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Product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8초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급여가 비육돈의 생산성, 혈액성상, 육질특성 및 육내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Wild-ginseng Culture by-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Ginsenoside Concentration of Meat in Finishing Pigs)

  • 장해동;김해진;민병준;조진호;진영걸;유종상;이재정;한무호;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29-340
    • /
    • 2007
  • 본 시험은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급여에 따른 돼지 생산성, 혈액특성, 육질 특성 및 돈육내 진세노사이드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시험 동물은 3원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비육돈 48두를 공시하여 7주간 실시하였고, 시험 개시체중은 76.26±1.06kg이었다. 시험 사료는 기초사료를 대조구(CON)로 설정하였고, 처리구 1(FWG1)은 기초사료에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2.5%을 첨가하여 배합하였고, 처리구 2(FWG2)는 기초사료에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5.0%을 첨가하여 배합하였다. 시험구는 각 처리당 4마리씩 4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성장률에서는 49일간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서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건물 소화율에서는 CON 처리구에 비해 FWG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혈액내 콜레스테롤 농도에서 HDL 콜레스테롤은 FWG1 처리구에 비해 CON 처리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질특성에서 지방산패도는 CON 처리구에 비해 FWG1과 FWG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검사에서는 근내 지방도는 FWG1 처리구에 비해 CON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경도는 FWG1와 CON 처리구가 FWG1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다(P<0.05). 육색에서 등심의 L*은 FWG1 처리구와 비교하여 CON과 FWG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P<0.05). 등심의 a*와 b*은 CON 처리구와 FWG1처리구와 비교하여 FWG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내 ginseno- side는 CON 처리구에 비해 FWG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은 비육돈에서 건물 소화율, 지방산패도, 경도, 육색 및 육내 ginsenosid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혈액 산성화 기전 조절을 통한 숙취해소 효과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CTE) on Ethanol-Induced Hangover via Modulating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Blood Gas Levels in Rats)

  • 최나은;노주예;이주영;류진협;조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18-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섭취한 흰쥐에서 알코올 대사와 혈액가스 불균형에 대한 꾸지뽕 나무 뿌리 추출물 (이하 CTE)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알코올을 10 ml/kg의 농도로 흰쥐에게 경구 투여하였고, 섭취 30분 후 CTE를 500 mg/kg 및 750 mg/kg의 농도로 투여하였다. 혈액은 알코올 섭취 1시간, 3시간, 5시간 후 꼬리 정맥을 통하여 채취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 음료 (컨디션)를 사용하였다. 약물 처리는 모두 단회 경구 투여로 진행되었다. CTE의 섭취는 흰쥐의 혈액과 간 조직 내 알코올 대사 효소인 알코올 분해효소 (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증가 또는 유지시킴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CTE는 알코올섭취에 의한 혈액가스 (pH, $CO_2$, $HCO_3{^-}$, lactic acid)의 불균형을 회복시켰다. 결론적으로, CTE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음료 보다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CTE를 숙취 해소 및 예방을 위한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고 새로운 물질로써 제시하는 바이다.

해조류 가공식품 및 부산물을 이용한 제품 개발 (Development of Value-Added Products Using Seaweeds)

  • 박양균;강성국;정순택;김동환;김선재;박재인;김창혁;임종환;김정목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33-141
    • /
    • 2007
  • 국내 해조류 자원의 이용성 증대를 위해서 해조류의 기능성, 유산균 생육 특성, 가공식품에의 이용, 생분해성 포장재의 소재, 그리고 부산물을 이용한 동물사료화 및 퇴비화 가능성의 연구 보문을 조사하였다. 기능성물질 연구에서는 유용색소 (Fucoxanthin)의 추출과 부위별 함량 및 분광학적인 특성이 있으며, 해조류로부터 alginate의 함량 조사와 최적추출조건 확립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AASA (Acid alkali soluble alginate) 추출방법에서 3% $Na_2CO_3$ 농도와, $H_2SO_4$의 농도 0.4 N에서 가장 높은 수율을 얻었다. 톳으로부터 산알칼리 (AASA) 방법으로 추출한 알긴산에 인위적으로 sulfate를 흡착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접종한 후 배양하면서 유산균의 성장에 대한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든 농도에서 이들 배지에 S-alginate를 첨가한 것이 유산균의 성장을 증가시켰다. 미역귀 추출물로 잼을 제조하였고, 김, 미역, 다시마의 물 추출물로 물성이 우수하고 관능성적도 양호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해조류 젤리를 상품화하는데 있어서 해조류가 갖는 해조취와 젤리색소의 안정화가 상품화의 요소로 대두되어 이를 개선할 방법도 제시되었다. 해조 간장과 된장 및 두부에서는 다당류나 무기질 등 영양적인 기능성과 관능적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알긴산 필름의 물성 증진을 위하여 $CaCl_2$를 필름용액에 직접 첨가 또는 필름을 $CaCl_2$용액에 침지하는 두 가지 방법에서 수분 저항성이 강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미이용 해조분말이나 해조가공 부산물로 얻어지는 해조분말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분해성 포장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해조류의 영양성분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사료첨가제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었으나 다량의 염분 함량으로 인하여 그 가치가 평가 절하되었다. 따라서 해조류의 사료적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발효처리를 하였으며, 그 결과 기능성 영양소 (불포화 지방산)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었다.

  • PDF

Effects of dietary Antrodia cinnamomea fermented product supplementation on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broiler chickens

  • Lee, M.T.;Lin, W.C.;Lin, L.J.;Wang, S.Y.;Chang, S.C.;Lee, T.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7호
    • /
    • pp.1113-1125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ntrodia cinnamomea fermented product on modulation of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broilers. Methods: Functional compounds and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were detected in wheat bran (WB) solid-state fermented by Antrodia cinnamomea for 16 days (FAC). In animal experiment, 400 d-old broiler chickens were allotted into 5 groups fed control diet, and control diet replaced with 5% WB, 10% WB, 5% FAC, and 10% FAC respectively.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serum antioxidant enzymes and fatty acid profiles in pectoral superficial muscle were measured. Results: Pretreatment with hot water extracted fermented product significantly reduced chicke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death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and 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Birds received 5% and 10% FAC had higher weight gain than WB groups. Cecal coliform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diminish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while diet replaced with FAC. For FAC supplemented groups,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increased at 35 days only, with catalase elevated at 21 and 35 day. Regarding serum lipid parameters, 10% FAC replacement significantly reduced triglyceride and low-density lipoprotein level in chickens. For fatty acid composition in pectoral superficial muscle of 35-d-old chickens, 5% and 10% FAC inclusion had birds with significantly lower saturated fatty acids as compared with 10% WB group. Birds on the 5% FAC diet had a higher degree of unsaturation, followed by 10% FAC, control, 5% WB, and 10% WB. Conclusion: In conclusion, desirable intestinal microflora in chickens obtaining FAC may be attributed to the functional metabolites detected in final fermented product. Moreover, antioxidant effects observed in FAC were plausibly exerted in terms of improved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increased unsaturated degree of fatty acids in chicken muscle and better weight gain in FAC inclusion groups, indicating that FAC possesses promising favorable mechanisms worthy to be developed.

The Importance of Filter Integrity Test to Ensure Sterility of Radiophamaceuticals for Using PET Image

  • Cho, Yong-Hyun;Park, Jun-Hyung;Hwang, Ki-Young;Kim, Hyung-Woo;Lee, Hong-Jae;Kim, Hyun-Ju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74-77
    • /
    • 2008
  • The radiopharmaceuticals are routinely injected to blood vessel for acquiring PET image. For this reason, It is imperative that they undergo strict quality control measures. Especially, Sterility tes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quality control procedures. According to the FDA guideline, It requires filter integrity test used in the processing of sterile solutions. Among several methods, we can decide to use bubble point test. We usually use vented GS-filters (Millipore co., USA) which are sterilizinggrade (0.22 um pore size) and are placed upper site on product vial. After the synthesis of $^{18}F$-FDG, solutions wet the membrane in filter and then go into the product vial. By all synthesis steps have finished, we can observe the presence of the bubbles in the product vial. Since we have started this study, we have never found any bubbles in the product vial. Because the maximum pressure intensity of the filter which has set by manufacturer is up to 5 bars, but helium gas pressure is up to 1 bar in our module system. So, we can make 5 bars pressure using helium gas bombe and increase pressure up to 5 bars step by step. However, it does not happen to anything in vial.

  • PDF

Recent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eat products

  • Seonmin Lee;Kyung Jo;Seul-Ki-Chan Jeong;Hayeon Jeon;Yun-Sang Choi;Samooel J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5호
    • /
    • pp.895-911
    • /
    • 2023
  • Processed meat products play a vital role in our daily dietary intake due to their rich protein content and the inherent convenience they offer. However, they often contain synthetic additives and ingredients that may pose health risks when taken excessively. This review explores strategies to improve meat product quality, focusing on three key approaches: substituting synthetic additives, reducing the ingredients potentially harmful when overconsumed like salt and animal fat, and boosting nutritional value. To replace synthetic additives, natural sources like celery and beet powders, as well as atmospheric cold plasma treatment, have been considered. However, for phosphates, the use of organic alternatives is limited due to the low phosphate content in natural substances. Thus, dietary fiber has been used to replicate phosphate functions by enhancing water retention and emulsion stability in meat products. Reducing the excessive salt and animal fat has garnered attention. Plant polysaccharides interact with water, fat, and proteins, improving gel formation and water retention, and enabling the development of low-salt and low-fat products. Replacing saturated fats with vegetable oils is also an option, but it requires techniques like Pickering emulsion or encapsulation to maintain product quality. These strategies aim to reduce or replace synthetic additives and ingredients that can potentially harm health. Dietary fiber offers numerous health benefits, including gut health improvement, calorie reduction, and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 regulation. Natural plant extracts not only enhance oxidative stability but also reduce potential carcinogens as antioxidants. Controlling protein and lipid bioavailability is also considered, especially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like infants, the elderly, and individuals engaged in physical training with dietary management.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full potential of dietary fiber, encompassing synthetic additive substitution, salt and animal fat reduction, and nutritional enhancement. Additionally, optimal sources and dosages of polysaccharides should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ir distinct properties in interactions with water, proteins, and fats. This holistic approach holds promise for improving meat product quality with minimal processing.

발효 산삼 배양액 부산물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혈액특성 및 난황내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Wild-ginseng Culture By-products on Egg Productivity, Egg Quality, Blood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centration of Yolk in Laying Hens)

  • 장해동;김해진;조진호;진영걸;유종상;민병준;박준철;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1-278
    • /
    • 2007
  • 본 시험은 발효 산삼 배양액 부산물 급여가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 및 난황내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시험 동물은 55주령 ISA Brown 216수를 공시하였고, 6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설정하였고, 처리구 1(WG1)은 기초사료의 lupin 2.5%을 발효 산삼 배양액 부산물로 배합하였고, 처리구 2(WG2)는 기초사료의 lupin 5.0%을 발효 산삼 배양액 부산물로 대체하여 배합하였다. 시험구는 각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12마리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에서 전체기간동안 WG1과 WG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난중은 WG2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난황색은 WG1과 CON처리구가 WG2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난백고와 haugh unit는 WG1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적혈구에서는 WG2 처리구가 CON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LDL 콜레스테롤은 CON 처리구가 WG2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발효 산삼 배양액 부산물은 산란계의 산란율 및 난중을 개선하였다.

뽕잎 함유 대두발효물이 신생 당뇨유도쥐에 미치는 혈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lture Mixed with Mulberry Leaves on Neonatal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황교열;김영훈;조용석;박영식;이재연;강경돈;김근;주동관;안덕균;성수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2-458
    • /
    • 2008
  • 당뇨 환자를 위한 기존의 뽕잎 건강식품의 기능을 보완할 목적으로 뽕잎분말과 DNJ 생산균주인 Bacillus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 혼합물을 신생 당뇨유도쥐에 4주간 경구투여 하여 먹이섭취량, 체중변화, 혈당량, 내당능, 혈중 지질함량, 장기무게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당뇨유도 시험군은 정상시험군(NC군)과 비교하여 사료섭취량은 많았으나 증체량이 적어 낮은 사료효율을 보였다. 그러나 뽕잎(M군) 및 뽕잎함유대두발효물(MM군)의 투여에 의해 사료효율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MM-60군에서 가장 높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1주일 간격으로 4주간에 걸쳐 시행한 혈당량 측정 결과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공복혈당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MM-60군과 MM-120군은 당뇨대조군(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주간의 시료투여 후 경구당부하시험에 의한 내당능 조사 결과 뽕잎투여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혈당량을 꾸준히 감소시켰으며 특히 포도당 투여 후 120분에서의 MM-60군과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량을 보여 뽕잎 단독보다는 대두발효배양물 첨가에 의해 내당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역시 DC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 투여에 의해 지질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량 정도는 총콜레스테롤에서는 MM-60군과 MM-120군에서 그리고 중성지질의 경우에는 M군, MM-60군, MM-120군에서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뇨 유발에 의해 쥐의 간, 신장, 비장, 심장 등 체내 주요장기의 무게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뽕잎 또는 뽕잎함유대두 발효물 투여에 의해 이들 장기의 무게는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특히 MM-60군,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뽕잎분말과 DNJ 생산 균주인 B.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물의 혼합물은 신생 당뇨유도쥐의 제반 당뇨증세 완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은 앞으로 당뇨환자들에 대한 건강식품 소재로 그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하겠다.

가압열처리한 도계부산물의 화학적 조성과 닭에 대한 생물학적 사료가치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Feed Value of Autoclaved Poultry By-products for Poultry)

  • 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85-191
    • /
    • 1997
  • 도계부산물을 사료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머리, 다리, 내장, 혈액, 우모 등 단일 부산물들의 수율과 화학적 조성 및 생물학적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생체중에 대한 머리, 다리, 내장, 혈액 및 우모의 생산비율은 각각 2.93%, 4.78%, 10.98%, 3.91%, 4.83% 였으며 도체율은 72.51%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우모와 혈액이 86.71%와 82.99%로 내장, 다리 및 머리의 64 67%, 58.76% 및 49. 51% 보다 높았으며, 조지방함량은 반대로 머리, 내장 및 다리가 각각 26.19%, 23.96% 및 13.73%로 혈액과 우모콰 6. 96%와 2.96%보다 높았고, 조회분 함량은 다리와 머리가 21. 69%와 20. 38%로 내장, 혈액 및 우모의 8.62%, 3.56% 및 0.96%보다 높았다. Ca, P, K, Na 및 Mg함량은 머리와 다리가 다른 부산물보다 높았고, Fe 함량은 혈액이 가장 높았으며 , 다른 광물질 함량은 큰차이는 없었다. 17개 아미노산의 총량은 단백질함량이 높은 순서로 나타났으나, 높은 단백질 수준에 비해 우모는 특히 Iysine이 부족하였고 serine, glycine 및 cystine을 제외한 기타 아미노산들도 높지 않았다. 아미노산 이용율도 우모가 가장 낮았다. ME 함량은 전반적으로 내장이 가장 높았고 머리, 혈액, 우모, 다리의 순서로 낮았다.

  • PDF

구법(灸法)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및 최근 연구(硏究) 동향(動向) (The Review and Study Trend of Moxibustion)

  • 우현수;이윤호;김창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1-15
    • /
    • 2002
  • Objective : To observe the biological respons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moxibustion and review the trend of related study. Methods : We searched and investigated the journals supplied by Pubmed online site and Je-Han Oriental Medical Academy homepage with the key word "moxibustion". Results : 1. The biological responses of moxibustion reveal on skelectal, digestive, urinary systems, especially blood, angiological systems. 2. The therapeutic effect of moxibustion are analgesic action, controls of excitation or inhibitation of nerve system,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nutrition in organs, increase of absorption of pathlogical product, controls of secreting glands, care of tuberculosis, increase of natural healing power etc. 3. Moxibustions effects on diarrhea, edema, diabetus mellitus, hyperlipiemia, tinnitus, osteoporosis, facial palsy, myopia, pimple etc. 4. Most of moxibustion studys related on immunofunctional actions and renal functional actions. 5. To elevated quality of studies, we needs well-designed epeerimental methods, efficient secure of experimental groups, appropriate statistical verification, accumulations of knowledges about data research. Conclusions : We find out moxibustion is remakble on clinincal therapeutic effects, from now on much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this therap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