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 Collar Worker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서울, 경기 일부지역(一部地域)의 단체급식소(團體給食所)에 대(對)한 영양실태조사(營養實態調査) (A Nutritional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Group Feeding in Seoul City and Kyongki Province)

  • 이영근;김영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1호
    • /
    • pp.1-8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nutritional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group feeding is to be of value for promoting the health of the blue collar workers through consice understanding of food intake trends in businesses as well as realizing our desirable target.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 1, Status of food economics 1) The average feeding cost amounts to 453 won per day per person. 2) The average school years of food buyers were 12.3 years, cookers were 12.0 years and dieticians were 14.5 years. 3) Kerosene(57.6%), gas(24.2%), electric(12. 1%) and cool briguette(6.1%) were used for fuel. 2. Status of food intake The average food intake per person per day in surveyed businesses was 1193.4g. The total intake of food was consisted of 42% grains, 40.4% vegetables, 4.7% legumes, 4.5% fish and shellfish, 4.0% potatoes, 1.6% meats, 1.0% seasonings. 0.8% eggs, 0.5% sea weeds, 0.3% oil and fats, 0.1% sugar. These findings led us to the conclusion that workers in the surveyed businesses retied heavily on plant foods. 3. Status of nutrient intakes 1) The average intake of calorie was 2752.6 kcal per day,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2,700 kcal of RDA. Though the quantity was above the level of RDA, it was largely from plant foods. 2) The average intake of protein was 84.7g per day,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80g of RDA. 3) The average intake of fat was 26g per day, which was much lower than 36g of RDA. 4) The averse intake of calcium was 532.3mg per day, which was lower than 600mg of RDA. 5) The average iron intake was 9.8mg per day, which was much lower than 10mg of RDA and 18mg of HDA for women. 6) Intakes of vitamin group were high. Especially, intake of vitamin A was 2-3 times higher than RDA and intake of vitamin C and niacin were 2 times higher than RDA.

  • PDF

근로자의 학업욕구 열망이 대학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ers' Aspiration for Academic Needs on Particip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 이지훈;문복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31-241
    • /
    • 2021
  • 본 연구는 근로자의 학업 열망이 대학교육 참여에 미치는 연구를 통해 대학교 관계자들에게 신입생유치 및 맞춤 교육을 위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선행자료들을 분석하여 변수들을 도출하였고,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설정과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조사 대상은 대학교육 참여에 관심 있는 근로자 331명을 대상으로 대인면접법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화를 하였고,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와 각 개념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검증결과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적성에 맞는 직업군으로 전환한 경험자와의 멘토·멘티 제도를 통해 동기부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의 적성과 장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 관계자들은 추천을 통해 입학을 한 근로자들이 직업전환을 이룬 사례와 정보를 입학 예정자가 알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 계발을 할 수 있는 대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모전' 등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용하고 재가공을 통해 근로자에게 대학교육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직업전환과 자기계발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프로그램을 근로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즉, 대학 입학시 해외 선진 기업 견학, 다양한 자격증 취득, 블루칼라·화이트칼라의 부서 간 이동, 이직 기회 획득 등 다양한 정보제공과 졸업 선배들의 성공 사례들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들의 학습 동기 유발을 자극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 관계자들은 직업전환을 위해서는 대학교육에 참여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사회 환경의 흐름 등을 교육받음으로써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곳이 대학이라는 것과 이와 관련된 대학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 관계자들은 근로자가 대학교육 참여시 자기계발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발생하도록 근로자와의 상담 및 홍보를 실시해야 할 것이고, 근로자들의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자기계발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응방안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북한 년로년금의 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ystem and Practices of the Old Age Pension in North Korea)

  • 민기채;조성은;한경훈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0호
    • /
    • pp.133-173
    • /
    • 2018
  • 본 연구는 노후소득보장체계의 핵심인 공적연금에 해당하는 북한 년로년금에 대해 공간(公刊) 문헌에 기초하여 제도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인터뷰를 통해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제도와실태 간 일치 및 괴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1945년부터 2013년까지 사회보장과 관련된 북한 법령과 북한 사전(정치사전, 경제사전, 재정금융사전, 조선대백과사전)을 활용한 문헌분석 및 눈덩이 표집방법을 활용한 25명의 북한이탈주민 면접자료의질적 분석이다. 연구결과, 북한 년로년금의 제도와 실태는 일부에서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주의 국가체제에서 국가책임의 공적연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결국 가족의 역할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학술적 함의로는 다양한 북한 원자료에 기초한 연금제도 이해와 북한이탈주민 인터뷰를 통한 실태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이 통일시대 노후소득보장 체계 구축에서 가족, 시장, 국가 간의 균형을 찾는데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연작업자들에서 골중 연량이 신경행동학적 검사성적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of Bone Lead with Neurobehavioral Test Scores in Lead Workers)

  • 이성수;김남수;김화성;안규동;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4-152
    • /
    • 2005
  • To evaluate the effect of lead biomarkers including bone lead on neurobehavioral test in lead workers, 652 lead workers without any occupational exposure to organic solvent, mercury and arsenic were agreed to participate this study. For the control subjects 102 non-occupationally lead exposed blue collar workers in general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also joined this study. All study subjects joined this study with written informed consent. The study variables of lead exposure were blood and patella lea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standardized questionnaire regarding age, sex, past disease history, job duration, body mass index (BMI), drinking and smoking habit were provided. For the past history of neurotoxicity related diseases, all study subjects were interviewed by qualified occupational health physicia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controls without occupational lead exposure, lead exposed subjects had worse performance on all tests(p<0.05). 2.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age, sex, job duration, education level, BMI, smoking and drinking status), the sign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blood lead were negative for 13 of the 14 tests. Blood lead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orer scores on 8 tests (simple reaction time(ms & root MSD), Trail-Making Test B, Digit Symbol Substitution, Purdue Pegboard assembly, Digit Span Test, Benton Visual Retention, and Purdue pegboard both hand). 3.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age, sex, job duration, education level, BMI, smoking and drinking status), the sign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patella lead were negative for 12 of the 14 tests. Patella lead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orer scores on 8 tests (simple reaction time(ms). Purdue Pegboard assembly, Digit Span Test, Benton Visual Retention. Pursuit Aiming rest (no. of correct & no. of incorrect), Purdue pegboard non-dominant hand and both hand). With above results, blood lead and patella lead were associated with poorer performance of neurobehavioral tests. In addition, patella lead was confirmed to be better predictor of manual dexterity test in neurobehavioral test battery in lead workers

남성 근로자의 재흡연에 관련된 요인 (Factors Affecting Re-smoking in Male Workers)

  • 양진훈;하희숙;임지선;강윤식;이덕희;천병렬;감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2호
    • /
    • pp.208-214
    • /
    • 2005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re-smoking in male workers. Methods: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April 2003 to examine the smoking state of 1,154 employees of a company that launched a smoking cessation campaign in1998. Five hundred and eighty seven persons, who had stopped smoking for at least one week,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smoking cessation success or failure for 6 months, and looked at the factors having an effect on re-smoking within this period. This study employed the Health Belief Model as its theoretical basis. Results: The re-smoking rate of the 587 study subjects who had stopped smoking for at least one week was 44.8% within the 6 month period. In a simple analysis, the re-smoking rates were higher in workers with a low age, on day and night shifts, blue collar, of a low rank, where this was their second attempt at smoking cessation and for those with a shorter job duration (p<0.05). Of the cues to action variables in the Heath Belief Model, re-smok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factor, economic advantages of smoking cessation among the perceived benefits factor, the degree of cessation trial's barrier of the perceived barriers factor, smoking symptom experience, recognition of the degree of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due to smoking (p<0.05).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re-smoking,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age, perceived susceptibility for disease, economic advantages due to smoking cessation, the perceived barrier for smoking cessation,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due to smoking and the number of attempts at smoking cessation (p<0.05). Conclus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for an effective smoking ban policy within the work place, health education that improves the knowledge of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smoking and the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will be required, as well as counter plans to reduce the barriers for smoking cessation.

Preventable Lifestyle Risk Factors for Non-Communicable Diseases in the Pakistan Adolescents Schools Study 1 (PASS-1)

  • Khuwaja, Ali Khan;Khawaja, Saleem;Motwani, Komal;Khoja, Adeel Akbar;Azam, Iqbal Syed;Fatmi, Zafar;Ali, Badar Sabir;Kadir, Muhammad Masood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4권5호
    • /
    • pp.210-217
    • /
    • 2011
  • Objectives: The rising burden of preventable risk factors for non-communicable diseases (NCDs) among adolescents is a major public health challenge worldwide. We identified the preventable risk factors for NCDs in adolescents. Methods: In a school-based study, pre-tes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414 adolescents (14 to 17 years) at six schools in three cities in Pakistan. The chi-squared test and adjusted odds ratio (aOR)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in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ver 80% of the adolescents had unhealthy diets, and 54% were physically inactive. Most adolescents were exposed to passive smoking, and 14% were also current smokers. More than one-third of participants chewed betel nut, and one-quarter used oral tobacco. More girls were physically inactive (OR, 4.07; 95% CI, 2.69 to 6.17), whereas a greater proportion of boys were current smokers (OR, 2.17; 95% CI, 1.19 to 3.91), exposed to passive smoking (OR, 2.57; 95% CI, 1.72 to 3.83), and using betel nut (OR, 2.03; 95% CI, 1.34 to 3.06). Only 3.1% of the participants were without any preventable lifestyle risk factor for NCDs, and over 80% had ${\geq}$2 factors. Co-existence of risk factors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fathers being blue-collar workers (aOR, 3.57; 95% CI, 1.07 to 11.92) and parents not treating their child fairly (aOR, 5.05; 95% CI, 1.29 to 19.78). Conclusions: Most of the adolescents studied had preventable risk factors for NCDs. These results warrant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interventions to prevent lifestyle risk factors, and parents are front-line stakeholders.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Class on the Leisure Activities in Korea: based on types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 남은영;최유정
    • 한국인구학
    • /
    • 제31권3호
    • /
    • pp.57-84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 여가문화의 유형과 사회계층 변수별 차이를 규명하는 한편, 계층 변수가 여가의 객관적, 주관적 차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전국가구에 거주하는 1376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의 전반적 실태를 살펴보면 여전히 가장 많이 영위되는 여가활동은 TV/DVD/비디오 보기이고 그 밖에도 주로 집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선호된다. 여가 유형은 "활동형"과 "음주형", "휴식형", "관계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여가의 기능은 주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강화시켜주는 것이다. 여가의 목적으로는 휴식과 재충전이 가장 중시되고, 유용한 대인관계 형성이 그 다음이다. 또한 자유시간에 일 생각을 많이 하는 등 여가에 대한 효용감이 낮다. 셋째, 관계형, 활동형, 음주형 여가에서 고학력, 고소득층의 참여 정도가 확연히 높다. 휴식형 여가에서는 교육과 소득에 따른 차이가 없다. 직업별로는 학생과 주부의 참여도가 전 여가유형에서 높은 가운데, 관리/전문직 및 사무직/준전문직이 상대적으로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다. 넷째, 여가활동의 객관적 수준을 나타내는 여가활동지수에 대한 소득, 교육, 직업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활동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활동지수가 여가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가운데,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다. 직종별로는 학생이 여가만족도가 높고 판매서비스직과 생산/기능/노무직은 낮다. 동거가족수는 여가만족도와 반비례한다. 활동형 여가가 가장 여가만족도가 높고 음주형 여가가 가장 낮다. 여가활동을 다양하게 자주 즐길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활동형 여가가 삶의 만족도를 가장 크게 향상시킨다.

대구시민의 의료기관 이용률과 연관요인 (Utilization Rate of Medical Facili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Taegu)

  • 김석범;강복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1호
    • /
    • pp.29-44
    • /
    • 1989
  • 도시지역 주민의 의료기관 이용률과 그 관련요인을 조사분석 하기 위하여 1988년 7월 3일부터 7월15일까지 1단계 단순집락 표본추출을 통하여 선정한 대구시 남구 지역의 450가구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431가구 1,723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자 1,000명당 조사기간 2주간의 급성이환율은 101이었고 9세이하군에서 202로 가장 높았고, 지난 1년간 만성이환율은 77이었으며 고연령층, 저소득층 그리고 의료보호 적용군 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대상자 1,000명당 2주간의 의료기관 이용률은 689이었고, 이중 병의원이용률이 294로 가장 높았고, 약국 보건소 그리고 한의원 및 한약방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785회로 남자 591보다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70세이상 군이 2,022회로 가장 높았다(p<0.01). 그외 특성에서는 의료보호 적용군 2,057(p<0.01), 월30만원미만 소득군 346, 자영업이 907로 가장 높았다. 2주간의 의료기관 이용자 1인당 평균 방문회수는 3.25회이었고, 이중 병의원이 3.26회로 가장 많았으며, 한의원 및 한약방, 약국 그리고 보건소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47회로 남자보다 많았다. 그외 50대연령군이 5.02회, 의료보호적용군 6.41회, 월30만원미만 소득군 3.78회, 그리고 생산직이 3.64회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 1,000명당 연간입원율은 27.6이었고, 여자 38.9 남자 16.3으로 여자가 높았고 연령별로는 70세이상군이 133.3으로 가장 높았다. 의료보장상태별로는 의료보험적용군이 비적용군보다 2배이상 높았으며, 의료보호적용군에서는 한건도 없었다. 월 30만원미만 소득군이 20.8로 가장 낮았으며 소득이 증가할수록 입원율이 높아졌다. 직업별로는 무직 및 기타직이 35.9로 가장 높았고, 전문, 관리 및 사무직이 가장 낮았다. 입원의료 이용자 1인당 연평균 입원일수는 총 22.5일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28.1일로 여자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40대가 72.3일로 가장많았다.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군이 28.8일, 월 30만원미만 소득군이 44.5일 그리고 무직 및 기타직이 21.9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 1,000명당 연간 총 입원일수는 560일이었으며, 여자가 661일로 남자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70세이상군이 2,800일로 가장많았다. 의료보험 적용군이 비적용군보다 3배이상 많았으며, 직업별로는 무직 및 기타직이 789일로 가장 많았다. 2주간 병의원 이용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지수형회귀분석에서 유의한 계수는 9세이하군(+), 70세이상군(+), 급성질병(+), 만성질병(+), 공 교의료보험적용(+),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 그리고 전문, 관리 및 사무직(-) 등이었다. 약국이용여부 분석에서는 9세이하군(+), 50-69세군(+), 70세이상군(+), 금성질병(+), 만상질병(+) 그리고 공.교의료보험적용(-) 등이 유의하였다. 2주간의 병의원 외래이용회수에 대한 중회귀분석에서는 급성질병(+), 만성질병(+)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 전문, 관리 및 사무직(-) 등이 유의한 변수였으며, 약국이용회수 분석에서는 급성질병(+), 만성질병(+), 공.교의료보험적용(-) 그리고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등이 유의하다. 연간 입원의료 이용여부에 대한 지수형 회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는 9세이하군(+), 70세이상군(+), 만성질병(+), 공.교의료보험적용(+) 그리고 직장, 직종 및 지역의료보험적용(+) 등이었다.

  • PDF

남성적-여성적 의복이 직장여성의 직업특성과 직업적합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I) -Suit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sculine-Feminine Clothing Image o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Suitability(I) -Suit-)

  • 김광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Ⅰ) the effect of a masculine-feminine image in women's suit on the perception of the weare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of the clothing for certain occupations, and (2) the effect of perceiver's sex, sex-role attitudes, and occupation on the perception formed by the function of clothing cues. The research design of the study consisted of 2(pink and navy blue colors) × 4(masculine and feminine forms) factorial design of a suit.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uli and 2 response scales. The stimuli consisted of 8 drawings of woman's clothing made by systematic manipulations of 2 independent variables(color and form) in drawings of suit.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perceptions of the weare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of the masculine or feminine clothing for certain occupation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with a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 composed of 21 bipolar adjectives. Perception of ccupational suitability was assessed with 12 items of 5-point Likert type questions. In addition, the Bem Sex-role Inventory was used to assess perceiver's sex-role attitudes. The subjects consisted of 393 men and 389 women, whose occupations were classified as professionals,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white-collar worke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8 suit.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ANOVA, ANOVA, Mean and S.D. Three factors emerged to account for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ese factors were given the titles of (1) activity, (2) potency, and (3) evaluation factors. The activity factor was the largest, including 9 adjectives. Differences in the form of the suit had effects on potency and evaluation for both sexes, while it also had some effect on activity for women. The color of the suit had some effect on evaluation for both sexes. Strong effects of color and form on the suit were seen in perception of occupational suitability for the occupations of attorney(masculine) and secretary(feminine). On suitability for secondary school teaching occupation, the effects of color and form of suit differed by sex of the subjects. Perceiver's sex-role attitudes and occupation paritall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the weare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of the clothing for certain occupations. In summary, a masculine-feminine image of cloth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on suitability of the clothing for certain occupations.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implicit personality theory on person perception and also the stereotypes of sex-roles o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suitability.

  • PDF

컨설팅 실행기업의 조직특성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조기업 M사 생산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nsulting-recipient Company'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n Consulting Performance)

  • 김정기;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139-155
    • /
    • 2013
  • 본 연구는 HR 컨설팅을 받은 제조기업 M사의 생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받은 기업의 조직특성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컨설팅 성과는 해당 기업이 HR 컨설팅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착안하여 인사제도 개선여부와 조직구성원 인식변화를 중점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HR효과성과 조직몰입의 두 가지 차원의 변수로써 확인 하였다. 분석결과, 조직특성을 나타내는 친밀성, 권한위임, 윤리경영, 의사소통, 공유가치의 모든 하위 변수들이 유의수준 P<.05에서 HR 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HR 효과성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도 긍정적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특성의 모든 하위 변수들이 전체 컨설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산직 종사자들에 대한 컨설팅 성과 즉, HR 효과성과 조직몰입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가족과 같은 분위기의 친밀한 조직을 만들어주고, 적절한 권한위임이 되도록 규정과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며, 기업이 윤리경영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마지막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 활동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