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 data Era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24초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패션 소비문화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중국 패션 네트워크인 LADYMAX.cn의 기사를 중심으로- (Fashion Consumption Culture in the Post-COVID-19 Era Identified through Big Data Analysis -Focusing on Articles in the Chinese Fashion Network LADYMAX.cn-)

  • 빈삼;염혜정;심수인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2호
    • /
    • pp.80-97
    • /
    • 2021
  •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fashion consumption culture in the post-COVID-19 era were examined through big data analysis. Considering that the Chinese market plays a pivotal role in the global fashion industry, big data was collected in the most famous and professional fashion network in China, LADYMAX.cn. As a result of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ree major changes were identified as the emerging fashion consumption culture in the post-COVID-19 era. First, as a trend in new media consumption, COVID-19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ended to encourage consumers to put more impor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loggers and fans than previously. Second, as a trend in reward consumption, consumers tended to be rewarded for their hard work to relieve and comfort their high stress caused by spending a long time worrying about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Third, as a trend in home-economy consumption, consumers tended to prefer homewear and sportswear more because they were spending longer times at home as the social distancing period was prolonged.

IT Job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Big Data Analytics

  • Ho Lee;Jaewon Cho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4호
    • /
    • pp.717-730
    • /
    • 2019
  •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trigger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software (SW) technologies. In this era, several studies suspected rapid changes in job structures occurring around the world. Thu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cquiring the skill sets required for the future.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studies on how existing jobs are changing. To cope with this ambiguity of job change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current job structure is changing in response to digital transformation. To identify the dynamic nature of job change over time, we conducted an analysis based on job posting data. As a result, nine job occupations and fifteen jobs were found.

서울시 공공빅데이터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Policies to Revitalize the Public Big Data in Seoul)

  • 최봉;윤종진;엄태휘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3호
    • /
    • pp.73-8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public Big Data in Seoul and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Seoul's public Big Data. Big Data is perceived as innovation resources under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ata economy. Especially, public Big Data serves a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universal access for citizens, startup, and enterprise compared with the private sector. Seoul reorganized a substructure of government's focus on Big Data and established organizations such as Big Data Campus and Urban Data Science Lab. Although the number of public open Data has increased in Seoul, there exists not much Data with characteristics similar to Big Data, such as volume, velocity, and value. In order to present the direction of Big Data policy in Seoul, we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Big Data Campus and Urban Data Science Lab operated by Seoul Cit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proposed several directions that Seoul can use in establishing big data related strategies.

빅 데이터의 품질 요소 제안 (A propose of Big data quality elements)

  • 최상균;전순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9-15
    • /
    • 2013
  • 빅 데이터가 새로운 가치 창출과 문제 해결의 핵심 엔진이 되는 데이터 중심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본 논문은 빅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하여 빅 데이터의 품질 확보를 위한 품질 요소 정의와 품질 요소별 품질확보 전략에 대하여 논한다. 이를 위해 빅 데이터의 구축 사례, 빅 데이터의 자원 확보 방안 및 빅 데이터의 요소기술, 분석기술과 처리기술 등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하여 빅 데이터의 품질 요소를 정의하고 품질 요소별 품질 확보 전략을 제안한다. 빅 데이터의 품질이 확보되면 기업은 대용량의 데이터에서 데이터의 재해석을 통하여 빅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각종 전략을 수립할 것이다.

빅 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남성 패션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ative Analysis in Perception on Men's Fashion Using Big Data : Focused on Influence of COVID-19)

  • 김도현;김정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ception of men's fash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EXTOM allowed the collection of Big Data based on the term 'men's fashion'. As for the data collection periods, Jan. 1, 2018 to Dec. 31, 2019 was set as the pre-COVID-19 era, while Jan. 1, 2020 to Dec. 31, 2021 was set as the post-COVID-19 era. The top 50 words in terms of appearance frequency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The extracted words were processed using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using Ucinet 6.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pre-COVID-19 era, the appearance frequency of 'm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shion', 'men's fashion', 'brand', 'daily look', 'suit', and 'department store'. These words came up with a high TF-IDF value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discovered that 'men', 'fashion', 'men's fashion', 'brand', and 'suit' had a high level of connectivity with other words. CONCOR analysis showed four significant groups: 'fashion item and styles', 'fashion show', 'purchase', and 'collection'. 2) In the post-COVID-19 era, the appearance frequency of 'm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shion', 'brand', 'men's fashion', 'discount', 'women', and 'luxury'. These words also displayed high TF-IDF value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found that 'fashion', 'men', 'brand', 'men's fashion', and 'discount' had a high level of connectivity with other words. CONCOR analysis showed four significant groups: 'fashion item and style', 'fashion show', 'purchase', and 'situation'. 3) Before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men were interested in suits to wear to the office, daily look, and fashion shows in Milan and Paris. They often purchased menswear in multi-brand and open stores. However,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sneakers, casual styles, and online fashion shows as social distancing and working from home became common. Most purchased menswear through online platforms.

Analysis for Daily Food Delivery & Consumption Trends in the Post-Covid-19 Era through Big Data

  • Jeong, Chan-u;Moon, Yoo-Jin;Hwang, Young-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31-238
    • /
    • 2021
  • 이 논문은 Covid-19 이후 기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상에서 주문하는 음식 배달과 소비의 경향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날씨를 제외한 네 개의 요소들이 배달의민족 매출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KBS, MBC와 SBS 언론매체의 빅데이터 분석에서 Covid-19 관련 기사 다음 날에 음식 배달과 소비 증가가 거의 60%에 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Naver 검색결과에서도 Covid-19 관련 기사 다음 날에 심각하게 의미있는 음식 배달과 소비 증가를 발견하였다. 그 이외에, 소비의 흐름에 있어서 모바일을 통한 배달이 주류가 될 것이며 밀레니얼 세대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똑같은 방법으로 경기 침체기에 다른 산업 분야에 대하여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기업의 입장에서 발빠른 대응으로 경기 침체 속의 호황을 맞이할 수 있는 분석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빅데이터 품질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ig Data Quality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 이충형;김영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45-256
    • /
    • 2021
  • 4차산업혁명시대에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고객구매 성향의 다양함, 복잡함은 산업 전체적으로 데이터의 양적 중가를 가져와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빅데이터 시대는 데이터를 분석, 활용하여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것이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빅데이터 연구들은 기술적 이슈와 미래 잠재 가치 중심이었다. 반면 기업이 보유한 내.외부 고객 빅데이터의 품질 및 활용 수준관리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내.외부 빅데이터 품질관리 정보시스템 측면와 품질경영 측면으로 인식하여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품질관리, 빅데이터 활용 및 수준관리가 기업의 업무 효율화와 기업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204명의 임직원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경영층의 지원, 개인 혁신성, 경영환경변화, 빅데이터 품질활용 지표관리, 빅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마련이 기업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빅 데이터 시대 위험기반의 정책 - 개인정보침해 사례를 중심으로 - (Risk based policy at big data era: Case study of privacy invasion)

  • 문혜정;조현석
    • 정보화정책
    • /
    • 제19권4호
    • /
    • pp.63-82
    • /
    • 2012
  • 우리나라의 정보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심각한 보안 사고의 위험 또한 동반하고 있다. 최근 일어난 주요 사고만 정리해도 유출된 개인정보는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인구의 세 배를 넘는다. 이제 개인정보 침해 등의 정보보안의 사고는 국가의 일급재난에 해당하는 정책문제가 되었다. 이 논문은 빅 데이터 시대의 정보보안을 위한 정책적 논의를 사회과학 차원에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사고가 급증한 개인정보침해 사례를 위험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생가능성과 영향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의 위험의 상황은 '심각, 강력, 집중, 기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위험의 상황에 따라 해당집단은 '계층주의, 평등주의, 운명주의, 개인주의' 문화유형을 지니며 '회피, 전가, 완화, 수용'의 대응 정책을 적용하였다. 셋째, 위험상황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은 '대용량, 고성능, 다양성'의 빅 데이터의 특성을 보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상황별 문화유형과 빅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여 포괄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적용할 수 있는 정부의 전담조직이 필요하다. 둘째, 빅 데이터 시대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위험관리는 '기술, 규범, 법, 시장' 측면의 균형 있는 정책의 적용이 필요하다.

  • PDF

빅데이터 분석과 헬스케어에 대한 동향 (A review of big data analytics and healthcare)

  • 문석재;이남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6-82
    • /
    • 2020
  • Big data analysis in healthcare research seems to be a necessary strategy for the convergence of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review to secure the diversity of big data and healthcare convergence by discussing the concept, analysis method, and application examples of big data and by exploring the application. Text mining, data mining, opinion mining, process mining, cluster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s currently used. Identifying high-risk factor for a certain condition, determining specific health determinants for diseases, monitoring bio signals, predicting diseases, providing training and treatments, and analyzing healthcare measurements would be possible via big data analysis. As a further work, the big data characteristics provide very appropriate basis to use promising software platforms for development of applications that can handle big data in healthcare and even more in sports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