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io-chemical Sewer Pipe Corrosion In Korea

하수관거의 생·화학적 부식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wan-Gi (Division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ong, Ho-Myeon (Water Resource & Environmental Eng. Div.,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김환기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 송호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Received : 1999.09.21
  • Accepted : 1999.12.31
  • Published : 2000.03.31

Abstract

Sewer pipe in Korea is generally constructed with concrete pipes. Moreover, the sewer system is susceptible to the corrosion problem due to the regulation employing anaerobic treatment processes, such as domest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nightsoil septic tanks and so 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experimental test of $H_2S$ production rate affecting corrosion of sewer pipe in Korea. In this study, tube-type and sealed-type reactor were used to examine the reactions in the microorganism suspended growth and biofilm. Furthermore. concentration changes were investigated with COD and sulfate reduction in each reactor. Sulfide production rate was $50.4mg-H_2S/g-VSS{\cdot}d$ in the sealed-type reactor and in the tube-type biofilm reactor was $2.8{\sim}18.8g-H_2S/m^2{\cdot}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하수관거의 생 화학적 부식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기 위함이다. 하수관거 부식의 가장 대표적인 관정부식은 생 화학적반응에 의하여 진행되는데, 그 원인물질은 황화수소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오수발생원에 분뇨정화조와 오수정화시설을 설치하고 있어 간선관거 및 사집관거보다는 상대적으로 지선관거가 부식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관거를 정비하여 분뇨를 직투입하므로써 관거의 수명연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하수도 시스템에서의 황화수소 발생속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하수도 시스템의 분뇨정화조를 재현한 혐기성 반응기와 하수관거를 재현한 튜브반응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황화수소 생성속도는 혐기성 반응기의 경우 $50.4mg-H_2S/g-VSS{\cdot}d$, 혐기성 막반응기의 경우(COD 150~1000 mg/L)는 $2.8{\sim}18.8g-H_2S/m^2{\cdot}d$로 나타났다. 우리 나라 하수관거의 부식양상은 외국과는 다르며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오수발생원에 설치된 분뇨정화조와 혐기성 오수정화시설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황화수소가 간선관거보다 상대적으로 앓은 두께를 가지는 지선을 우선적으로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거 정비사업의 조기착수와 더불어 내식성재질의 보급 및 하수관거 설계방법의 고도화 등과 같은 부식방지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