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reduction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27초

박테리오파아지 CJø07의 Salmonella enteritidis 감염에 대한 SPF 병아리에서의 효능 평가 (Evaluation of Efficacy of Bacteriophage CJø07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Infection in the SPF Chicks)

  • 임태현;이현정;김명섭;김병윤;양시용;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3-28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SE에 특이적인 박테리오파아지($CJ{\phi}07$)의 사료 및 음수 투여가 어린 병아리의 SE 감염에 따른 장내 균증식과 체외 균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박테리오파아지를 투여한 SPF 병아리에 SE균을 공격 접종 한 뒤, 공격 접종 10일 후 채취한 맹장 분변에 존재하는 SE균 수를 측정한 결과, 박테리오파아지를 투여한 병아리의 맹장 분변 내 SE균 수는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공격 접종 10일 후 사육 시설 표면의 SE균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박테리오파아지를 투여한 그룹의 사육 시설에서 채취한 환경 시료의 SE균 오염율(50%)이 박테리오파아지를 투여하지 않은 그룹의 SE균 환경 오염율(100%)에 비하여 감소되는 것을 통해 박테리오파아지 $CJ{\phi}07$에 의한 장내 균 증식과 체외 균 배출 억제 효능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박테리오파아지 $CJ{\phi}07$는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 가금에서의 SE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thanosolv 전처리에 의한 보릿짚의 리그닌 제거 (Lignin Removal from Barley Straw by Ethanosolv Pretreatment)

  • 김영란;유안나;정봉우;한민희;최기욱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27-5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위한 보릿짚의 전처리에 ethanosolv 방법을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리그닌제거율은 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180^{\circ}C$, $200^{\circ}C$에서 거의 38%정도의 비슷한 제거율을 보였는데 비용절감 등의 부분을 감안할 때 $180^{\circ}C$, 120 min가 적정조건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ethanosolv 전처리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2단계의 전처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볶은 후 ethanosolv 한 보릿짚의 경우 리그닌 제거율은 35%정도로 그렇지 않은 경우와 거의 유사하여 볶음이 리그닌제거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XRD분석을 통하여 전처리 시간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결정성은 감소하였다. 볶은 후 ethanosolv 한 것과 ethanosolv 단독 처리한 보릿짚 사이의 결정성은 미소하지만 물리적 변형을 한 단계 더 겪은 볶은 보릿짚이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플라즈마 방식 열분해 가스화용융시설의 공정별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페놀 배출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lorobenzene and Chlorophenol Behavior in Plasma Type Pyrolysis/Gasfication/Melting Process)

  • 신찬기;신대윤;김기헌;손지환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2호
    • /
    • pp.9-20
    • /
    • 2007
  • The incineration process has commonly used for wastes amount reduction and thermal treatments of pollutants as the technologies accumulated. However, the process is getting negative public images owing to matter of hazardous pollutants emission. Specially dioxins became a main issue and were mostly emitted from municipal solid wastes incineration. In this reason, pyrolysis/gasification/melting process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of incineration process. The pyrolysis/gasification/melting process, a novel technology, is middle of verification of commercial plant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in Korea. But the survey about the pollutant emission from the process, and background data in these facilities is necessary. So in this survey, t is investigated that the behavior of chlorobenzenes and chlorophenols in plasma type pyrolysis/gasification/melting plant of pilot scale. We investigated discharging behavior of each phase of chlorobenzene through each process in the plsasma type pyrolysis/gasification/melting process. From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about 99 percent of particle-phase chlorobenzene was removed, but on the other hand gas-phase chlorobenzene was increased by about 600 percent through heat exchanger, flue gas cooling, system and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Also, this investigation presented that di-chlorobenzene(DCB) tri-chlorobenzene(TCB), tetra-chlorobenzene(TeCB), penta-chlorobenzene (PCB), except mono-chlorobenzene(MCB) and hexa-chlorobenzene(HCB) were increased through the flue gas cooling system and the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It was investigated that concentration of particle-phase chlorophenol was decreased by about 66 percent, but on the other hand, concentration of gas-phase chlorophenol was increased by about 170 percent through heat exchanger, flue gas cooling system, and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Also, it was found that di-chlorophenol(DCP), tri-chlorophenol(TCP), and penta-chlorophenol(PCP) were increased through the flue gas cooling system, and the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It can be considered that small-scale pilot facility and short investigation period might cause the concentration increase through the flue gas cooling system and the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A further study on real-scale pilot facility and accurate investigation may be required.

한강수계 달천의 어류상과 물리적 서식지 조건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Physical Habitat Condition and Fish Fauna in Dal Stream of Han River Basin)

  • 허준욱;강형식;장민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564-571
    • /
    • 2011
  • 하천복원과 환경유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한강수계중 달천에서 어류상, 군집구조 및 물리적 서식조건을 2008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5개지점을 선정하여 실시된 어류 채집결과 총 9과 35종 2,089개체가 포획되었으며, 이중 한국고유종은 줄납자루 및 참종개를 포함하는 총 19종(54.3%)이 출현하였다. 출현어종중 개체수 구성비가 가장 높은 종은 피라미로 30.3%를 차지하였고, 다음은 쉬리 18.0%, 참갈겨니 1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류군집은 상류로부터 하류로 내려갈수록 어종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물다양도는 양호상태를 나타내었다. 집괴분석은 0.63 수준에서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우리나라 대부분 상류하천은 여울과 유수역이 반복되면서 이어지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무분별한 하천사업 및 직강화 수로화 공사로 인해 하천의 서식지 다양성이 계속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생태적 하천복원을 위해서는 각 어종에 대한 물리적 서식 조건을 자세하게 파악하여 서식지 조성에 필요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북향개방지수가 복잡지형의 일 최고기온 추정오차 저감에 미치는 영향 (Performance of Northern Exposure Index in Reducing Estimation Error for Daily Maximum Temperature over a Rugged Terrain)

  • 정유란;이광회;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5-202
    • /
    • 2007
  • 수평면과 경사면간의 일사수광량 편차의 정규화변량인 과열지수는 산악지형에서 일 최고기온 추정오차를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계산의 복잡성 때문에 경사도와 경사방향에 근거한 매개변량인 개방지수를 먼저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과열지수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개방지수 매개 간접추정법이 우리나라와 같이 복잡한 산악지형에서 일 최고기온 추정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도암댐 표준유역(면적 $149 km^2$, 표고범위 $651{\sim}1,445m$)을 대상으로 야외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지역의 30m 해상도 수치고도모형으로부터 시험유역의 166,050개 격자점의 개방지수와 과열지수를 계산하였다. 이들 간의 관계를 계절별 최적 회귀모형으로 나타내고 이로부터 매월 15일의 과열지수를 개방지수로부터 추정하였다. 인근 대관령기상대와 비슷한 고도(해발 844m)에 경사방향이 서로 다른 7개 지점을 선정하여 온도계를 설치하고 2006년 6월부터 2007년 2월까지의 기온을 10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추정오차를 종속변수로, 각 지점의 추정 과열지수를 설명변수로 둔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결정계수가 겨울 0.46, 가을 0.24, 여름 0.02로서 직접 계산된 과열지수를 설명변수로 하는 경우(겨울 0.52, 가을 0.37, 여름 0.15)에 비해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존 처리한 넙치 양식장 사육수의 수질과 미생물 변동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Bacterial Compositions in Culture Water of an Ozonated Flounder Farm)

  • 박성덕;김유희;박정환;김병기
    • 환경생물
    • /
    • 제36권1호
    • /
    • pp.90-97
    • /
    • 2018
  • 본 연구는 넙치 양식장 시설 내로 유입되는 병원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오존 처리 기준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유수식 환경에서 오존 주입량을 $0.3{\sim}3.0mg\;O_3L^{-1}$의 범위로 주입하면서 3분의 반응시간을 가진 후 ORP 320~410 mV에서 TRO가 $0.01{\pm}0.01mg\;L^{-1}$가 검출되었으며, 600 mV와 700 mV에서 $0.07{\pm}0.02mg\;L^{-1}$$0.16{\pm}0.03mg\;L^{-1}$가 검출되었다. 오존 처리에 따라 총세균수는 80.6~97.9%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오존 처리를 통한 미생물 제거효과는 분명하게 나타났다. 230 g 넙치를 $8.0kg\;m^{-2}$ 밀도로 사육한 300~400 mV 실험구에서는 총세균수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특히 400~500 mV에서 Vibrio spp.와 그램음성균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일간사료섭취율은 300~500 mV에서 0.7% 이상을 나타내어 대조구인 자연해수보다 감소하지 않아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넙치 양식장으로 유입되는 병원 미생물은 유입수의 ORP 400 mV 수준에서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Milk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Profile and Metabolic Responses of Dairy Cows Fed with High-temperature-micro-time (HTMT) Treated Diets Containing High Quantity Extruded Soybean (ESB)

  • Lee, H.G.;Hong, Z.S.;Wang, J.H.;Xu, C.X.;Jin, Y.C.;Kim, T.K.;Kim, Y.J.;Song, M.K.;Choi, Yun.-Jae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1호
    • /
    • pp.1504-1512
    • /
    • 2009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high-temperature-micro-time (HTMT) processing of diets containing extruded soybean (ESB) in high quantity on milk fat production, metabolic responses, and the form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trans-vaccenic acid (TVA). Twenty-one multiparous Holstein cows in mid-lactation were blocked according to milk yield in the previous lactation. Cows within each block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normal concentrate or HTMT treated diets containing ESB (7.5% HTMT-ESB and 15% HTMT-ESB).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HTMT-ESB would affect the undegradable fatty acids in the rumen and, thus, would modify the fatty acid profile of milk fat. Both 7.5% and 15% HTMT-ESB did not affect milk yield, fat, protein, lactose and solid-not-fat (SNF), but the proportion of cis-9, trans-11 CLA in milk fa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se treatments. Content of TVA in milk fat was not affected by HTMT-ESB. The HTMT-ESB influenced the fatty acid profile in milk fat,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7.5% and 15% of supplementation. HTMT-ESB feedin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insulin and glucose, while plasma growth hormone (GH), triglyceride (TG),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and HDLcholesterol were increased by 7.5% and 15% ESB-HTMT supplementa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lasma LDL-cholesterol, insulin like growth factor (IGF)-1, T3, T4, and leptin concentrations among treatments (p>0.05).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cis-9, trans-11 CLA production was increased by HTMT treatment of dietary ESB without reduction of milk fat, and the unchanged milk fat and yield was assu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constant level of thyroid hormones, leptin, and IGF-1.

유근피(Ulmus pumila)로부터 분리한 페놀성물질의 미용식품활성 (Beauty Food Activities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Ulmus pumila)

  • 김경범;조분성;이주영;박기태;안봉전;이선호;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07-215
    • /
    • 2012
  • 유근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7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17.9{\pm}1.0mg/g$이 용출되었다. 주름 생성과 관련된 elastase 저해 활성은 $50-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55.5-69.5%의 제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미백효과와 관련된 tyrosinase 저해활성은 $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24%의 저해효과가 측정되었다. Astringent 활성은 $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71%의 활성을 나타내어 모공축소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활성은 $50{\mu}g/mL$ phenolics의 농도에서 80%의 염증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물 추출물의 경우 $50-200{\mu}g/mL$의 phenolics 농도에서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각각 8.7, 10, 11.1 및 11.8 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복합 기능성 화장품(로션)의 안정성은 28일 동안 pH 및 점도의 변화가 없었고, 온도 및 광에 대하여 안정하였다. 제조한 로션은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도는 어둡게 나타났으나, 사용감면에서 8.5점 정도의 좋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Clinical Evidence of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HY7714 on Skin Aging: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 Lee, Dong Eun;Huh, Chul-Sung;Ra, Jehyeon;Choi, Il-Dong;Jeong, Ji-Woong;Kim, Sung-Hwan;Ryu, Ja Hyun;Seo, Young Kyoung;Koh, Jae Sook;Lee, Jung-Hee;Sim, Jae-Hun;Ahn, Young-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160-2168
    • /
    • 2015
  • The beneficial effects of probiotics are now widely reported, although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their anti-aging effects. We have found that Lactobacillus plantarum HY7714 (HY7714) improves skin hydration and has anti-photoaging effects, and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further evaluated the anti-aging effect of HY7714 via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The trial included 110 volunteers aged 41 and 59 years who have dry skin and wrinkles. Participants took 1 × 1010 CFU/day of HY7714 (probiotic group) or a placebo (placebo group) for 12 weeks. Skin hydration, wrinkles, skin gloss, and skin elasticity were measured every 4 weeks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kin water content in the face (p < 0.01) and hands (p < 0.05) at week 12 in the probiotic group. Transepidermal water loss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t weeks 4, 8, and 12 (p < 0.001 compared with baseline), and was suppressed to a greater extent in the face and forearm in the probiotic group at week 12. Volunteers in the probiotic group had a significant reduction in wrinkle depth at week 12, and skin gloss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by week 12. Finally, skin elasticity in the probiotic group improved by 13.17% (p < 0.05 vs. controls) after 4 weeks and by 21.73% (p < 0.01 vs. controls) after 12 weeks. These findings are preliminary confirmation of the anti-aging benefit to the skin of L. plantarum HY7714 as a nutricosmetic agent.

하수관거의 생·화학적 부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o-chemical Sewer Pipe Corrosion In Korea)

  • 김환기;송호면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65-57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하수관거의 생 화학적 부식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기 위함이다. 하수관거 부식의 가장 대표적인 관정부식은 생 화학적반응에 의하여 진행되는데, 그 원인물질은 황화수소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오수발생원에 분뇨정화조와 오수정화시설을 설치하고 있어 간선관거 및 사집관거보다는 상대적으로 지선관거가 부식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관거를 정비하여 분뇨를 직투입하므로써 관거의 수명연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하수도 시스템에서의 황화수소 발생속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하수도 시스템의 분뇨정화조를 재현한 혐기성 반응기와 하수관거를 재현한 튜브반응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황화수소 생성속도는 혐기성 반응기의 경우 $50.4mg-H_2S/g-VSS{\cdot}d$, 혐기성 막반응기의 경우(COD 150~1000 mg/L)는 $2.8{\sim}18.8g-H_2S/m^2{\cdot}d$로 나타났다. 우리 나라 하수관거의 부식양상은 외국과는 다르며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오수발생원에 설치된 분뇨정화조와 혐기성 오수정화시설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황화수소가 간선관거보다 상대적으로 앓은 두께를 가지는 지선을 우선적으로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거 정비사업의 조기착수와 더불어 내식성재질의 보급 및 하수관거 설계방법의 고도화 등과 같은 부식방지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