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n-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고추 세균점무늬병에 대한 Bion-M의 방제 효과 (Controlling activity of Bion-M against bacterial spot caused by Xanthomonas euvesicatoria)

  • 김아형;연초롱;김주형;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1-177
    • /
    • 2012
  • 온실에서 6엽기까지 재배한 고추 유묘(품종: 왕대박)에 병원균을 접종하기 7일 전에 Bion-M을 농도별로 토양 관주 처리한 후에, 세균점무늬병균인 Xanthomonas euvesicatoria 1523의 현탁액을 고추 잎 뒷면에 분무접종하였다. 이 때 세균 현탁액의 흡광도는 0.5로 조절하였다. 무처리구에서는 75%의 발병도를 보였으며, Bion-M을 20 ${\mu}g\;mL^{-1}$의 농도로 관주처리한 처리구에서는 19%의 발병도를 보여 74.7%의 효과를 보였다. Bion-M의 처리 농도가 4.0과 0.8 ${\mu}g\;mL^{-1}$일 경우에는 49.3과 29.3%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Bion-M을 20 ${\mu}g\;mL^{-1}$로 관주처리하였을 때에는 병원균의 접종농도와 관계없이 병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고추 유묘의 잎 색이 황화되며 하위엽은 탈락하는 약해 증상이 관찰되었다. Bion-M을 4.0 ${\mu}g\;mL^{-1}$로 처리하였을 때, 낮은 병원균 접종구에서는 97.8%, 높은 농도 접종구에서는 86.0%의 우수한 효과를 얻었다. 하지만 4.0 ${\mu}g\;mL^{-1}$의 처리구에서도 유묘의 생육이 저해되는 약해증상이 관찰되었다. 고추 성체에 병원균을 접종하기 2일 전과 7일 전에 Bion-M을 관주처리한 경우, 2일 전보다 7일전 처리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2011년 충북 청주시 포장에서 Bion-M의 방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Bion-M을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 및 토양관주 처리하고 병발생 정도를 발병엽율로 조사하였을 때, Bion-M의 경엽과 토양관주처리 효과는 각각 24.0%와 58.4%이었지만, 발병도를 조사하였을 경우에는 58.8%와 71.2%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Bion-M을 토양에 관주처리하였을 경우, 고추 세균점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Enhanced Onion Resistance against Stemphylium Leaf Blight Disease, Caused by Stemphylium vesicarium, by Di-potassium Phosphate and Benzothiadiazole Treatments

  • Kamal, Abo-Elyousr A.M.;Mohamed, Hussein M.A.;Aly, Allam A.D.;Mohamed, Hassan A.H.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71-177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duced defense response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Stemphylium vesicarium by application of benzothiadiazole ($Bion^{(R)}$) and di-potassium phosphate salt $(K_2HPO_4)$ to onion. Onion leaves were sprayed with $Bion^{(R)}$ and $K_2HPO_4$, then inoculated 2 days later with a virulent strain of S. vesicarium under greenhouse conditions. Disease severity and activities of peroxidase (PO), polyphenoloxidase,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nd phenol contents were evaluated in the treated leaf tissues. Reduction in the disease severity was observed in plants treated with $Bion^{(R)}$ and $K_2HPO_4$. Onion plants treated with $Bion^{(R)}$ and $K_2HPO_4$ and inoculated with the pathog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L activity, PO activity, and phenol contents than inoculated water-treated plants 2 days after the treatme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application of simple non-toxic chemical solutions as di-potassium phosphate and $Bion^{(R)}$ can control Stemphylium leaf blight of onion.

Single and Binary Competitive Sorption of Phenanthrene and Pyrene in Natural and Synthetic Sorbents

  • Masud, Md Abdullah Al;Shin, Won Sik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7권6호
    • /
    • pp.11-21
    • /
    • 2022
  • Sorption of phenanthrene (PHE) and pyrene (PYR) in several sorbents, i.e., natural soil, BionSoil®, Pahokee peat, vermicompost and Devonian Ohio Shale and a surfactant (hexadecyltrimethyl ammonium chloride)-modified montmorillonite (HDTMA-M) were investigated. Pyrene exhibited higher sorption tendency than phenanthrene, as predicted by its higher octanol to water partition coefficient (Kow). Several sorption models: linear, Freundlich, solubility-normalized Freundlich model, and Polanyi-Manes model (PMM) were used to analyze sorption isotherms. Linear isotherms were observed for natural soil, BionSoil®, Pahokee peat, vermicompost, while nonlinear Freundlich isotherms fitted for Ohio shale and HDTMA-M. The relationship between sorption model parameters, organic carbon content (foc), and elemental C/N ratio was studied. In the binary competitive sorption of phenanthrene and pyrene in natural soil, competition between the solutes caused reduction in the sorption of each solute compared with that in the single-solute system. The ideal adsorbed solution theory (IAST) coupled with the single-solute Freundlich model was not successful in describing the binary competitive sorption equilibria. This was due to the inherent nature of linear sorption of phenanthrene and pyrene in natural soil.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applicability of IAST for the prediction of binary competitive sorption is limited when the sorption isotherms are inherently linear.

Genetic Distances of Three White Clam (Meretrix lusoria) Populations Investigated by PCR Analysis

  • Kim, Dae-Hyun;Yoon, Jong-M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2호
    • /
    • pp.89-98
    • /
    • 2014
  • The twenty-one individuals of Meretrix lusoria were secured from Gunsan, Shinan and Yeonggwang on the coast of the Yellow Sea and the southern sea in the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Amplification of a single COI fragment (720 bp) was imagined, and no apparent siz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mplified fragments between Meretrix lusoria and M. petechialis individuals. The size of the DNA fragments also varied excitedly, from 200 to 1,600 bp. The oligonucleotides primer BION-08 produced the least loci (a total of 17), with an average of 2.43 in the Gunsan population, in comparison to the other primers used. Remarkably, the primer BION-13 detected 42 shared loci by the three populations, major and/or minor fragments of sizes 200 bp and 400 bp, respectively, which were identical in all samples. The dendrogram gained by the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highlight three genetic clusters: cluster 1 (GUNSAN 01 ~ GUNSAN 07), cluster 2 (SHINAN 08 ~ SHINAN 14) and cluster 3 (YEONGGWANG 15 ~ YEONGGWANG 21).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among the twenty-one Meretrix lusoria individuals that displayed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was between individuals GUNSAN no. 01 and SHINAN no. 14 (genetic distance = 0.574). Comparatively, individuals of SHINAN population were fairly closely related to that of YEONGGWANG population. In this study, PCR analysis has discovered significant genetic distances between two white clam population pairs (P<0.05).

신선초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keiskei Extracts on Melanogenesis)

  • 손형우;남동윤;김민아;차용수;김종명;신용규;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98-1001
    • /
    • 2011
  •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활성을 확인하고 이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B16F10 세포주를 이용한 melanogenesis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신선초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B16F10 melanoma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Melanogenesis 억제 활성에 관련이 있는 분자마커의 확인을 위하여 RT-PCR에 의한 mRNA 발현 수준을 검토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TYR, TYRP-1. TYRP-2의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MITF 전사인자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본 추출물은 독성이 없으므로, 향후 신선초 추출물에서의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단일물질을 분리/조제에 응용한다면 cosmeceutical의 소재로 개발이 기대된다.

신선초 추출물의 아토피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keiskei Extract in an Atopic Dermatitis Animal Model)

  • 김민아;손형우;남동윤;차용수;신용규;최용희;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92-798
    • /
    • 2012
  • 신선초 추출물의 접촉성 아토피 피부염 완화효과를 확인하고 이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선초 DW 추출물, 50% 에탄올 추출물, 100% 에탄올 추출물을 DNFB로 아토피를 유도한 마우스 동물모델에 각각 처리하여 in vivo 실험과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선초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귀 손상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귀 조직을 HE 염색으로 전체 귀 두께와 상피 두께를 측정하였을 때에도 대조군에 비해 상당한 감소를 나타냈다. 또한 RT-PCR로 염증 분자마커인 MMP series의 mRNA 발현수준을 검토한 결과, 신선초 추출물은 MMPs에 비의존적으로 마우스 아토피 피부염의 완화작용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마우스 비장조직세포에서 염증성 cytokine인 IL-4는 신선초 녹즙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IL-13 또한 신선초 녹즙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상당한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선초 추출물의 항아토피 활성을 확인 하였으며, 관련 제품 개발에 유용한 소재가 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약재의 항균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Antimicrobial and Hemolytic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Herbs)

  • 류희영;안선미;신용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0-197
    • /
    • 2010
  •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항균제 개발을 목표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및 수입산 한방 생약재 61종류로부터 원산지별,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68종을 조제하고 이들의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사용한 생약재는 중국산 46종, 국내산 14종, 북한산 5종 및 베트남산 3종이었으며, 사용 생약재의 부위로는 뿌리가 27종으로 많았으며, 열매, 껍질, 줄기, 잎, 종자, 꽃, 균핵, 꽃가루 순이었다. 생약재의 평균수분함량은 7.10% 이었고, 에탄올에 대한 평균 추출율은 6.75%를 나타내었다. Disc-diffusion법에 의한 생약재의 항균활성 결과, 고본(중국산), 팔각향, 등심초, 오배자, 단삼 및 정향에서 광범위한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최소생육억제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MFC)를 평가한 결과, 정향에서 다양한 세균, 진균에 대해1.25 mg/mL의 MIC와 1.25~5.00 mg/mL의 MBC/MFC를 나타내어 가장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등심초, 오배자, 단삼에서는 Escherichia coli와 Pseudomonas aeruginosa 를 제외한 세균에서 0.08~0.63 mg/mL의 MIC와 0.08~2.50 mg/mL의 MBC/MFC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68종 시료의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 평가 결과, 고본(중국산)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17.8%의 용혈활성이 나타나, 이를 제외한 팔각향, 등심초, 오배자, 단삼 및 정향 추출물을 천연항균제 한방자원으로 최종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