등의 영향인자가 흙막이 벽체 및 지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성적 고찰을 위하여 기존 CIP 벽체와 CS-H벽체의 휨강성에 따른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제작 및 사용하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현장을 모사하여 버팀보 설치 및 굴착을 진행하였다. 또한 벽체, 지반 거동 분석을 위하여 PIV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벽체변위, 지반침하 및 지반 수평변위를 분석하여 지하수위가 높아질수록 벽체 강성이 작아질수록 변위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013년 태풍에 대한 수치모델들의 강도 예측성 평가 (Evaluation of the Intensity Predict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s for Typhoons in 2013)

  • 김지선;이우정;강기룡;변건영;김지영;윤원태
    • 대기
    • /
    • 제24권3호
    • /
    • pp.419-432
    • /
    • 2014
  • An assessment of typhoon intensity predictability of numerical models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typhoon intensity forecast guidance comparing with the RSMC-Tokyo best track data. Root mean square error, box plot analysis and time series of wind speed comparison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ach model error level. One of noticeable fact is that all models have a trend of error increase as typhoon becomes stronger and the Global Forecast System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e models. In the detailed analysis in two typhoon cases [Danas (1324) and Haiyan (1330)], GFS showed good performance in maximum wind speed and intensity trend in the best track, however it could not simulate well the rapid intensity increasing period. On the other hand, ECMWF and Hurricane-WRF overestimated the typhoon intensity but simulated track trend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