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analysis

검색결과 3,812건 처리시간 0.035초

케나프 신육성 및 수집 품종의 생육과 사료적 특성 조사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Varieties as a Potential Forage Crop)

  • 이지연;벨루사미 비제야난드;구자룡;하보근;김동섭;김진백;김상훈;강시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32-1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케나프의 가축 사료용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신품종 장대와 다른 품종들(옥수, C12, C14-DRS)에서 생육특성과 유용물질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돌연변이 신품종 장대가 다른 대조품종들보다는 생육이 좋았는데 특히 생체중, 건물중, 줄기직경, 마디 수에서 대조품종들보다 1.6~3.1배 가량 높은 생육 특성을 보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장대의 줄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잎에서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줄기의 조섬유와 조회분 함량은 계통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잎의 조섬유 함량은 C14-DRS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장대가 높았다. ADF함량은 옥수의 줄기와 잎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NDF는 장대의 줄기와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옥수, C12, 장대, C14-DRS순으로 나타났다.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 수소 생산을 위한 산(acid) 전처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bio-$H_{2}$ production from acid pretreated microalgal biomass)

  • 윤여명;정경원;김동훈;오유관;신항식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1호
    • /
    • pp.78-8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제 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를 이용한 혐기성 암발효 수소 생산 과정에서 산 전처리의 최적화를 통계학적 실험방법인 반응표면법을 적용하여 도출 하였다. 1~3% (v/w)의 산 농도와 10~60 min 전처리 시간을 최적화 실험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기질농도 76 g dcw/L와 초기 pH는 7.4로 고정하였고 수소발효 운전 중에 pH는 조절하지 않았다. 최적화 결과 HCl 1.2%와 반응시간 48 min에서 가장 높은 수소전환율인 36.8 mL $H_{2}/g$ dcw을 얻었으며 이때 가용화율은 18.9%로 나타났다. 정확도는 $R^{2}$=0.95로 매우 정확한 상관계수를 보였고 ANOVA test를 통해 예측된 수소전환율에 관련한 경험식은 a quadratic polynomial equation 으로 나타났으며 반응시간보다 산주입농도가 수소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책 연구 성과의 유상 기술이전 시 기술공급 기관과 기술도입 기업 간 기술료 결정요인 비교에 관한 연구 : N 사업단에 참여한 대학과 중소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Priority of the Royalty in National R&D Project: Focused on the Case of 'N' Center's Technology Transfer)

  • 백종일;현병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30-45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책 연구 성과의 기술거래에서 기술공급 기관과 기술도입 기업 간에 작용하는 기술료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기술이전 관련 기관, 기술공급 및 도입 기업 등 이해 관계자에게 유의한 정보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21 국책 연구 사업을 추진한 N사업단의 대학과 중소기업간 기술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96개 기술공급 기관과 85개의 기술도입 기업에게 2016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 2개월 동안 AHP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각 기술거래 당사자 간 기술료 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거래 양 당사자는 '기술 활용의 수익성'과 '경영진의 기술도입 의지'를 중요한 기술료 결정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는 반면, 기술공급 기관은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시장 경쟁력' 요인을, 기술도입 기업은 '기업의 가용 예산범위'를 더 높은 상대적 중요성으로 인식하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산업 현장의 구체적 니즈를 반영한 기술수요 조사, 기술료 지불 방법의 다양화, 기술이전을 목적으로 한 연구 평가 지표의 차별화, 기술개발 시급성을 반영한 연구 과제 추진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어린이활동공간에서의 바이오에어로졸 포집 전략 (A Suggested Air Sampling Strategy for Bioaerosols in Daycare Center Settings)

  • 조정흠;박준식;김성연;권명희;김기연;최정학;서성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333
    • /
    • 2016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sampling performance of different flow-based impactor samplers for collecting fungal spores and bacteria and to explore the association of the level of bioaerosols with activity patterns of occupants in daycare center settings. Methods: For comparison of sampling performance, two different flow-based samplers (greater than 100 L/min or not) were selected; a low flow-based sampler (one-stage Andersen sampler) and two high flow-based samplers (DUO SAS SUPER 360 sampler, BUCK bio-culture sampler). We collected airborne mold and bacteria in 30 daycare centers with various levels of contaminated air. Three repeat samplings per each sampler were performed. Mold and bacteria were grown for 96 hours at $25{\pm}1^{\circ}C$ and 48 hours at $35{\pm}1^{\circ}C$, respectively. The Andersen and SAS samplers were used for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bioaerosols and the activity patterns of occupants in daycares. Particular matters 10($PM_{10}$),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monitored as well. Samplings were carried out with one-hour interval from 9 to 5 O'clock. For statistical comparisons, Kruskal-Wallis 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Results: The airborne level of molds by the low flow-based sampl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igh flow-based samplers (indoor, P=0.037; outdoor, P=0.041). However,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irborne level of bacteria by each sampler. Also the level of bioaerosols varied by the time, particularly with different activity patterns in daycare centers. The higher level of mold and bacteria were observed in play time in indoor. Similarly, the concentrations of $PM_{10}$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bioaerosols (P<0.05).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flow rate of sampler, rather than total air volume, could be able to affect the results of sampling. Also, the level of airborne mold and bacteria vary behavior patterns of occupants in indoor of daycare settings. Therefore, different samplers with other flow rate may be selected for mold or bacteria sampling, and activity patterns should be considered for bioaerosol sampling as well.

유채박을 이용한 단판적층재용 접착제의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of Adhesive Resins Formulated with Rapeseed Flour Hydrolyzates for Laminated Veneer Lumber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 양인;한규성;최인규;김용현;안세희;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21-229
    • /
    • 2011
  • 목질계 판상재료 생산을 위하여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는 원유의 가격 상승과 포름알데히드 방산과 같은 문제로 인해 대체 접착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오래전부터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바이오 디젤 부산물인 유채박의 효소 가수분해를 통해 접착제를 조제하고, 이 접착제를 단판적층재 제조에 적용한 후 물리 및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여 유채박의 단판적층재 제조용 접착제 제조를 위한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유채박 접착제 조제를 위하여 유채박을 4가지 효소의 조합을 통해 개량한 다음, phenol formaldehyde (PF) prepolymer와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단판적층재 제조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단판적층재의 평균함수율과 내수성은 모두 KS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채박 접착제의 열분석에서 pectinase 가수분해물로 조제한 접착제를 제외하고 페놀수지 접착제와 열경화 특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판적층재의 휨강도는 페놀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단판적층재보다 높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 석유화학계 접착제의 대체 접착제로써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추후 접착성능의 향상을 위해 적절한 유채박의 효소가수분해 조건에 대한 연구와 도포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Growth, Flowering, and Nutrient Composition of Salvia Grown in Peat moss Media Containing Pellets Processed with Poultry Feather Fibers at Different Mixing Ratios

  • Yoo, Yong Kwon;Kim, In Kyung;Roh, Mark S.;Roh, Yong Seung;Huda, Masud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3호
    • /
    • pp.289-299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placing perlite (PL) with pellets processed with poultry feather fiber as an inert material to prepare growing medium. The growth and flowering of Salvia splendens 'Vista Red' grown in individual growing medium $Biosangto^{(R)}$, peat moss (PM), PL, and two pellets (P45-1 and P45-2) were evaluated. Peat moss was mixed with PL, P45-1, or P45-2 at various ratios (1:0 to 1:3 or 3:1 by volume)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replacing PL with pellets. Nutrient composition of the growing medium and leaf tissues was analyzed. The number of florets, inflorescence length, plant height, and fresh weight of plants grown in media containing P45-1 or P45-2 were reduced compared to those grown in individual growing medium PM or PL. As the mixing ratio of P45-1 or P45-2 to PM was higher, the growth of salvia, such as inflorescence length,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and fresh weight was inhibited. Our results indicate that mixing three parts PM with one part of P45-1 (PM/P45-1/3:1) or P45-2 (PM/P45-2/3:1) accelerated flowering and increased the number of florets and leaves compared to other mixing ratios of PM and pellets media. The concentrations of phosphorus (P), calcium (Ca), boron (B), iron (Fe), and copper (Cu) in individual growing medium PL, P45-1, and P45-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PM. The concentration of N was the highest in leaves of plants grown in P45-1 or P45-2 amended media, and the concentrations of P, Ca, and zinc (Zn) in leaves were lower in individual growing medium P45-1 or P45-2 than in PM and PL. The pH of PM/P45-1/3:1 or PM/P45-2/3:1 media was maintained at optimal level (5.8-5.9) and the concentrations of macro- and micro-elements in the media and leaves were considered to be optimal levels. Therefore, mixing three parts PM with one part P45-1(PM:P45-1/3:1) or P45-2 (PM:P45-2/3:1) is recommended for improved growth and flowering in salvia. This suggests that P45-1 or P45-2 can replace PL as an inert material to prepare growing medium.

(β-lactam계 항생물질 저항성을 지닌 Bacillus sp. J105 균주로부터 분비되는 베타 락탐 분해효소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β-Lactamase Secreted from Bacillus sp. J105 Strain having β-Lectam Antibiotics Resistance.)

  • 조경순;강병원;서민정;이영춘;이재헌;주우홍;최영현;임학섭;김정인;서권일;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45-851
    • /
    • 2008
  • Bacillus sp. J105 strain으로부터 유도된 ${\beta}-lactamase$는 ammonium sulfate 침전, 이온 교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등의 과정을 거쳐 SDS-PAGE에서 단일 band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의 분자량은 31 kDa이었으며 등전점은 7.35이었다. 효소반응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와 $40^{\circ}C$이었다. 정제 단백질의 총 아미노산 조성의 분석 결과, Gly과 Ala이 각각 14.1과 13.3 mole%로 가장 많은 아미노산 잔기를 차지하고 있었다. 정제 효소의 ampicillin을 기질로 하였을 때의 Km값은 1.33 mM이었고 Vmax값은 0.36 mM/ml이었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우엉차의 항산화 활성과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Changes to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Amino Acid Content of Arctium lappa Tea by Heat Treatment)

  • 임도연;이경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58-13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엉의 뿌리를 차의 원료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적정한 가열 처리 조건 설정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열처리 단계의 가열 온도와 시간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수준 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에서 180℃-4분 가열 처리 조건과 200℃-3분 가열 처리 조건이 비교적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폴리페놀 함량 측정에서 200℃-3분 가열 처리 조건과 180℃-4분 가열 처리 조건에서 각각 62.74 mg/l와 60.09 mg/l로 다른 가열 조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인 것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열 조건별 우엉차의 유리 아미노산 분석 결과에서 가열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초기의 아미노산 함량보다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phenylalanine, histidine, leucine과 isoleucine 등의 함량 변화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aspartic acid, proline 등은 비교적 감소 비율이 낮았다. 전반적으로 180℃에서 3분~4분 가열 조건과 200℃의 2분 가열 조건을 넘어서는 온도와 시간 조건에서는 아미노산 함량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이 실시된 항산화 활성과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기준으로 180℃-4분 수준의 가열 처리 조건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of Helicobacter pylori for Proteomic Analysis

  • Jung, Tae-Sung;Kang, Seung-Chul;Choi, Yeo-Jeong;Jeon, Beong-Sam;Park, Jeong-Won;Jung, Sun-Ae;Song, Jae-Young;Choi, Sang-Haeng;Park, Seong-Gyu;Choe, Mi-Young;Lee, Byung-Sang;Byun, Eun-Young;Baik, Seung-Chul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7-108
    • /
    • 2000
  •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is an essential tool of proteomics to analyse the entire set of proteins of an organism and its variation between organisms. Helicobacter pylori was tri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strains. As the first step, whole H. pylori was lysed using high concentration urea contained lysis buffer [9.5 M Urea, 4% CHAPS, 35 mM Tris, 65 mM DTT, 0.01% SDS and 0.5% Ampholite (Bio-Rad, pH 3-10)]. The extract ($10\;{\mu}g$) was rehydrated to commercially available immobilised pH gradient (IPG) strips, then the proteins were separated according to their charges as the first dimensional separation. The IPG strips were placed on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to separate according to molecular mass of the proteins as the second dimension. The separated protein spots were visualised by silver staining in order to compare different expression of proteins between strains. Approximately 120 spots were identified in each mini-protein electrophoresised gel, furthermore about 65 to 75 spots were regarded as identical proteins in terms of pI value and molecular weight between strains used. In addition,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trains, such as 219-1, Y7 and Y14, CH150. Two representative strains were examined using strips which had pH range from 4 to 7. This strips showed a number of isoforms which were considered large spots on pH range 3-10. Furthermore, the rest of spots on pH 4-7 IPG strips appeared very distinctive compared to broad range IPG strips. 2-DE seems to be an excellent tool for analysing and identifying variations between H. pylori strains.

  • PDF

등속공급 튜브연소로를 이용한 각 연소조건에서의 연기입자 형상 분석 (Studies on the Morphology of Smoke Particles for Each Type of Fire by Using Steady State Tube Furnace)

  • 구재학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44-51
    • /
    • 2014
  • 화재현장에서 발생하는 연기는 일반적으로 연소가스와 더불어 여러 가지 성분의 유기증기 및 미연탄소로부터 생성된 미세입자로 되어 있다. 연기는 호흡기로 흡입되어 장단기 인체피해를 유발한다. 화재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나 입자에 의한 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연기입자의 호흡기관 내 이송과 침전, 그리고 입자를 매개로 한 유독가스의 흡수와 흡착등의 현상 파악이 필수적이며 이에 연기입자의 크기 및 형상은 이와 같은 현상의 변화에 중요한 변수로서 작용한다. 이 연구에서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입자의 흡입에 의한 인체피해 특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가연물 및 화재 조건에 따른 연기입자의 크기 및 형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제표준에 따른 연소생성물 분석을 위하여 ISO/TS 19700 기준에 따라서 등속연소로를 제작하고 각 가연물에 대하여 연소로 온도 및 당량비 조건으로 정해지는 4가지 대표적인 화재조건, 즉, 저온불완전연소, 완전불꽃연소, 불완전불꽃연소, 고온불완전연소 조건에서 연기입자를 발생시켰다. 발생된 연기입자는 다단 충돌집진기를 이용하여 채집한 다음 투과전자현미경으로 크기 및 형상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