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om-Up Model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4초

온실가스감축정책 평가를 위한 LP기반 상향식 모형의 수리 구조 및 정식화에 대한 연구 (A Mathematical Structure and Formulation of Bottom-up Model based on Linear Programming)

  • 김후곤
    • 에너지공학
    • /
    • 제23권4호
    • /
    • pp.150-159
    • /
    • 2014
  • 2020년을 목표로 한 국내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2009년에 발표된 이후 다양한 온실가스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장기적인 온실가스 감축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상향식 모형 또는 하향식 모형이 이용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향식 모형의 일반적인 현황 및 적용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한 가장 많이 사용되는 LP를 이용한 상향식 모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특히 새롭게 제시된 단순화된 LP 정식화를 제시하기 위해, 의사결정변수 분석, 목적함수에 대한 분석, 기본적인 제약식인 흐름보존제약 및 용량제약에 대한 보다 간결한 정식화를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나 정책의 효과를 LP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선형제약식을 만드는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공핍 모드 N형 나노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류 전도 모델 (Current Conduction Model of Depletion-Mode N-type Nanowire Field-Effect Transistors (NWFETS))

  • 유윤섭;김한정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4호
    • /
    • pp.49-56
    • /
    • 2008
  • 본 논문은 효율적인 회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긴 채널 공핍 모드 n형 나노선 전계효과트랜지스터(nanowire field-effect transistor: NWFET)의 간단한 해석적 전류 전도 모델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NWFET는 bottom-up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게이트가 채널의 아래에 존재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모델은 다양한 바이어스 조건에서 동작하는 NWFET의 모든 전류 전도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새롭게 개발된 NWFET 모델로 계산된 결과는 이전에 발표된 NWFET 실험 데이터와 비교할 때 10% 오차범위 안에서 서로 일치한다.

페트리네트의 계층화를 통한 시퀀스제어계의 설계(II) -Bottom up에 의한 서브PN의 합성- (Design for Sequential Control System Using Petri Nets with Hierarchical Expression (II) -composition of Sub Petri nets by Bottom up Oriented Method-)

  • 정석권;정영미;유삼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08-114
    • /
    • 2001
  • Petri nets have been introduced as a powerful analyzing and design tool for the discrete systems such as sequential control systems. However,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its applications is that the model can be analyzed hardly when we deal with large scale systems because of increase of the number of Petri net components. To overcome this problem, some methods for dividing or reducing of Petri net have been suggested. In this paper, an approach for hierarchical expression of Petri net based on Sequential function Chart(SFC) and Bottom Up oriented Mehodology(BUM) is proposed. Especially, some definitions and rules are defined in order to divide and compose sub Petri nets. A measuring tank system will be described as a typical kind of discrete systems and modeled by some sub Petri nets based on the SFC and BUM by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 PDF

페트리네트의 계층화를 통한 시퀀스제어계의 설계 (II) - Bottom up에 의한 서브PN의 분할과 합성 - (Design for Sequential Control System Using Petri Nets with Hierarchical Expession(II) - Composition of Sub Petri nets by Bottom up Oriented Method-)

  • 정석권;정영미;유삼상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1
    • /
    • 2001
  • Petri nets(PN) have been introduced as a poweful analyzing and design tool for the discrete systems such as sequential control systems. However,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its applications is that the model can not be analyzed easily when we deal with large scale systems because of increase of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systems. To overcome this problem, some methods for dividing or reducing of PN have been suggested. In this paper, an approach for hierarchical expression of PN based on Sequential Function Chart(SFC) and Bottom Up oriented Mehodology(BUM) is proposed. Especially, some definition and rules are defined in order to divide and compose sub PN. A measuring tank system will be described as a typical kind of discrete systems and modeled by some sub PN based on the SFC and BUM by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 PDF

상향식 모형을 이용한 국내 주거부문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분석 (Marginal Abatement Cost Analysis for the Korean Residential Sector Using Bottom-Up Modeling)

  • 정용주;김후곤;백천현;김영진
    • 에너지공학
    • /
    • 제24권1호
    • /
    • pp.58-68
    • /
    • 2015
  • 상향식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주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특성과 감축 잠재량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계감축 비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향식 모형의 필수 입력요소인 주거부문의 최종수요, 기준에너지시스템 (Reference Energy System; RES) 등을 정의하고 국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활동량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기준 시나리오에서의 연도별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구하고 감축수단의 도입에 따른 감축잠재량 및 관련 비용을 분석하였다. 한계감축비용 분석 결과는 중장기적으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감축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오스 삼상농촌개발모델의 성공적 추진 - 한국 새마을운동의 교훈 - (Sam Sa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of Lao PDR in Approach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 Lessons from Korea's Saemual Undong -)

  • 봉삭닥 봉사이;이양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4권2호
    • /
    • pp.143-15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라오스 정부가 농업 농촌 발전을 목적으로 2012년부터 국가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삼상(Sam Sang, 정치적 실천공약, 분산-분권, 국가적 목표) 농촌발전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한국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교훈을 분석하여, 라오스 삼상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라오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삼상 농촌개발정책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상-하향식의 통합적 개발 접근은 한국 농촌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놀라운 정책결과를 가져온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주민참여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으며 정책을 집행하는 초기단계에는 마을과 마을주민들의 역량강화를 위해서 정부의 적절한 개입과 역할을 강조하며 이를 통한 주민참여를 유도하여 궁극적으로는 자립적 의지를 통한 지속가능한 농촌개발접근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생성모형의 학습을 위한 상향전파알고리듬 (Learning Generative Models with the Up-Propagation Algorithm)

  • 오종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327-329
    • /
    • 1998
  • Up-Propagation is an algorithm for inverting and learning neural network generative models. Sensory input is processed by inverting a model that generates patterns from hidden variables using top-down connections. The inversion process is iterative, utilizing a negative feedback loop that depends on an error signal propagated by bottom-up connections. The error signal is also used to learn the generative model from examples. the algorithm is benchmarked again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experiments on images of handwritten digits.

  • PDF

국내 전파자원 수요예측 모형 (A Model for the Forecasting Methodology of Radio Spectrum Demand)

  • 장희선;신현철;김한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4-10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전파자원 관리를 위한 전파자원의 중장기 수요예측 방법론 개발의 전 단계로서 전파자원, 즉 주파수의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시한다. 특히, 기존 공급자 위주의 하향식(Top-down) 개념의 수요예측 방법론이 아니라 무선자원을 실질적으로 소비하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상향식(Bottom-up) 개념의 주파수 수요예측 모형을 제시한다. 이는 크게 서비스 정의, 서비스 특성 분류, 서비스별 대표 속성 도출, 서비스 수요예측, 전파자원과의 매핑 검증 및 주파수 수요예측의 7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에서 수행하여야 할 주요 업무를 설명한다. 아울러 PCS개인통신환경에서의 주파수 소요량 산출 예를 제시함으로서 개발된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 PDF

기후변화 글로벌 경제모형의 구조 및 기술적 변화에 따른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Global Economic Models for Climate Change Policy: A Structural and Technological Analysis)

  • 홍종호;김창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0권3호
    • /
    • pp.419-45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정책 분석의 주요 연구 수단으로 사용되는 CGE 모형의 연산구조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모형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의 연구 사례들을 중심으로 CGE 모형으로 대표되는 하향식 모형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았고, 나아가 기준 모형인 EPPA 모형에 다른 모형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조를 적용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분석 결과상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경제적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장기에 있어서 상향식 및 복합모형의 저감 잠재량이 하향식보다 크게 나오는 일반적인 경향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는 IPCC 보고서 등의 잠정적인 결론과는 다른 내용으로서 보다 엄밀한 모형 구조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EPPA 모형을 대상으로 한 구조분석 결과 온실가스 배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와 관련한 연산구조가 기준 배출량 및 저감률 계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에너지와 자본 간의 대체성 및 에너지 복합재 내부의 대체탄력성을 포함한다. 기술묶음 개념의 적용으로 사례연구 결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아밍턴재의 대체탄력성 변화는 총합에 있어서는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형 상향식 농업용수 거버넌스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Bottom-up Agricultural Water Governance Model in Korea)

  • 이슬기;최경숙
    • 농촌계획
    • /
    • 제28권3호
    • /
    • pp.49-59
    • /
    • 2022
  • Recently, Korea aimed to increase water use efficiency by implementing integrate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water management unification policy. Considering the enormous use of water resourc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conserve water in terms of demand management by intensifying the stakeholders' involvement and awareness campaigns. The existing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is based on a top-down approach by which the government agencies directly plan budgets and policies to be enforced on and implemented by farmers, with little to no involvement of farmer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However, this process has hindered the desir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the water conservation goal at the field level. Moreover, the limited research on water governance operations focusing on agricultural water creates a knowledge gap, particularly in Korea.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ater governance cases with successful implementations in agricultural and rural areas to identify the factors applicable to domestic governance in Korea. In addition, a more systematic governance model should be established by identifying the subjectivity of the stakeholders' involvement in agricultural water governan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new bottom-up model for agricultural water governance, which aims to raise the problem of autonomous water governance while promoting stakehold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nd reflecting farmers' involv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Moreover, if agricultural water governance is expanded nationwide by reflecting agricultural and water resource policies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positive effects can be achieved in increasing utilization efficiency and securing sustantiality through agricultural water sa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