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reaved family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군내 사망사고 실태분석을 통한 변사체 검시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eath during Military Services and the advanced Death Investigation System)

  • 길병천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4
    • /
    • 2008
  • The necessity for the investigation of death occurred in military services has no differences to the death of civilians. But the death of military service members under the Universal Conscription System in Korea has special considerations because of hard accessibility by the bereaved family and closed environment of the army. The analysis of the death occurred during military service was carried out and the advanced death investigation system to prevent the death was proposed to prevent the declination of fighting spirit and efficiency and also to restore the solid support by the people. The deaths in the period 1995~2006 were 330 persons in 1995, 359 persons in 1996 and were decreased to 135 persons in 2006. The death caused by safety accidents including vehicle accident, drowning, fall were 56% and by military crimes including suicide, arms, homicide were 44%. The numbers of suicides were 108 persons in 1995 and were decreased to 79 persons in 2006. The numbers of suicides were decreased constantly, but the ratio of suicide to death were increased, so the suicide prevention is more important. The autopsy ratio was increased to 51.5% in 2005 and was much higher compared to the ratio for civilians. The main reasons of complaints by the bereaved family were for regaining reputation, death in harness and reinvestigation of death. The proposals for the advanced death investigation system were as follows. The unnatural deaths including the obvious accidental deaths and homicides have to be defined by the rules. The human resources to perform the autopsy can be supported by the forensic pathologists from medical school. The special training and quality assurance programs are needed for the crime scene investigator. To regain the impaired reputation from the suicide and to support the bereaved family has to be discussed by the government.

  • PDF

Trends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Programs for Bereaved Families in South Korea

  • Myung-Nam Lee;Jung Won Suk;Hyunsook Zin L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6권3호
    • /
    • pp.126-13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nterventions for bereaved families and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with the ultimate goal of supporting evidence-based nursing for bereaved families. Methods: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based on a search of domestic database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22, a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interventions for bereaved families. Forty-five papers were selected, and information was extracted on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and interventions. A meta-analysis of seven papers was performed,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Results: Fourteen papers dealt with interventions for middle-aged women who had lost their spouses, 20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20 were on art therapy programs. Thirty studies had fewer than 10 participants, and most interventions had 60~120 minutes per session and 9~16 sessions in total. There were sev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all studies included in the quality evaluation showed a low risk of bias. Four papers measured grief as an outcome, and the effect size was -1.9577 (95% CI: -2.9206 to -0.9947), indicating that the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grief (P<0.001). Six papers measured depression as an outcome, and the effect size was -1.6775 (95% CI: -2.1835 to -1.1716), showing that the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depression (P<0.001). Conclus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bereaved families were shown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grief and depression. However,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at target middle-aged men who have lost their spouses and children who have lost their parent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hould also be conducted on interventions to reduce grief and depression.

Frontal Alpha Asymmetry, Heart Rate Variability, and Positive Resources in Bereaved Family Members with Suicidal Ideation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 Jang, Kuk-In;Lee, Sangmin;Lee, Seung-Hwan;Chae, Jeong-Ho
    • Psychiatry investigation
    • /
    • 제15권12호
    • /
    • pp.1168-1173
    • /
    • 2018
  • Objective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bereavement with suicidal ideation was a critical mental health problem that was accompanied by various neuropsychological symptoms. This study examined the frontal alpha asymmetry (FAA),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everal psychological symptoms in bereaved family members (BFM)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Methods Eighty-three BFM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were recruited. We assessed FAA, HRV,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cluding depression, post-traumatic stress, post-traumatic growth factor, anxiety, grief, and positive resources, between BFM with the presence and absence of current suicidal ideation. Results Compared to BFM without suicidal ideation, BFM with suicidal ideation showed a higher FAA with right dominan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ymptom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BFM with suicidal ideation, the low: high frequency (LF:HF) ratio correlated with social resources and support. Conclusion The FAA and LF:HF ratio may be biomarkers that represent the pathological conditions of BFM with suicidal ideation. If researched further, they may shed light on the interaction between bereavement with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resource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주 결정 가족원의 사별 후경험 (Experience after bereavement in main family members making DNR decisions)

  • 김명희;강은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8-12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bereavement for main family members who had made and followed DNR decision for their family members. Method: This qualitative study was based on a grounded theory, and used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with the bereaved 10 main family members who had been treated and died under DNR order. Results: The causal condition of the family member was 'Releasing', and the main consequent phenomenon were 'Blaming self and ruminating'.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The memory of the deceased'. The action/reaction strategy was 'Purifying'.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Supporting system', and the consequence was 'Acceptance'. The experience after bereavement of the family member on DNR decision were rational processes that purified themselves and healed the guilt feeling about the decision from reflective assessment and response about DNR decision. Based on this results, the substantive theory 'Reflective self healing' was derived. Conclusion: The main family members in following DNR decision are more likely to have unhealthy emotional condition than others in normal bereavement process. But they overcame the grief of bereavement through reflective self healing process.

'천안함 사건' 유가족의 심리사회적 경험 (Psychosocial Experience in Cheonan Warship Incident Survivors)

  • 이윤수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43호
    • /
    • pp.87-110
    • /
    • 2014
  • 본 연구는 '천안함 사건 유가족들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무엇이며, 그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천안함 사건 유가족들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심층면담으로 탐색했다. 천안함 사건 유가족이 느낀 군인의 죽음과 삶에 대한 의미와 본질에 대한 독특한 경험을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나타내고자 했다. 연구 분석을 통해 '하늘이 무너져도 희망을 갖음', '언론보도와 군에 대한 억울함', '실종자 가족에서 유가족으로', '한 풀기와 따뜻하게 빨리 보내주고 싶은 마음'이라는 본질을 찾게 되었다. 바다에 오랫동안 방치된 전사자의 죽음은 국가와 사회에서는 매우 큰 정치 군사 외교적 이슈였지만 유가족들 개인에게는 큰 고통과 충격이었다. 천안함 사건 초기 상황에서 군과 언론의 잘못된 대처와 보도는 유가족에게 많은 상처를 주었고 집단의 힘으로 바로 대응하기 위해 그들 스스로 자조집단을 만들었다. 유가족들의 가족을 잃은 상실감은 천안함 사건으로 전사한 가족의 신분과 그 당시의 기후, 정부와 국민의 반응, 군에서의 유가족에 대한 대응과 포용, 시신의 유무와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군사회복지와 가족복지의 정책과 서비스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인과 집단의 위기개입과 임파워먼트 사례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가족 사별 후의 슬픔 경험, 가족의 강인성 및 관리자원과의 관계 (Grief, Family Hardiness and Family Resource for Management after Bereavement of Family Member)

  • 전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569-157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grief experience, family hardiness and family resource for management after bereavement of a family memb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family members who had lost a family member from cancer within the past two year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grief was 2.84 $\pm$ 0.66. The mean score for the a family hardiness was 3.08 $\pm$ 0.39.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was 2.70 $\pm$ 0.35. 2. The level of grief experience differed respondent's age was F=2.95, p=.02, and type of bereavement was t=2.01, p=.04. 3. The level of family hard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spondent's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4. The leve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differed according to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F=3.98, p=.01). 5.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grief experience and family hardiness (r= -.551, p<.001), grief experience and family resource for management (r=-.351, p<.001). Family hardi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family resource for management (r=.709, p<.001). In conclusion, family hardiness and family resource management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that contributed to reduce the grief experie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hat enhances family hardiness and family resource for management for bereaved family.

  • PDF

장례메이크업의 적용 방법 (Application of Funeral Make-up)

  • 김미혜;서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23-235
    • /
    • 2010
  • 장례서비스는 인생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다루는 의례절차에 관한 것으로, 복지서비스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으며, 고인의 마지막 형태를 복원하는 고전적인 회복기술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생시 모습의 재현 내지는 더 나은 외모로 표현하는 메이크업의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좋은 모습으로 기억코자 하는 유족들의 요구에 의한 것으로, 시대별로 변화되고 있는 방법들을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장례메이크업은 유족의 요구에 부응하여 죽은 이의 마지막 모습을 아름답게 꾸며줄 수 있는 우리의 장례문화의 가장 주요한 한 과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장례식장 내에서 고인을 모시는 입관 단계에서부터 꽃 장식, 관보 등의 인테리어, 음향효과, 조명시설, 특수 재료와 함께 연구되어야 할 장례 메이크업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용성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입원한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정간호 요구도와 가족부담감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Care Needs of Families of In-Patients and Family Burden)

  • 김소야자;현명선;성경미;공성숙
    • 대한간호
    • /
    • 제32권3호
    • /
    • pp.68-87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amily burden, family home care need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burden and home care needs for families of psychiatric in-pati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4 family members of psychiatric in-patients at two private hospitals and one municipal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1. 1993 to March 30. 1993.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Montgomery to measure the family burden was used as modified by the research team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Garrad to measure the home care need was also used as modifed by the research team.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 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cient. with the SPS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For perceived family burden, the meanscore as measured by the guestionnaire was 70.6 of a possible to total of 110. 2. For home care need. the meanscore 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was 44.8 fo a possible total of 66. 3. The results showed a higher score for cases from the municipal hospital for family burden and a higher score for cases at the private hospitals for home care need. 4. Ther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family burden for female family member (T =-2.77. P<.05) and for bereaved family members. (F=2.862. p<.05)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 (F= 10.3535, P<.001) for family burden when the hospitalization period was between 7~ 12 month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 (F =7.679.P<.001) for home care need when the hospitalization period was over 37 months. 6. Ther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mily burden and home care need. (r=.4002, P<.05) The conclusion that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addressing home care needs would contribute to reduce family burden.

  • PDF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 관리 실태 (Bereavement Care of Hospice Services in Korea)

  • 노유자;안영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2호
    • /
    • pp.126-135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전국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 1차로 1999년 9월부터 10월사이, 2차로 2000년 11월부터 12월사이에 한국 가톨릭 호스피스협회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를 통해 확인된 전국 55개 호스피스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인과 연구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조사목적을 설명한 후 기관의 책임자와 통화하여 면접조사를 하였다. 결과 : 1)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69.1%에서 사별관리를 시행하고 있었다. 2) 사별관리의 내용으로는 전화방문 28개 기관(74.5%), 사별가족 모임 26개 기관(68.4%), 가정방문 22개 기관(57.9%), 우편물 보내기 16개 기관(42.1%), 개별상담은 7개 기관(18.4%)이었다. 3) 사별가족 모임은 26개 기관(68.4%)에서 시행하고 있었고 그 빈도는 연 1회가 42.3%로 가장 많았으며 연2회가 6개 기관(23.1%), 월 1회가 6개 기관(23.1%), 월 2회가 3개 기관(11.5%)을 차지하였다. 4)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사정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기관은 4개 기관(10.5%)에 불과하였다. 5) 사별관리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사별가족을 모으기가 어렵다는 점이 가장 많았고 사별관리자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 사별관리 인력의 부족, 호스피스 기관과의 지역적 거리가 먼 경우, 사별자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부족, 재정적인 어려움 등이 있었다. 6)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으로는 사별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사별관리 교육의 필요성, 전문가 양성, 인력충원, 재정 지원 등의 요구사항이 있었다. 결론 : 국내 호스피스 기관중에서 69%가 사별관리를 시행하고는 있으나, 사별관리 전문가와 인력이 부족하고 사별관리 프로그램도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사별자의 개별적인 욕구 측면에서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관리운영자의 전문적인 교육과 봉사자 교육 및 훈련이 있어야 하고 사별자의 개별성과 요구에 적합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국실정에 맞는 토착화된 사별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시켜야 한다.

  • PDF

사별가족모임과 관련된 사별가족 태도 연구 (The Attitude of the Bereaved Family Attending a Bereavement Memorial Service)

  • 정인순;심병용;김영선;이옥경;한선애;신주현;이종구;황수현;옥종선;김훈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2호
    • /
    • pp.143-151
    • /
    • 2005
  • 목적: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에서는 사별가족들에 대한 지지로서 해마다 사별가족모임 및 추모제를 실시해왔다. 호스피스 환자 및 사별가족의 어려움, 욕구, 대처양상, 품위 있는 임종에 대한 견해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가족들의 태도에 대한 선행연구는 찾기가 어려웠다. 최근 1년 이내에 사별 경험이 있는 가족을 중심으로 견해조사를 실시하면서, 향후 사별가족지지프로그램에 대한 욕구와 보완점 파악,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2003년 11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12개월 동안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임종한 사별가족 180가족들에게 초대장을 발송하였고,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22가족에게 설문지 조사하였고, 전화연결된 가족 18가족에 대해서는 연구자 1인이 전화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인 사항을 제하고는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56세($16{\sim}79$세)였고, 남자(3명), 여자(37명)이었다. 고인과의 관계는, 아내(22명), 남편(5명), 어머니(4명), 딸(4명), 시어머니(1명), 아들(1명), 형제자매(1명), 며느리(1명), 형수(1명)이었다. 임종 후 경과기간은 $1{\sim}3$개월(17명), $4{\sim}6$개월(12명), $7{\sim}9$개월(4명), $10{\sim}12$개월(7명)이었다. 고인이 품위 있는 임종을 했다고 생각하는 가족은 36명이었고, 4명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품위 있는 임종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준비된 죽음을 맞이했기 때문에'(16명)가 가장 많았고, '편안한 임종을 하셨기에'(7명)가 다음으로 많았다. 품위 있는 임종의 정의에 대한 견해는 '영적으로 안녕한 상태에서 임종하는 것'(9명), '신체적 안녕'(7명), '심리사회적안녕'(7명), 무응답자(16명)이었다. 21명의 가족들이 '아직은 슬픔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라고 하였고, 사별 후 가장 어려운 점은, 참석가족들은 '외로움'(7명), '우울감'(10면)이나, 비참석가족들은 '외로움(7명)', '경제적 문제/역할수행상의 어려움'(7명)의 빈도였다. 대처방법에서는, '영적 승화'(13명), '일상생활에의 몰두'(10명), '애도과정에의 몰입(계속 슬퍼함)'(3명)으로 응답하였다. 병원으로부터 사별가족모임의 초대장을 받았을 때의 느낌에 대해서는 '반가움과 고마움'(21명), '슬픔'(4명), '괴로움'(4명), 무응답(11명)이었다. 비 참석 가족들은 '반가움과 고마움'(4명)이었다. 사별가족 모임 참석에 대한 망설임의 유무와 이유에 대해서는, '망설이지 않았다'(34명)가 '망설였다'(6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후의 소감, 개선사항, 아쉬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사별가족에 대한 배려와 관심에 대해 감사한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고, '고인에 대한 회상을 할 수 있는 자리여서 좋았다.' '사별가족모임이 일년에 한 번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있었으면 한다.', '한편은 슬프고 한편은 기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사별 후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 참석가족은, '우울감'(10명), '외로움'(7명)의 빈도가 높았고, '그리움'(1명), '경제적/역할상 어려움'(4명), 무응답(6명)으로, '우울감'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참석 가족에서는,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역할상 어려움'(6명), '외로움'(5명), '우울감'(3명), '후회감'(1명), '고인에 대한 원망감'(1명), '특별히 어려움이 없다'(1명)라고 답하였다. 결론: 호스피스 서비스를 경험한 사별가족들은 고인이 품위 있는 임종을 맞이하였다고 생각하는 견해가 높았고, 그 이유가 준비된 죽음을 맞이하였기 때문이라는 견해였다. 이는 호스피스 서비스가 품위 있는 임종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조사에서 임종 후 $1{\sim}3$개월 이내의 사별가족들이 사별모임에의 참석빈도가 가장 높았다. 사별 후 슬픔을 극복하기에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들이 가장 많았다. 그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외로움이고, 이에 대해 영적 승화, 일상생활에 몰두로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경향이나, 애도과정 자체에 몰입한다는 견해도 있었고, 사별가족모임에 대한 반응은 반가움과 고마움이 높았으면서도 모임참석에 망설이지 않는 경향이 높으면서도 실제 참석도는 전체 임종자 가족에 비해 낮았다. 사별가족모임에 비참석한 가족들은 참석한 가족들보다 경제적/역할 어려움을 더 느끼는 경향이나, 응답자 전체수가 적기에 일반화를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사별가족 모임에의 참석에 대한 망설임 요인, 요구도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해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추후 연구 과제로 삼아야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