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ing investiga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61초

SPT-업홀 토모그래피 기법을 이용한 지반의 2차원 전단파 속도 분포의 도출 (Evaluation of Near Subsurface 2D Vs Distribution Map using SPT-Uphole Tomography Method)

  • 방은석;김종태;김동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C호
    • /
    • pp.143-155
    • /
    • 2006
  • SPT-업홀 기법은 표준관입시험시 발생하는 지중의 타격 에너지를 가진원으로 이용하고 지표면에 설치된 속도계로 신호를 획득, 지반의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도출하는 기법이다. 기존의 SPT-업홀 기법은 1차원 해석 기법이므로 지반이 수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평적으로 불균질한 경우에도 SPT-업홀 기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토모그래피 기법을 도입하여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시추공-지표면 주시 토모그래피 기법으로 시추공 주변 지반의 전단파 속도 분포를 삼각형 형태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SPT-업홀 기법의 토모그래피 기법 적용을 위해 새로운 현장 시험법 정립, 전단파 성분의 초동 정보 획득 방안 및 토모그래피 기법 프로그램의 적용 방안 등을 확립하였다. 일반적인 지반 형상을 대표하는 다층구조의 수평 모델, 상향 경사 모델, 하향 경사 모델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정립된 SPT-업홀 토모그래피 기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SPT-업홀 토모그래피 기법을 수행하여 2차원적인 전단파 속도 분포를 도출하였으며 시험 측선에서 다수의 시추를 통해 파악한 지반의 2차원 형상과 비교를 통해 결과의 신뢰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수치지도를 활용한 탄성파탐사 자료와 시추조사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통합 분석 (Geostatistical Integration Analysis of Geophysical Survey and Borehole Data Applying Digital Map)

  • 김한샘;김정준;정충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65-74
    • /
    • 2014
  • 대규모 건설공사, 토목공사 시 지반 특성 파악을 위해 주로 수행되는 시추조사는 명확하고 확실한 지반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좌표 공간상 지점마다 수행되기 때문에 현장 전체의 지반특성 파악이 어렵다. 이에 반해 탄성파, 중력파 등을 이용하는 물리탐사는 시추조사와는 달리 연속적인 단면의 정보를 제공하고 넓은 지역의 지반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측정값의 지반공학적 상관성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지반 특성을 직접적으로 결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상 부지의 정확한 지반정보 파악을 위해서는 두 가지 이종 지반조사 자료, 즉 물리탐사자료와 시추조사 자료를 상호 보완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종 지반조사의 통합분석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분석 방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치지도를 도입하였다. 수치지도를 사용하여 시험, 조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고의 오차를 보정하였으며, 표고와 기울기를 분석하여 대상분석 영역 설정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탄성파의 속도분포 단면 등고선을 디지타이징(digitizing)하고 지구통계학적 방법인 크리깅(kriging)을 이용하여 3차원으로 공간보간하였으며, 이를 시추조사와 결합하여 각 토층 경계 별 평균 탄성파 속도를 도출하였다. 자료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이상치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높였으며, 최적화된 평균 탄성파 속도를 활용하여 3차원 층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통합 분석 기법을 수립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립된 통합분석 기법을 A댐 비상여수로 건설현장에 적용하였다.

지반굴착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와 표준관입시험 N값과의 상관관계 연구 I : 기초연구(실내토조실험)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PT N-value and Exerted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Ground Drilling I : Basic Study (Laboratory Soil Box Test))

  • 최창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45-53
    • /
    • 2012
  • 지반굴착은 지반조사, 연약지반 개량, 선굴착 말뚝 시공 등 지반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반을 굴착하기 위해서는 오거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는 전기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반굴착시 구동모터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와 지반의 표준관입시험 N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반굴착시 변화하는 전류값과 굴착깊이를 계측하기 위한 측정센서, 데이터 저장시스템, 굴착시스템 등의 실내실험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모형토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계측된 전류값과 굴착깊이는 표준관입시험 N값 추정에 이용되었으며 추정된 표준관입시험 N값은 실내실험으로부터 실측된 N값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지반굴착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표준관입시험 N값을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구통계학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f Soft Ground Using Geostatistical Kriging Method)

  • 윤길림;이강운;채영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17
    • /
    • 2005
  • 남해안 부산 해성점토지반을 대상으로 지반조사 및 시험, 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지반의 공간적 불확실성을 면구한 내용이다. 지반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지반의 공간적 불확실성을 수치화하는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지반의 공간적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불확실성 분석에 사용된 지반조사는 원위치 보링은 25개, 실내시험은 73회, 현장베인시험 124회, 그리고 심도별 콘관입시험 25회의 결과가 활용되었다. 지반의 불확실성에 대한 공간적 분석에 사용된 핵심자료는 큰관입 시험결과이고 특히 비배수 전단강도를 산정시 큰 영향을 미치는 콘계수($N_k$ )에 대하여 지구통계학적 방법과 기존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상효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통한 시험자료의 해석은 지반 고유특성에 따른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찾을 수 있으며 특정 방향에 대한 시험자료의 상관성이 임의의 지역에 대한 값 추정에 적용되어 보다 신뢰성 있게 분포양상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구통계학적 크리깅 분석기법은 대상지역의 압밀과 강도특성 분포를 규명하는 데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시폐기물 매립지의 안정화에 관한 기초연구 (A Fundermental Study on Stabilization in Municipal Waste Landfill Site)

  • 김은호;김순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6-62
    • /
    • 2001
  •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generation and the composition of landfill gas generated from inserted pipe wells into the underground by boring operation and also study the undecomposed waste characteristics by open-cut test at S. waste landfill site in Pusan city. Pilot test was conducted for stabiliz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 Since COD matter was easuer decomposed than COD matter for continuously biological stabilization in underground, it seemed that BOD and CO $D_{Mn}$ were in the range of 854~4,813mg/$\ell$ and 1,156~6,977mg/$\ell$ and their ratio were generally as high as 0.55~0.74. As C $H_4$ compositions of generated gas were measured in the range of 37.36~60.1%, we could know that C $H_4$ gas was actively generated. Organic matters by open-cut test averaged 13.4~16.6% at each landfill layer, and considering rate of combustible compositions(36.2~66.5%) for landfilling wastes, they have been actively decomposed. The measured and theoretical values of generated gas in waste landfill site were almost similar to C $H_4$ 50.0% and 53.4%, $CO_2$ 39.63% and 45.24%, and after 0.5$^{\circ}C$ with heavy depth and long landfill period. From the results of pilot test for stabilization, after 180 days organic matters were actively decomposed beyond 2.2 times in facultative aerobic lystimeter(B) to exsiting anaerobic lysimeter(A). Therefore, it seemed that landfill site was of benefical to the conversion of facultative aerobic for stabilization.

  • PDF

지하레이더 탐사법을 이용한 지반조사 사례 연구 (Case Study of Ground Penetrating Radar for Subsurface Investigation)

  • 문장수;김세환;남욱현;오영철
    • 지질공학
    • /
    • 제7권3호
    • /
    • pp.161-171
    • /
    • 1997
  • 토공사의 안전시공과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지반의 지질구조 및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획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하레이더 탐사법은 수~수십 m 이내의 얕은 심도 지반을 조사할수 있는 간편한 지구물리탐사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토공사의 주요한 관심 대상인 지질 경계면 추정에 지하레이데 탐사법을 적용한 사례에 관한 것이다. 탐사지역의 기반암은 안산암이며, 풍화토층, 풍화암층, 연암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시추조사 결과로 알려졌다. 여기에 지하레이더 탐사를 실시하여 이들 지질 경계면의 심도를 추정하였다. 지질 경계면 심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지하 매질에서의 전자기파 속도를 분석하여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공통 중간점 (CMP, Common Mid-Point) 방법으로 전자기파 평균 속도 0.096m/ns를 구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이렇게 추정된 심도와 시추조사 결과가 거의 일치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추조사로는 밝히지 못했던, 연암층 상부경계에서의 차별풍화로 인한 지층의 기복을 확인하였다.

  • PDF

실내공적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Needs f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 윤지혜;김정곤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57-166
    • /
    • 2006
  • Recently, it appears several counterproposals about desirable figures of urban architecture. All of them proposes 'publicity' with cohernt tendency. The reason why it concentrates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without united design by urban plannar is that neglect quality values of city. As a solution of poor environment, there cue out the various efforts, about problem of each building, problem of city space, problem of laws and so forth. The reason why necessity of public space was embossed in that architecture extend the activity of citizen and make up the city space. But, each building pursues the private interest,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ublic space with a high hand. Thus, architecture law has been revised in 1991 and bring the system of open space to match up the publicity and the private interest. Actually, western country brought it and obtained excellent results. While quantity of open space have increased since 1991, a lot of problems revealed in real usage and quality. By means of problem's solution, this study focus on the diversion of recognition for necessity of various open space. In result, on the occasion of approach and openess, except for several building, most glass a facade and the pedestrian can approach easily. Moreover, office buildings near the subway station connected with their low floor. So, the office buildings give openess to pedestrian and a people can approach easily to the buildings. On the occasion of amenity, most have bank and lobby on the first floor and have facilities on the underground floor. It leave open. But the reason why they have bank and lobby is that the space is dry and boring(without elements of nature and rest space). Hence, to make a space full of vitality, it have to plan various design elements and facilities. First of all, plan of indoor public space have to make up facility for the public interest. This study is basic investigation for necessity of indoor public space and through the survey of office buildings, it analyze the character of plan and find out the method of publicity's realization.

한강하저터널의 쉴드TBM 적용시 디스크 커터 소모량 예측과 소모량 (Disc Cutter Consumptions Prediction on Applying Shield TBM at the Han Riverbed Tunnel)

  • 최정명;정혁상;천병식;이용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562-570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number of disc cutter consumption and to predict amount of disc cutters when a shield TBM(Tunnel Boring Machine) of the Han Riverbed Tunnel was applied. In fact, it is almost impossible to change the machine after starting the excavation using the shield TBM metho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an appropriate equipment in the shield method - an efficiency choice of the operation equipment plays a key role in the shield tunnel processing. For the above reason, the disc cutter consumption prediction is quite important so that the detailed analysis is required. A number of disc cutter consumption was predicted by the three methods, viz. KOMATSU, MITSUBISHI and NTNU. In addition, the predict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field data. The prediction of disc cutter consumption showed that 237 for KOMATSU, 501 for MITSUBISHI, and 634 for NTNU, respectively. However, a total number of 1,263 disc cutter consumption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tunnel constru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ug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and real values of the disc cutter consumption. The more detailed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disc cutter was worn out bluntly in the northbound tunnel, meanwhile it was worn out sharply in the southbound tunnel. In particular, the disc cutter consumption in the southbound tunnel was increased rapidly because of rear abrasion for remaining mucks in the chamber.

  • PDF

단층 발달 습곡지반 상 구조물 안정성을 위한 설계정수 도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Derivation of Input-Parameters for Ground-Structure Stability on Foliation-Parallel Faults in Folded Metamorphic Rocks)

  • 임명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67-472
    • /
    • 2020
  • 일반적인 보통 등급의 지반(ground) 상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설계입력정수(input-parameters) 도출방법들은 보편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연구지역과 같은 습곡된(folded) 변성암(metamorphic rocks) 지반은 엽리가(foliation) 촘촘히 발달해 있고, 엽리에 평행한 소규모 단층들(faults)이 분포하고 있어 설계입력정수 도출을 위한 특별한 조사방법 및 시험, 등이 요구된다. 수 mm 간격의 엽리가 발달한 변성암 지반은 엽리면 직접전단강도시험(direct shear test), 엽리의 배향(strike/dip)과 맵핑(mapping), 엽리의 지하 연속성 파악을 위한 시추조사, 변성암반의 암반분류(rock mass rating), 등이 필요하다. 특정 엽리면을 따라 발달한 소규모의 엽리평행단층(foliation-parallel faults)이 다수 발달한 지반은 선구조선 분석, 단층 추적을 위한 지표지질맵핑, 단층면 직접전단강도시험, 등이 필수적이다. 습곡지반은 지질구조구(structural domain) 분석, 불연속면의 평사투영(stereonet)해석, 습곡축을 따른 전기비저항탐사, 등의 추가조사로 설계입력정수 도출이 합리적이다.

수도권 국도교량 세굴위험도 평가 및 등급화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Bridge Scour Vulnerability Evaluation and Prioritization for National Highway Bridge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 박재현;김정훈;안성철;이주형;정문경;곽기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7-21
    • /
    • 2008
  • 홍수 시 세굴로 인한 교량 기초의 파괴는 국내외적으로 교량 붕괴의 첫 번째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실제 국도교량에 대하여 세굴 위험도 평가 및 등급화를 수행하였다. 30개소 교량을 선정하여 지반 시추조사를 포함한 현장조사, 설계 홍수량에 대한 교량세굴 해석, 그에 따른 교량기초의 지지력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량세굴 위험도를 등급화 하였다. 위험도 평가 결과 직접확대기초 교량 26개소 중 9개소 교량이 장래 세굴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17개소 교량은 안정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말뚝기초 교량 4개소 중 3개소의 교량이 유의할 만한 수준으로 지지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