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 adjustment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3초

Firing Offset Adjustment of Bio-Inspired DESYNC-TDMA to Improve Slot Utilization Performan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Kim, Kwangsoo;Shin, Seung-hun;Roh, Byeong-he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3호
    • /
    • pp.1492-1509
    • /
    • 2017
  • The wireless sensor network (WSN) is a key technology to support the Internet of things (IoT) paradigm. The efficiency of the MAC protocol in WSN is very important to take scalability with restricted wireless resources. The DESYNC-TDMA has an advantage of simple distributed slot allocation inspired by nature, but there is a critical disadvantage of split slots by firing message. The basic split slot model has less efficiency for continuous packet transmitting because of wasting of the slots less than the packet siz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ring offset adjustment sche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lot utilizations, which can manage the slot assigned to each node as a single large block, called the single slot model. The performance analysis models for both the existing and the proposed schemes are also deriv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 better efficiency of slot utilization than the existing schemes without any loss of the nature of the desynchronization.

번들블럭조정에 있어서 과대오차 탐색 및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SS ERROR DETECTION AND ELIMINATION IN BUNDLE BLOCK ADJUSTMENT)

  • 유복모;조기성;신성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7-54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사진측량에서의 관측값을 대상으로 과대오차 검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잔차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고 최신 분산값(updated reference variance)을 채택하여 기각역을 설정함으로써 여러개의 과대오차를 검출할 수 있고 이들 과대오차를 소거한 후 자체검정 번들 조정법에 정오차 보정을 위한 부가매개변수를 도입하여 3차원 위치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사진측량의 3차원 위치결정에 있어서 관측값에 대해 순차적 data-snooping 법을 적용하여 과대오차를 제거하고 종래의 번들조정법들과 정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과대오차를 제거한 이후에 정오차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으며, 관측값에 두개 이상의 과대오차가 포함되면 최소제곱법의 masking효과에 의해 과대오차가 잔차의 상관성이 가장 큰 점의 검정통계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관성이 가장 큰 점을 먼저 탐색하고, 제거한 후 실제 과대오차를 제거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WMM 모형을 이용한 도시 유역의 유출 및 NPS 오염물 배출 모의 (A Simulation of the Runoff and the NPS Pollutants Discharge using SWMM Model)

  • 신현석;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26권3호
    • /
    • pp.125-135
    • /
    • 199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유역에 적합한 유량 및 수질 모형을 선택하고 그 모형을 임의의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그 적합성을 판정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택된 모형은 EPA의 SWMM 모형으로, 이 모형은 도시유역의 유량 및 수질, 특히 NPS(non-point source) 오염물의 배출의 모의에 적합한 모형이며,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지표면유출을 위해서는 Runoff Block을, 관거 추적을 위해서는 Transport Block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대상유역은 전형적인 도시유역인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유수지 유역이며, 이 유역을 위한 기존의 4개의 연속유량 측정치와 2개의 연속수질 측정치를 가지고 모의를 수행하였다. 유량 및 수질, 특히 NPS 부하량의 검정을 첨두치, 첨두시간, 유출 및 배출 용적과 그들의 상대오차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SWMM 모형은 유출 및 NPS 오염물 배출 모두를 모의하는데 적합한 모형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도시유역의 유출과 NPS 오염물 배출간의 상관관계의 분석 및 그를 통한 유역의 오염물의 년, 월, 부하량의 산정을 통한 물질수지계산 방법의 연구에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C-FDMA 기반 상호협력 릴레이를 위한 효율적인 수신 다이버시티 결합 기법 (An Efficient Receive Diversity Combining Technique for SC-FDMA-based Cooperative Relays)

  • 우경수;김영준;유현일;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4A호
    • /
    • pp.307-31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상호협력 릴레이 시스템에서 MS(Mobile Station)와 RS(Relay Station)가 서로 다른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확산 크기를 갖는 경우에 상호협력 수신 다이버시티 결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DFT 확산 길이 조정부, 위상 회전 보상부, 채널 위상 왜곡 보상부, 상호협력 수신 다이버시티 결합부로 구성된다. 제안된 기법은 상호협력 수신 다이버시티 결합 과정을 주파수 영역에서 스칼라 연산을 통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계산량이 비교적 적고 다중 경로 채널에 강건하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수신 다이버시티 결합 기법이 SC-FDMA 기반 상호협력 릴레이 시스템에서 기존의 MRC(Maximal Ratio Combining) 기법들과 비교하여 성능 향상이 있음을 보인다.

Ext3 파일 시스템 기반의 편집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의 고속 저장 기법 (A Fast Writing Technique of Large-sized Edited Multimedia Files based on the Ext3 File System)

  • 정승완;남영진;서대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2호
    • /
    • pp.89-100
    • /
    • 2009
  •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고화질 미디어의 확산에 따라 휴대폰, 디지털 TV, PMP,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사용자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및 편집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처리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편집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데 있어, 기존 파일 시스템은 많은 시간과 디스크 입출력을 소요하는 성능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xt3 파일 시스템에 아이노드 블록 포인터 재설정을 통한 데이터 블록 공유 기법을 추가하여 편집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기법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형태로 편집된 파일에 대한 Ext3 파일 시스템의 저장 성능을 평균 16배 향상시킬 뿐 아니라, 데이터 블록 공유를 통해 사용된 디스크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보여준다.

사진측량의 정확도향상을 위한 사진 및 측지관측값의 결합조정 (Combined Adjustment of Photogrammetric and Geodetic Observations for Accuracy Improvement)

  • 정영동;강태석;권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5-43
    • /
    • 1989
  • 토지재조사 측량을 위한 수치측량과 대축척 도면의 수정에 있어서는 정밀하고도 조밀한 기준점망의 설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항공사진측량에 있어서는 블럭조정에 지상측량에 의한 조정좌표가 사용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거리, 각, 표고차등 3차원 측지관측값이 사진좌표 및 외부표정 요소 등과 함께 결합조정된 번들블럭조정 방법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이 없거나 배치가 불량한 지역에서도 사친측량의 정확도가 향상 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과대오차를 제거한 조정좌표는 기준점이 부족한 경우에는 결합조정의 정확도가 보다 향상되었으며, 기준점이 전혀없는 경우에도 기준점만으로 조정한 경우에 접근되었다.

  • PDF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기준점측량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Improvement of Control Point Surveying of Photograph Using Digital Camera)

  • 김계동;박정현;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3-211
    • /
    • 2009
  • 국내 디지털카메라의 보급으로 항공사진측량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영상지도 제작이나 수치지형도 제작에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사진의 위치정보나 자세정보 등을 포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보다 정확한 사진기준점 성과를 얻기 위해 추가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카메라(DMC)로 촬영된 5개코스 56매의 사진과 35점의 지상기준점 성과를 이용하여 자동접합점 추출에 필요한 사진주점의 위치정보를 지형도에서 얻어 초기치로 입력한 A방법과 4개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1번의 블록조정을 거친 외부표정 요소를 초기치로 입력한 B방법에 대해, 독일 INPHO사의 사진기준점측량 소프트웨어인 MATCH-AT를 사용하여 기준점 배치별 성과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B방법에 의한 사진 기준점측량의 정확도가 더 양호하였고, 자가 검정을 더하여 블록조정을 실시함으로 보다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자가검정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측량비용 측면에서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Modified Twin Blocks에 의한 성장기 아동의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증례 (A CASE REPORT ON TREATMENT OF CLASS II MALOCCLUSION WITH TWIN BLOCKS IN GROWING CHILD)

  • 양규호;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77-585
    • /
    • 1994
  • The Twin Blocks technique was developed by Dr. William Clark of Scotland during the early 1980's. Twin Blocks are an uncomplicated system that incorporates the use of upper and lower bite blocks. These blocks reposition the mandible and redirect occlusal forces to achieve rapid correction of malocclusions. They are also comfortable and the patients wear them full-time-inducing eating time. Occlusal forces transmitted through the dentition provide a constant proprioceptive stimulus to influence the rate of growth and the trabecular structure of the supporting bone. The features of Twin Blocks mean easier and quicker treatment. The occlusal inclined plane is the fundamental functional mechanism of the natural dentition. Twin blocks are bite blocks that effectively modify the occlusal inclined plane to induce favorably directed occlusal forces by causing a functional mandibular displacement. Upper and lower bite blocks interlock at a $45^{\circ}$ angle and are designed for full-time wear to take advantage of all functional forces applied to the dentition including the forces of mastication.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modified Twin Block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Large overjet and deep overbite were corrected. 2. Class II molar relationship was changed into Class I. 3. Labial inclination of upper incisors was corrected by adjustment of labial bow of upper bite block. 4. The profiles of two patients were improved by anterior displacement of mandible.

  • PDF

소성 역변형법을 이용한 박판 평 블록의 용접변형 제어 (Control of Welding Distortion for Thin Panel Block Structure Using Plastic Counter-Deforming Method)

  • 김상일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91
    • /
    • 2009
  • The welding distortion of a hull structure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is inevitable at each assembly stage. The geometric inaccuracy caused by welding distortion tends to preclude the introduction of automation and mechanization and requires additional man-hours for adjustment work during the following assembly stage. To overcome this problem, a distortion control method should be applie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ccurate prediction method that can explicitly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the welding distortion. The validity of this prediction method must also be clarified through experiment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weld-induced bending deflection, this paper proposes the plastic counter-deforming method (PCDM), which uses line heating as the optimum distortion control method. The validity of this method was substantiated by a number of numerical simulations and actual measurements.

스파크 점화기관에서의 노킹판단 기준값의 자동수정 알고리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Correction Algorithm for the Knocking Threshold in Spark Ignition Engine)

  • 강성현;장광수;서정인;전광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7권7호
    • /
    • pp.32-41
    • /
    • 1999
  • In this study, a new knocking control algorithm was developed using the knock threshold value auto-correction algorithm. This algorithm uses the Fast Fourier Transform9FFT) method by measuring cylinder block vibration signals of a 1498 cc four-cylinder spark ignition engin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knock control algorithm provides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posed FFT algorithm provides real-time adjustment of the knock threshold val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