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raspberr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4초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및 C. acutatum에 의한 복분자딸기 탄저병 (Anthracnose of Black Raspberry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and C. acutatum in Korea)

  • 김주희;정우성;정성수;이기권;이희권;이왕휴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62-64
    • /
    • 2012
  •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전북 고창지역에 재배하는 복분자에서 탄저병이 발생하였다. 탄저병은 처음에 흑갈색의 작은 원형반점들이 잎자루와 줄기에 나타나고 병반이 커지거나 융합되어 불규칙한 병반에 나타난 반점은 대개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융합되거나 진전되어 불규칙한 병반을 형성하기도 한다. 탄저병징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배양형태적 특성조사 결과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ode, C. acutatum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C. gloeosporioides, C. cocodes, C. acutatum 3종의 병원균은 인공접종에 의한 병원성 검정에서도 동일한 병징을 나타냈다.

초음파 처리에 의한 검정라즈베리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방지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Obtained Using Ultra-sonication)

  • 김기안;권지웅;김용석;박필재;채규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04-510
    • /
    • 2015
  • 본 연구는 검정라즈베리 부산물인 줄기, 잎 및 씨 초음파 추출물의 산화방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산화방지 활성을 가지는 식품 및 의약품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검정라즈베리 부위별을 물 및 25, 50, 75, 10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초음파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검정라즈베리 줄기의 25, 5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348.21{\pm}5.40$, $343.39{\pm}5.94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잎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61.06{\pm}3.57mg/g$, 씨의 경우는 75% 에탄올 추출물이 $266.29{\pm}2.51mg/g$으로 나타나 줄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페놀성 화합물 10종의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갈산과 엘라그산이 가장 높은 함량의 화합물로 분석되었고, 쿼르세틴, 페룰산, 쿠마르산, 카페산, 루틴, 루테올린은 모든 추출물에서 분석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추출용매간에 함량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줄기는 25% 에탄올 추출물이 $76.02{\pm}4.23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잎의 경우는 50% 에탄올 추출물이 $82.28{\pm}0.54mg/mL$로 가장 높았으며, 씨의 경우는 75% 에탄올 추출물이 $82.40{\pm}2.49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화방지 활성 검증을 위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의 $EC_{50}$ 값을 비교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던 줄기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씨>잎 순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고, 추출용매 조건에 따라서 활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줄기>씨>잎 순으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고, 검정라즈베리 부산물인 줄기, 잎 및 씨 모두 높은 수준의 산화방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출조건으로는 줄기의 경우 25, 50% 에탄올, 잎의 경우 50% 에탄올, 씨의 경우 75% 에탄올 용매 조건에서 산화방지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검정라즈베리 부산물인 줄기, 잎 및 씨 모두 산화방지 활성이 우수한 천연소재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특히 줄기의 경우 산화방지 활성이 매우 뛰어나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과 같은 산업적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ative Study of Red Wine and Korean Black Raspberry Wine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lated Gene Expression

  • Choi, Hyuek;Myung, Kyu-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14-517
    • /
    • 2005
  • Abilities of Korean black raspberry (KBR) wine to induce differentiation of 3T3 L1 adipocytes and express HepG2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 gene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red wine. Red wine attenuated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faster than KBR wine and control. KBR wine decreased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HepG2 cells at a similar level to that of red wine, resulting in similar degrees of suppression in apolipoprotein B100, and enhancement in LDL receptor and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mRNA levels.

산지별 복분자와 시판 복분자주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Fruits (Bokbunja) and Wines in Korea)

  • 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51-459
    • /
    • 2013
  • 국내 주요 산지 9개소(전북 고창, 순창, 정읍, 전남 함평, 강원도 횡성, 충남 당진, 충남 논산, 경남 거창, 전남 곡성)에서 생산된 복분자와 전국에서 시판되는 24종의 복분자주를 수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각 지역별 복분자와 시판 복분자주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당도와 총산도, L값, b값, Hue, Intensity와 같이 색상관련 항목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phenolic), 유기산 함량에서 시료간의 차이가 컸다. 일반적으로 음료 및 주류로의 제품화에서 주요 항목인 총 산도, Brix, 환원당에서 정읍(naja) 시료가 다른 지역의 복분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곡성(woori)과 논산(neulso) 시료의 경우 색상 진하기 정도인 Intensity,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기산 수준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여 착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품종 개량이나 재배 환경 최적화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복분자 품종에 대한 정확한 조사 및 관리가 명확하지 않아 품종이나 지역 간의 비교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다. 향후 복분자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원료인 복분자의 품종, 재배지역 및 재배 방법 등에 따른 다양한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분석과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복분자주의 경우도 이화학적 특성에서 지역 간의 차이보다 각각 시료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향후 관능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통한 좀 더 상세한 연계조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토종효모를 이용한 복분자 발효주의 바이오제닉아민 함량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Biogenic Amines Content and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lack Raspberry Wine Using Traditional Yeast)

  • 윤해훈;손락호;류은혜;정지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6-303
    • /
    • 2015
  • We investigat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wine made using traditional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8, B6, GBY2, GBY3) and S. cerevisiae Fermivin (FM), which is widely used in wine manufacturing, and analyze the biogenic amine content and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Black raspberries were separately inoculated with yeast up to $1{\times}10^9CFU/kg$, followed by incubation at $25^{\circ}C$ for 7 days. FM produced the highest alcohol content, however the f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ine made using four different yeasts were similar. S. cerevisiae A8 had a large biogenic amine (BA) content, specifically tryptamine, thus we excluded this yeast from fermentation. S. cerevisiae GBY3 was selected for black raspberry wine fermentation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wo wines (S. cerevisiae GBY3 and FM)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37 compounds in the samples were separated, and several este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greater amounts in the wine made with S. cerevisiae GBY3 than in the wine made with FM. A greater amount of the major compound, ethyl benzoate, giving the sweet and fruity flavor, was identified in wine made with S. cerevisiae GBY3 than in the wine made with FM. In conclusion, S. cerevisiae GBY3 was confirmed to produce no major BAs and a better flavored wine. These results give new leads in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wine.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다양한 베리류의 피부노화개선 효과 비교 (The Anti-aging Effects of Various Berries in the Human Skin Keratinocyte (HaCaT) Cells)

  • 이수정;최혜란;이진철;박희전;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8-204
    • /
    • 2014
  • 다양한 베리류인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 블루베리(야생종), 블랙초크베리 및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효과, MMP-1 발현 억제활성 그리고 ROS 생성 저해효과를 비교해보았다.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효과 비교에서 복분자와 블루베리(재배종)의 TNF-${\alpha}$ 억제활성이 가장 뛰어났고, IL-6의 경우 블랙초크베리, 블루베리, 복분자 순으로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블랙초크베리, 블루베리(야생종), 복분자가 IL-8의 발현을 눈에 띄게 억제 하였다. 더불어 복분자와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에 대해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복분자와 오디를 각각 $250{\mu}g/mL$씩 함께 처리한 결과 복분자 $250{\mu}g/mL$과 오디 $250{\mu}g/mL$의 농도로 동시에 처리할 경우, 복분자와 오디를 각각 500 ${\mu}g/mL$로 처리한 그룹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오디만을 처리했을 때보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리류 착즙액을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MMP-1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그중에서도 특히 블루베리(야생종)의 효과가 가장 탁월하였다. 복분자($250{\mu}g/mL$)와 오디($250{\mu}g/mL$)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과 복분자 또는 오디를 각각 500 ${\mu}g/mL$로 처리한 그룹을 비교해본 결과, 복분자와 오디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이 복분자와 오디만을 각각 처리한 그룹보다 MMP-1 mRNA의 발현이 좀 더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ROS 생성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블랙초크베리가 가장 뛰어났고 그 다음으로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의 순으로 두 착즙액의 ROS 생성 저해 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분자 $250{\mu}g/mL$과 오디 $250{\mu}g/mL$의 농도로 동시에 처리그룹의 경우 ROS 생성에 대한 시너지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다섯 가지 베리류 즉,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 블루베리(야생종), 블랙초크베리 및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과 MMP-1 mRNA 발현 및 ROS 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는 각각의 베리류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다섯가지 베리류 모두 항염증, 항산화 작용을 통해 피부노화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산 나무딸기류 과일의 항산화 및 암세포 항증식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Rubus Fruits in Korea)

  • 정하나;이희재;조현노;황금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49-16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한 나무딸기류 과일(blackberry, Korean raspberry, black raspberry, boysenberry, golden raspberry)을 손으로 으깨거나 녹즙기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이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능을 분석하고, in-vitro 모델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NO 소거능과 암세포항증식 활성을 분석하였다. 과일추출물의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각각 0.6~8.9 mg/g과 0.1~7.9 mg/g으로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였다. Black raspberry 추출물은 갈지않고 추출하여도 다른 나무딸기류 과일에 비하여 polyphenol과 flavonoid를 매우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blackberry, Korean raspberry, golden raspberry를 갈아서 추출한 것이 으깨어서 추출한 것보다 polyphenol 함량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총 polyphenol(R=0.995) 및 flavonoid(R=0.967)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 모두 0.2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NO소거능을 보였으며, 과일을 으깨어 추출한 것과 갈아서 추출한 것 간에 차이는 없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을 0.1, 0.25, 0.5 mg/mL의 농도로 HT-29와 KATO-3 암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이들 세포의 증식을 각각 3~32%와 0~57%씩 억제시켰다. Blackberry와 Korean raspberry는 0.5 mg/mL 농도에서 갈아서 추출한 추출물이 으깬 것보다 유의적으로 HT-29 암세포 증식을 억제했으며, KATO-3 암세포에서는 과일을 으깨어 추출한 것과 갈아서 추출한 것 간에 차이가 없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의 NO 소거능이 증가할수록 HT-29(R=0.602)와 KATO-3(R=0.498)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추출방법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권지웅;이희권;박희전;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concerning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from unripened fruit of Rubus coreanus Miq. The extraction methods were HWE (hot water extraction for 4 hr at $100^{\circ}C$), SFE (extraction for 3 hr at $40^{\circ}C$ under 300 bar, 100% of $CO_2$ fluid), US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for 4 hr at $50^{\circ}C$ with water), USE+HWE (hot water extraction for 2 hr at $100^{\circ}C$ after ultrasonification process for 2 hr), VE (vacuum extraction for 4 hr at $90^{\circ}C$ under 0.9 bar with water). VE extrac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78.78{\pm}3.79\;mg/g$) and total flavonoid ($40.93{\pm}0.68\;mg/g$). $IC_{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HWE extract showed the lowest $35.39{\pm}0.25{\mu}g/mL$, $12.61{\pm}0.31{\mu}g/mL$ and $1.31{\pm}0.02{\mu}g/m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IC_{50}$ values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VE and HWE extracts showed lower $14.34{\pm}0.20{\mu}g/mL$ and $15.83{\pm}0.20{\mu}g/mL$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HWE and VE extracts have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xtracts; these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주요 산지별 제조 복분자주의 기호도 및 휘발성분 분석 (Volatile Analysis and Preference Measurement of Korean Black Raspberry Wines from Different Regions)

  • 이승주;이광근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02-307
    • /
    • 2009
  • 국내 주요 복분자 산지인 고창, 정읍, 횡성, 순창산 복분자로 복분자주를 제조하여 제조 복분자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과 기호도 조사를 통해 산지별 차이를 파악하였다. 복분자주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phenylethyl alcohol, isoamyl alcohol, diethyl succinate, isobutyl alcohol, acetic acid, octanoic acid, benzoic acid, $\alpha$-terpineol, myrtenol, pcymene-8-ol이 동정되었고 특히 적포도주에 비해 terpene류가 많이 검출되어 복분자주의 odor-active compounds를 분석하기 위해 gas-chromatography-olfactometry를 포함한 다양한 향기성분 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Ester류는 횡성산과 정읍산 복분자주에서 많이 검출되었고 alcohol과 acid류도 횡성산에서 가장 많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Terpene류는 정읍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차후 이들 시료에 대한 묘사분석을 통해 향기성분과의 상관관계 분석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제조복분자주에서 고창, 순창, 횡성, 정읍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횡성과 정읍 시료의 경우 단맛은 약하고 신맛은 너무 강한 것으로 나타나 당산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black raspberry and their effect on BALB/c mice gut microbiota

  • Choi, Hye Ran;Chung, Yi Hyung;Yuk, Hyun-Gyun;Lee, Hyunki;Jang, Han Su;Kim, Yosum;Shin, Daeke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747-1754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obiotic effects of two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GBL16 and 17) isolated from black raspberry.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GBL16 was gradually decreased as bile sal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0.3 to 1%. However, GBL17 did not show any difference when GBL17 was applied to 1% bile salt, and it indicates that GBL17 is more tolerant to bile salt than GBL16. GBL17 exhibited higher heat resistance and adhesion ability to Caco-2 cells than GBL16. Regarding gut microbiome,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in intestines of mice after treatment with GBLs was determined. However, the combination of GBL16 and GBL17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in intestines of mice after they were orally administered.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GBL16 and 17 strains could be one of major probiotics that can improve human gut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