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ge Drinkin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 성인 남녀의 폭음 예측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Predictors of Binge Drinking in Korean Men and Wome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3), 2018)

  • 홍지연;박진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88-101
    • /
    • 2020
  •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폭음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특성, 음주 특성을 이용하였으며, 복합표본설계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연령(남:p=.003, 여:p<.001), 1년간 음주빈도(남:p<.001, 여:p<.001), 한번에 마시는 음주량(남:p<.001, 여:p<.001), 가족/의사의 절주권고 여부(남:p<.001, 여:p<.001), 스트레스(남:p=.025, 여:p<.001), 흡연(남:p<.001, 여:p<.001)은 남녀 모두에서 폭음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남자는 교육수준(p=.030)과 경제활동 상태(p=.018), 여자는 소득수준(p<.001)과 결혼상태(p=.020)가 폭음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변수들은 성인 남녀의 폭음을 각각 72.4%(p < .001), 74.5%(p < .001)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폭음 위험요인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것을 규명하여 성별로 특화된 폭음예방 정책 마련과 음주문화 재조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한국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음주량 및 폭음과 치주염의 관련성: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Gender-Specific Association between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Binge Drinking, and Periodontitis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 형주희;이영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39-348
    • /
    • 2016
  • 본 연구는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을 구분하여 평균 음주량 및 폭음 빈도와 치주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J자 형태의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경도 음주군을 기준으로 중등도 음주군(1.25배)과 고도 음주군(1.39배)에서 치주염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여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폭음 빈도와 치주염과의 관련성 연구 결과, 남자에서는 폭음 빈도가 증가할수록 치주염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자에서는 폭음 빈도와 치주염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남자에서 과도한 음주량 및 폭음을 하는 경우 치주염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지역사회에서 치주염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음주습관 형성을 위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다양한 홍보교육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성차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Korean youth mental health on binge drinking)

  • 송희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21-43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자살생각)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제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만 12-18세 남녀 중 고등학생 65,5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정신건강 수준에 따른 위험음주 차이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위험음주에 대한 정신건강 효과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의 정신건강에 따른 위험음주 발생(스트레스 인지: 1.444배 (95% CI: 1.200-1.737), 우울감: 1.843배 (95% CI: 1.674-2.029), 자살생각: 1.656배 (95% CI: 1.464-1.872))은 남학생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는 성별 차이를 나타냈다. 위험 음주의 예방/치료와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시 정신건강에 따른 위험 요인의 관리뿐만 아니라 성별에 따른 다양한 접근 방식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 청소년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정신건강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한국 청소년 폭음 영향 요인: 환경 변인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Binge Drinking: Focused on Environmental Variables)

  • 이진화;권민;남은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33-14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 on adolescent binge drinking.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statistics from the 17th (20201)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raw data target population was 2,629,588 people, and the sample group used for analysis as the final data was 54,848 people. A Rao-scott 𝑥2 test and univaria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27.0. Results: In the results of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mmon related variables were gender, school level, academic achievement, sleep satisfaction, current smoking, daily smoking, and alcohol education experience. Conclu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influencing binge drinking in Korean adolescents, some variables that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in the socio-environmental areas such as individuals, communities, and national policies were identified. For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build a healthy environmental support system with support from national policies, including individuals, peer groups, and communities.

청소년의 식습관과 음주행태와의 관련성 - 2012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Korean Juveniles' Dietary Habits and Drinking Alcohol - The Result of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2 -)

  • 이순희;윤미은;천성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38
    • /
    • 2014
  • Objectives: Since juveniles' unhealthy diets, and their problematic behavior resulting from drinking cause serious harm to those who are in a period of growth, we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s' dietary habits and their drinking alcohol.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74,186 people in a 2012 web-based survey of Korean juveniles' health behavior, which was joint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This study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Results: Juveniles who consume fast food at least once in a day have a significantly higher chance of binge drinking (OR=3.063, 95% CI=2.332~4.023), problematic drinking(OR=6.041, 95% CI=4.947~7.379) than those who don't. It also indicates that juveniles who don't eat breakfast have a significantly higher chance of binge drinking (OR=1.358, 95% CI=1.158~1.593), problematic drinking(OR=1.762 95% CI=1.548~2006) than those who eat breakfast every day. Conclusions: Irregular breakfast or a frequent intake of fast food causes problematic drinking, and binge drinking. Therefore, when planning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juvenile drinking, it seems necessary to include education of healthy dietary habits.

  • PDF

Population Based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Binge Drinking and Mortality from Cancer of Oropharynx and Esophagus in Korean Men: the Kangwha Cohort Study

  • Jung, Sang Hyuk;Gombojav, Bayasgalan;Park, Eun-Cheol;Nam, Chung Mo;Ohrr, Heechoul;Won, Jong U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675-3679
    • /
    • 2014
  • We assessed the association between frequency of heavy binge drinking and mortality from oropharynx and esophagus cancer after controlling for the total volume of alcohol intake among Korean men. The cohort comprised 2,677 male residents in Kangwha County, aged 55 or older in March 1985, for their upper digestive tract cancer mortality for 20.8 years up to December 31, 2005. For daily binge drinkers versus non-drinkers, the hazard ratios (95% Cls) for mortality were 4.82 (1.36, 17.1) and 6.75 (1.45, 31.4) for oropharyngeal and esophageal cancers, respectively.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volume of alcohol intake, we found the hazard ratios for frequency of binge drinking and mortality of oropharyngeal or esophageal cancer to not change appreciably: the hazard ratios were 4.90 (1.00, 27.0) and 7.17 (1.02, 50.6), respectively. For esophageal cancer, there was a strong dose-response relationship. The frequency of heavy binge drinking and not just the volume of alcohol intake may increase the risk of mortality from upper digestive tract cancer, particularly esophageal cancer in Korean men. These findings need to be confirmed in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sample size.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ffects of Workplace Alcohol-related Environment on Drinking Behaviors among Female Employees)

  • 전현진;정슬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43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orkplace drinking environment on drinking behaviors among female employees and thereby attempt to lay a ground for future prevention of drinking problems triggered by workplace environment.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variables related to drinking behavior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female employees were explored. And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drinking behavior. Methods: The sample included 400 female and male employees in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workplace variables related to female drinking,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ariables and drinking behaviors (alcohol consumption, risky drinking, and binge drinking frequencie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function of drinking and drinking culture at workplace and the pressure to drink were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s. Second, 47.2% of female employees were current drinkers and 20.4% were risky drinkers. Third, drinking norms and attitude at workplace, influence of peer group, and drinking culture at workplace were found to be predictive factors of harmful drinking. Fourth, drinking expectancy and drinking norms and attitude at the workplace were found to influence drinking binge frequencies.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workplace environmental factors in female employee's drinking behavior, and addresses the need for interventions geared toward changing the workplace environment regarding alcohol use.

폭음문제를 가진 성인자녀(딸)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for a Daughter with a Binge-Drinking Problem)

  • 임아리;박태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3호
    • /
    • pp.31-48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ent's binge drinking, and the client and parents' change led by family therapy.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the counseling case of this research was consisted of a total of 9 sessions-individual, parents, mother-daughter, father-daughter, and family counseling. This study utilized verbatim and audio recordings, and employed Miles and Huberman(1994) matrix and network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lient's binge drinking included the family'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adverse rearing attitude owing to unresolved emotional problems from the family-of-origin, and the client family's peculiar environment and culture. The therapist's intervention included making the client aware of his own problem, helping to gain insight and understand the parents' family-of-origin, connecting the past family-of-origin and the present, identifying attempted solutions, making aware of new change, and suggesting new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the therapist's intervention employing MRI interactional family therapy model and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the family members experienced changes; perception of all family members that participated in the counseling changed, and accordingly, their communication method and attitude changed as well. Through these changes in the family, the client's alcohol consumption reduced in terms of both frequency and amount, thus was able to solve their binge drinking problem.

지역사회 건강한 성인에서 알코올 섭취량 및 폭음과 동맥경직도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and Binge Drinking to Arterial Stiffness in Community-Dwelling Healthy Adults)

  • 권순석;이영훈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1호
    • /
    • pp.23-35
    • /
    • 2012
  • 지역사회 성인을 대상으로 알코올 섭취량과 동맥경직도의 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아울러 폭음과 동맥경직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50세 이상 성인 5944명을 대상으로 하루 평균 알코올 소비량(g/day)과 월 폭음 빈도를 조사하였다.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도속도(baPWV)를 측정한 후 남녀 각각에서 baPWV 4사분위에 해당하는 집단을 'high baPWV'로 정의하였다. 남성 알코올 섭취군의 교차비는 비음주군과 비교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40.0 g/d 알코올 섭취군의 교차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모든 여성 알코올 섭취군의 교차비는 비음주군에 비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성에서는 비폭음군에 비해 주 1회 미만 폭음군 및 주 1회 이상 폭음군의 high baPWV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성에서는 비폭음군에 비해 주 1회 이상 폭음군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적당한 음주는 동맥경직도의 위험성이 낮은 반면, 과도한 음주는 동맥경직도의 위험성이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알코올 섭취량과 baPWV로 측정한 동맥경직도 사이에는 J자 형태의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알코올 섭취량을 포함한 기존의 심혈관 위험요인과는 독립적으로 남녀 모두에서 폭음이 동맥경직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대학생의 자기주장과 성폭력 피해에서 폭음의 조절역할 (The Moderating Role of Binge Drinking on the Self-Assertiveness-Sexual Victimization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 홍현기;김희송;이정은;정수현;지형기;김기평;표주연;김종한;현명호
    • 스트레스연구
    • /
    • 제25권2호
    • /
    • pp.93-97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 주장성과 폭음 수준이 성폭력 피해를 예측하는지 알아보았고, 폭음 수준이 자기 주장성과 성폭력 피해 여부 간에 조절 역할을 하는지 탐색해 보았다. 대학생 40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익명성 보장을 위해 모바일 기반 설문 응답을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응답하지 않은 12명의 참여자를 제외한 393명(남: 161명, 여: 2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기 주장성, 폭음 수준, 자기 주장성과 폭음의 상호작용을 예측 변인으로, 성폭력 피해여부를 기준 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 주장성과 폭음 수준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 주장성 수준이 낮을수록, 폭음 수준이 높을수록 성폭력 피해 확률이 유의함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 주장성과 폭음의 상호작용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상호작용에 대한 단순 주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폭음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자기 주장성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한 반면, 폭음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자기 주장성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 시 자기 주장성 훈련만이 아니라 건전한 음주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