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ttitude of the Bereaved Family Attending a Bereavement Memorial Service

사별가족모임과 관련된 사별가족 태도 연구

  • Jung, In-Soon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him, Byoung-Yong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Young-Seon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Ok-Kyung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an, Sun-Ae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hin, Ju-Hyun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Jong-Ku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wang, Su-Hyun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Ok, Jong-Sun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Hoon-Kyo (Hospice Team,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정인순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심병용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김영선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이옥경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한선애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신주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이종구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황수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옥종선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 김훈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
  • Published : 2005.12.03

Abstract

Purpose: Bereavement Memorial Service has been held every year by the hospice team at St. Vincent's Hospital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bereaved family who feel grief and mou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ttitude of the bereaved attending at bereavement memorial service (BMS) and to find out the areas needing improvements to set up better memorial service. Methods: Hospice team sent invitation card to 180 families of patients who admitted and passed away at hospice ward Nov., 2003${\sim}$Oct., 2004. Among them 22 families attended the BMS meeting, which was held on 26th Nov., 2004.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22 families with 'Questionnaire' survey. Except identifying data and 2 dichotomy questions, we used open-ended questionnaire. 1 researcher conducted a telephone interview survey in 18 families who couldn't attend at BMS meeting. Results: The median age was 56 (range $16{\sim}19$) and there were 37 females and 3 males. They were patient's wife (22), mother (4), husband (5), daughter (4), mother-in-law (1), siblings (1), brothers wife (1). Duration after bereavement, $1{\sim}3$ months (17) was the highest frequency. 36 families agreed 'the dead experienced the death with dignity'. The reason of agreement to the death with dignity was 'the patient died in preparation' (16). 'the patient died in well-being condition spiritually' (9), 'the patient died in comfort physically (7). 4. persons thought the dead died with indignity. The bereaved defined 'the death with dignity' as follows: 'acceptance of death & death in spiritual well-being' (9), 'death in physical comfort condition' (7), 'the death in psycho-social well-being' (3), non-respondents (10). Most families (21) were still in difficulty to overcome bereavement grief. The answer regarding the method to overcome the difficulty was 'with spiritual sublimation' (13), 'with devotion of oneself in daily life' (10), 'with devotion to mourning as it is' (3). With regard to their attitude to invitation, 'having joy and thanks from hospice team' (21), 'grief' (4), 'suffering' (4). Toward the existence of hesitation about attendance at BMS meeting, the result as follows. Nonexistence of hesitation respondent (34), existence respondent (6), the reason for hesitation was various; 'the meeting reminds me of the suffering times', 'the meeting makes me to recall, and it will be likely to cry', and so on. The needs and feelings to memorial service meeting were various; 'it was meaningful time', 'it was good to recall about the dead', 'more meeting annually' and so on. In respect of the most difficulty after bereavement, in attendant family, 'depression' (10) was the highest frequency, whereas, in non-attendant family, the most difficult thing was 'financial problem/role difficulty (6).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rate of attendance was high in bereaved whose bereavement duration $1{\sim}3$ month. Most of bereaved were still suffering from bereavement grief within 1 year. Although most families didn't hesitate and felt positive mood to invitation, the rate of attendance was low. Comparing with two groups between attendant family and non-attendant, the latter felt more difficulty in 'financial problem/role difficulty,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felt difficulty in 'depression'. Hereafter, the additional study about the factor relating to these attitude and needs of the bereaved relating to memorial service will be necessary.

목적: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팀에서는 사별가족들에 대한 지지로서 해마다 사별가족모임 및 추모제를 실시해왔다. 호스피스 환자 및 사별가족의 어려움, 욕구, 대처양상, 품위 있는 임종에 대한 견해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가족들의 태도에 대한 선행연구는 찾기가 어려웠다. 최근 1년 이내에 사별 경험이 있는 가족을 중심으로 견해조사를 실시하면서, 향후 사별가족지지프로그램에 대한 욕구와 보완점 파악,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2003년 11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12개월 동안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임종한 사별가족 180가족들에게 초대장을 발송하였고,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22가족에게 설문지 조사하였고, 전화연결된 가족 18가족에 대해서는 연구자 1인이 전화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인 사항을 제하고는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56세($16{\sim}79$세)였고, 남자(3명), 여자(37명)이었다. 고인과의 관계는, 아내(22명), 남편(5명), 어머니(4명), 딸(4명), 시어머니(1명), 아들(1명), 형제자매(1명), 며느리(1명), 형수(1명)이었다. 임종 후 경과기간은 $1{\sim}3$개월(17명), $4{\sim}6$개월(12명), $7{\sim}9$개월(4명), $10{\sim}12$개월(7명)이었다. 고인이 품위 있는 임종을 했다고 생각하는 가족은 36명이었고, 4명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품위 있는 임종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준비된 죽음을 맞이했기 때문에'(16명)가 가장 많았고, '편안한 임종을 하셨기에'(7명)가 다음으로 많았다. 품위 있는 임종의 정의에 대한 견해는 '영적으로 안녕한 상태에서 임종하는 것'(9명), '신체적 안녕'(7명), '심리사회적안녕'(7명), 무응답자(16명)이었다. 21명의 가족들이 '아직은 슬픔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라고 하였고, 사별 후 가장 어려운 점은, 참석가족들은 '외로움'(7명), '우울감'(10면)이나, 비참석가족들은 '외로움(7명)', '경제적 문제/역할수행상의 어려움'(7명)의 빈도였다. 대처방법에서는, '영적 승화'(13명), '일상생활에의 몰두'(10명), '애도과정에의 몰입(계속 슬퍼함)'(3명)으로 응답하였다. 병원으로부터 사별가족모임의 초대장을 받았을 때의 느낌에 대해서는 '반가움과 고마움'(21명), '슬픔'(4명), '괴로움'(4명), 무응답(11명)이었다. 비 참석 가족들은 '반가움과 고마움'(4명)이었다. 사별가족 모임 참석에 대한 망설임의 유무와 이유에 대해서는, '망설이지 않았다'(34명)가 '망설였다'(6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후의 소감, 개선사항, 아쉬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사별가족에 대한 배려와 관심에 대해 감사한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고, '고인에 대한 회상을 할 수 있는 자리여서 좋았다.' '사별가족모임이 일년에 한 번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있었으면 한다.', '한편은 슬프고 한편은 기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사별 후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 참석가족은, '우울감'(10명), '외로움'(7명)의 빈도가 높았고, '그리움'(1명), '경제적/역할상 어려움'(4명), 무응답(6명)으로, '우울감'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참석 가족에서는,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역할상 어려움'(6명), '외로움'(5명), '우울감'(3명), '후회감'(1명), '고인에 대한 원망감'(1명), '특별히 어려움이 없다'(1명)라고 답하였다. 결론: 호스피스 서비스를 경험한 사별가족들은 고인이 품위 있는 임종을 맞이하였다고 생각하는 견해가 높았고, 그 이유가 준비된 죽음을 맞이하였기 때문이라는 견해였다. 이는 호스피스 서비스가 품위 있는 임종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조사에서 임종 후 $1{\sim}3$개월 이내의 사별가족들이 사별모임에의 참석빈도가 가장 높았다. 사별 후 슬픔을 극복하기에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들이 가장 많았다. 그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외로움이고, 이에 대해 영적 승화, 일상생활에 몰두로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경향이나, 애도과정 자체에 몰입한다는 견해도 있었고, 사별가족모임에 대한 반응은 반가움과 고마움이 높았으면서도 모임참석에 망설이지 않는 경향이 높으면서도 실제 참석도는 전체 임종자 가족에 비해 낮았다. 사별가족모임에 비참석한 가족들은 참석한 가족들보다 경제적/역할 어려움을 더 느끼는 경향이나, 응답자 전체수가 적기에 일반화를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사별가족 모임에의 참석에 대한 망설임 요인, 요구도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해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추후 연구 과제로 삼아야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