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ding agent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19초

와동벽에서 접착제의 두께가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hesive thicknes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the cavity wall)

  • 이화언;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9-1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와동벽에서 다른 위치에서의 상아질 접착제의 두께를 평가하고, 이런 다양한 접착제의 두께와 미세 인장 강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여섯 개의 인간 대구치에 모든 상아질 면이 노출되도록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3개의 치아는 filled adhesive ($Clearfil^{TM}$ SE bond)를 와동 내에 도포하였고, 다른 3개의 치아는 unfilled adhesives ($Scotchbond^{TM}$ Multi Purpose)를 도포하였다.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접착층의 형태와 두께를 관찰하였다. 접착제의 두께는 수직 와동벽을 따라 와동 변연, 와동벽 1/2, 와동 내각의 세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Scotchbond^{TM}$ Multi Purpose와 $Clearfil^{TM}$ SE bond가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 와동 내각에서의 접착제의 두께를 재현하여 미세 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에서 두 가지 상아질 접착제 모두에서 와동 내각에서의 접착제의 두께가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위치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웠으며, 와동 내각의 두꺼운 접착제의 미세 인장 결합 강도는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에서의 얇은 접착제 두께의 미세 인장 결합 강도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사이징제가 반응중합에 의해 제조된 나일론 6/탄소섬유 복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Sizing Agents on the Properties of Nylon6/Carbon Fiber Composites Prepared by Reactive Process)

  • 박하늘;이학성;허몽영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6호
    • /
    • pp.299-303
    • /
    • 2018
  • 탄소섬유 강화 PA6 복합재료의 탄소섬유-메트릭스간 계면결합력과 반응중합도 향상을 위해서 기존 탄소섬유의 에폭시 사이징제를 디사이징처리하여 에폭시를 제거한 후 우레탄계, 나일론계, 페녹시계 사이징제로 재처리해주었으며, 리사이징처리된탄소섬유의표면을관찰하였다. 리사이징처리된탄소섬유의계면결합력은 IFSS(Interfacial shear strength)를 통해서 확인하였으며, 계면 결합 강도 측정 후 파단면은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서 관찰하였다. 나일론계와 페녹시계 사이징제로 처리된 탄소섬유가 우레탄계 사이징에 비해 계면 결합력이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우레탄계 리사이징 처리된 탄소섬유는 기존 에폭시 사이징 탄소섬유보다 계면 결합력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 탄소섬유의 저활성과 평활성을 제거하여 탄소섬유와 나일론6 사이의 계면 결합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탄화규소 단결정 성장을 위한 종자결정모듈의 탄화규소-흑연 간 접합계면의 기계적 특성 평가 (Mechanical evaluation of SiC-graphite interface of seed crystal module for growing SiC single crystals)

  • 강준혁;김용현;신윤지;배시영;장연숙;이원재;정성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212-217
    • /
    • 2022
  • 고온의 탄화규소 단결정성장공정에서는 탄화규소-흑연간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열응력이 크게 발생할 수 있어 흑연부재로부터 탄화규소 종자정이 분리되어 성장 중에 종자정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탄화규소 종자정 모듈의 접합특성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탄화규소-흑연 간의 접합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3점 굽힘시험법을 응용한 복합모드꺾임시험(Mixed-Mode Flexure Test)을 통해 탄화규소-흑연을 서로 다른 접합제를 적용하여 접합한 시편의 접합 특성을 확인하고, 흑연 접착제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라만분광법(Raman spectroscopy), X선 광전자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및 X선 전산화 단층촬영법(X-ray Computed Tomography)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선별한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적용하여 직경 50 mm급의 탄화규소 종자결정모듈을 제작하고, 이를 적용하여 고온의 상부종자용액성장 공정을 이용하여 공정 중 종자정의 탈락없이 성공적으로 직경 50 mm급의 탄화규소 단결정을 성장시켰다.

자가 중합 복합 레진과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의 친화성에 대한 중간 접착제와 흐름성 레진의 효과 (EFFECT OF AN INTERMEDIATE BONDING RESIN AND FLOWABLE RESIN ON THE COMPATIBILITY OF TWO-STEP TOTAL ETCHING ADHESIVES WITH A SELF-CURING COMPOSITE RESIN)

  • 최속경;염지완;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5호
    • /
    • pp.397-40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자가 중합복합 레진과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의 친화성에 대한 중간 접착제와흐름성 레진의 효과를 미세 인장 결합 강도를 통해 비교하는 것이었다. 20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해 접착제와 부가적인 적용(활성제, 중간 접착제, 흐름성 레진)에 따라 XP bond 그룹 (XA, XB, XF 그룹), Prime & Bond NT 그룹 (NA, NB, NF 그룹), Optibond solo plus 그룹 (OA, OB OX 그룹)으로 나누었다. 접착제 적용 후 활성제, 중간 접착제, 흐름성 레진을 각각 적용하고 상부에 자가 중합 레진을 축성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 후 각 그룹당 10개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모든 시편의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그룹에서 중간 접착제와 흐름성 레진의 적용은 활성제 적용보다 더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2. 선택된 방법에 관계없이, Optibond solo plus 그룹은 가장 낮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 3. 파절 양상은 대부분 접착성 파절을 보였고 일부 레진 내에서 응집성 파절을 보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부터, 중간 접착제와 흐름성 레진의 적용이 낮은 pH를 가지는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와 자가 중합복합 레진의 상아질 접착에 더 효과적이라 예상된다.

Primer Bonding agent, 복합레진 내의 볼소의 법랑질에 대한 항우식 작용 (THE ANTICARIOGENIC EFFECT OF F IN PRIMER, BONDING AGENT AND COMPOSITE RESIN IN THE CAVOSURFACE ENAMEDL AREA)

  • 박성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635-641
    • /
    • 199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 cariogenic effect of F in primers, bonding agents, composite resins or glass ionomer cements in enamel. Twenty-five extracted teeth were selected and a cavity was prepared on either the buccal or the lingual surface of each tooth. After pumicing and etching,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5 groups. In group A, the samples were primed, bonded and filled with ART bond and Brilliant Enamel (Coltene, Switzerland). Group B composed of Optibond and Herculited XRV (Kerr, USA), group C composed of Syntac and Tetric(Vivadent, Lichtenstein), and group D composed of Scotch-bond Multipurpose and Z 100 (3M, YSA). In group E, the samples were filled with glass ionomer cement (Fuji II LC, Japan), All surfaces except the 2mm beyond the cavosurface margin of the sample were protected, and samples were then put into an acid buffer for 3 days to develop the initial caries. The samples were then sectioned through the filling body into thin wafers and then examined with a polarizing microscope under water imbibition. The fluoride in primer, bonding agent, or composite filling material did not prevent the initial caries in the enamel area adjacent to the filling body whereas the fluoride in the glass ionomer did prevent the initial stage caries.

  • PDF

The effects of dentin bonding agent formulas on their polymerization quality, and together with tooth tissues on their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an explorative 3-step experiment

  • Erfan, Mohmmad;Jafarzadeh-Kashi, Tahereh Sadat;Ghadiri, Malihe;Rakhshan, Vahid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5호
    • /
    • pp.333-345
    • /
    • 2014
  • PURPOSE. Bonding agents (BA) are the crucial weak link of composite restorations. Since the commercial materials' compositions are not disclosed, studies to formulize the optimum ratios of different components are of val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a proper formula of BAs. MATERIALS AND METHODS. This explorative experimental in vitro study was composed of 4 different sets of extensive experiments. A commercial BA and 7 experimental formulas were compared in terms of degree of conversion (5 experimental formulas), shear bond strength, mode of failure, and microleakage (3 experimental formula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lpha}$=.05). The DC of selected formula was tested one year later. RESULTS. The two-way ANOVA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two tissues (dentin vs. enamel, P=.0001) in a way that dentinal bonds were weake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four materials (P=.283). The adhesive mode of failure was predominant in all groups. No differences between the microleakage of the four materials at occlusal (P=.788) or gingival (P=.508) sites were detected (Kruskal-Wallis). The Mann-Whitney U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croleakage of all materials (3 experimental formulas and a commercial material) together at the occlusal site versus the gingival site (P=.041). CONCLUSION. A formula with 62% bisphenol A-glycidyl methacrylate (Bis-GMA), 37% hydroxy ethyl methacrylate (HEMA), 0.3% camphorquinone (CQ), and 0.7% dimethyl-para-toluidine (DMPT) seems a proper formula for mass production. The microleakage and SBS might be respectively higher and lower on dentin compared to enamel.

레진 시멘트와 상아질접착제를 사용한 콤포지트 레진 코아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CORE US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RESIN CEMENTS AND DENTIN BONDING AGENTS)

  • 김현오;방몽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0-40
    • /
    • 200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n dentin of three dentin bonding agents and two resin cements used in conjunction with self-cured composite resin core material. Material and method : Control group and six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for this study. Control group was designated as specimens bonded with Tenure$ A&B^{(R)}$. Experimental groups were as follows : PB-BL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Prime&Bond $NT^{(R)}$, $BondLink^{(R)}$ SB-BL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R)}$, BondLink$SingleBond^{(R)}$ PB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Prime&Bond $NT^{(R)}$ SB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SingleBond^{(R)}$ PF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Panavia-F^{(R)}$ BI group specimens bonded with Bistite $II^{(R)}$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37^{\circ}C$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followed by the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data was analysed statistically by Mann-Whitney test. Results : 1. For Prime&Bond $NT^{(R)}$ and $SingleBonde^{(R)}$, the shear bond strength was 0.24 MPa and 7.19 MPa each by each, while Tenure $A&B^{(R)}$ group control was measured at 13.93 MPa (p<0.05). Especially for Prime&Bond $NT^{(R)}$ it did not get conjunction with dentin. 2. For Prime&Bond $NT^{(R)}$ and $SingleBond^{(R)}$ using $BondLink^{(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11.73 MPa and 14.00 MPa each by each (p<0.05). 3. For $Panavia-F^{(R)}$ and Bistite $II^{(R)}$, they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s measured by 18.24 MPa and 16.09 MPa each (p<0.05).

지혈제가 상아질과 레진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mostatic agent contamination on bond strengths on dentin bonding agents)

  • 조정현;이은정;소경모;김원;오남식;한상현;송경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1-358
    • /
    • 2008
  • 목적: 산부식제 적용후 치은 자극으로 인하여 지혈제를 사용할 때 다양한 pH를 가진 지혈제를 적용후 pH에 따른 레진 결합력 차이와 산부식제 재적용 여부에 따른 결합력 회복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서 사용된 지혈제 중 보스민, 아스트리제덴트, 헤모덴트로 대부분의 지혈제는 산도가 낮다. 또한 바이진은 눈의 충혈제거제로써 성분은 중성이다. 실험방법은 먼저 치관이 건전한 90개의 대구치 10개씩 9그룹으로 나눠 교정용 레진에 식립 한 후 치축과 수직으로 섹션 후 연마한 뒤 대조군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산부식과 접착제를 도포 하고, 실험군은 산부식한 뒤 각각의 지혈제를 30초간 오염시킨다. 그 뒤 린스만 한 N 그룹과, 린스 후 산부식제 재적용한 R 그룹으로 나누어서 처치하고 처치한 상아질에 셀룰로이드 캡슐을 이용해 레진 접착을 시행한다. 그리고 인스트론을 이용해 전단력을 측정한다. 통계 분석은 유의수준 0.05 이하로 비교했다.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Visine을 제외한 모든 지혈제에서 평균 결합력이 낮아짐을 볼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린스만 한 N군과 산부식제 재적용한 R군을 비교했을 때 모든 군에서 결합력 증가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임상에서 적용하는 30초의 짧은 적용 시간에는 pH에 따른 지혈제의 영향은 결합력에 영향을 줄 만큼 크지 않고 산부식제 재적용 등 다른 처치를 하지 않아도 린스를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결합력 회복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어 임상과정을 간단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solvent volatilization time on the bond strength of etch-and-rinse adhesive to dentin using conventional or deproteinization bonding techniques

  • de Sousa, Jose Aginaldo Junior;Carregosa Santana, Marcia Luciana;de Figueiredo, Fabricio Eneas Diniz;Faria-e-Silva, Andre Lui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3호
    • /
    • pp.202-208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the air-stream application time and the bonding technique on the dentin bond strength of adhesives with different solvents. Furthermore, the content and volatilization rate of the solvents contained in the adhesives were also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Three adhesive systems with different solvents (Stae, SDI, acetone; XP Bond, Dentsply De Trey, butanol; Ambar, FGM, ethanol) were evaluated. The concentrations and evaporation rates of each adhesive were measured using an analytical balance. After acid-etching and rinsing, medium occlusal dentin surfaces of human molars were kept moist (conventional) or were treated with 10% sodium hypochlorite for deproteinization. After applying adhesives over the dentin, slight air-stream was applied for 10, 30 or 60 sec. Composite cylinders were built up and submitted to shear testing. The data were submitted to ANOVA and Tukey's test (${\alpha}=0.05$). Results: Stae showed the highest solvent content and Ambar the lowest. Acetone presented the highest evaporation rate, followed by butanol. Shear bond strength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only by the factors of 'adhesive' and 'bonding technique' (p < 0.05), while the factor 'duration of air-stream' was not significant. Deproteinization of dentin increased the bond strength (p < 0.05). Stae showed the lowest bond strength values (p < 0.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XP Bond and Ambar. Conclusions: Despite the differences in content and evaporation rate of the solvents, the duration of air-stream application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to dentin irrespective of the bonding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