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misia tabaci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pyrifluquinazon의 살충 및 행동장애 (Insecticidal Activity and Behavioral Disorders by Pyrifluquinazon to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Bemisia tabaci)

  • 이선우;송명규;안기수;김영재;문일성;구현나;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40
    • /
    • 2013
  •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의 살충과 행동에 미치는 pyrifluquinazo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ifluquinazon은 가루이류의 성충에 대해 50 ppm부터 12.5 ppm까지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알과 약충에는 효과가 없었다. 뿌리와 잎을 통한 침투이행효과는 없었으나, 잔효성 검정에서 처리 후 5일차까지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고,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접촉독성과 섭식독성에 의한 가루이류의 행동과 발현속도를 조사한 결과, 접촉 1시간 이후부터 가루이류는 바닥에 떨어져 심한 날개경련과 마비를 일으키는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섭식 3시간 이후부터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선택시험에서 가루이류는 방사 1시간 이후부터 기피행동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yrifluquinazon는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속효적으로 작용하고 날개 경련과 마비증상을 유발하여 식물체로부터 바닥으로 떨어져 아사하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직접적인 섭식억제효과는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국내 주요 토마토 주산지에서 발생하는 가루이류 발생현황 (Occurrence Status of Whitefly Populations in Major Domestic Cultivation Areas of Tomatoes)

  • 서미혜;조영식;양창열;윤정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1-416
    • /
    • 2020
  •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시설하우스에서 토마토 재배기간인 11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충남 논산, 부여, 전북 익산에서 가루이의 종류와 발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반면 5월부터 10월까지는 억제재배를 하는 전북 장수지역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시기별로 가루이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와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주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두 종 중 담배가루이의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가루이의 발생은 3월 하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는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수확기가 끝나는 시점에서는 밀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시설하우스에서 가루이의 효율적 방제를 위해서는 촉성재배는 3월 상순부터, 억제작형은 6월 상순부터 예찰하고 밀도가 증가하기 전에 초기 방제하여야 할 것이다.

트랩식물과 침투이행성 살충제를 이용한 토마토 담배가루이 성충 방제효과 (Control of Bemisia tabaci Genn. (Hemiptera: Aleyrodidae) Adults on Tomato Plants using Trap Plants with Systemic Insecticide)

  • 최용석;황인수;이경주;김경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09-117
    • /
    • 2016
  • 우리는 시설토마토에서 4가지 침투이행성약제가 사용된 가지를 트랩식물로 활용하여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침투이행성약제가 추천된 농도로 사용되었을 때,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dinotefuran SG 50% 방제효과는 80%로 방제효과가 각각 51.0%, 12.4%, 11.0%인 cyantraniliprole, pyridaben, clothianidin 보다 높았다. 살충효과가 뛰어난 dinotefuran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200 ppm에서 살충률이 88.4%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Dinotefuran의 방제효과는 가지에 적용된 약 9일까지 지속되었고 그 이후 담배가루이 밀도는 증가하였다. 포장실험에서 가지 트랩식물로부터 0, 15, 20 m 떨어진 토마토 신초에서의 담배가루이 밀도가 가장 높았고 5 m와 10 m에서 가장 낮았다. 담배가루이의 밀도가 낮고 dinotefuran SG 50%가 처리된 가지를 10 m 간격으로 투입했을 때, 담배가루이 성충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담배가루이의 밀도는 하우스 내부보다는 측면에서 밀도가 더 높았고 가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밀도가 높았다. 담배가루이 밀도가 높고 dinotefuran SG 50%가 처리된 가지를 5 m간격으로 투입했을 때, 담배가루이 밀도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지는 시설토마토 재배시 담배가루이 성충을 유인하는데 효과적인 트랩식물이며 dinotefuran SG 50% 과 함께 사용한다면 담배가루이 밀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3종의 살충제에 대한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섭식행동 비교 (Differentiation in Feeding Behaviour of Biotypes B and Q of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against Three Insecticides)

  • 서미자;양정오;윤창만;윤영남;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01-408
    • /
    • 2007
  • Acetamiprid, spinosad, thiamethoxam 3종류의 살충제에 대해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 타입간의 섭식행동을 EPG기법으로 분석하였다. 3종류의 살충제를 추천농도로 처리한 후 6시간동안 기록한 EPG waveform을 가지고 약제에 반응하여 최초로 구침을 빼기까지 소요된 시간, 전체 기록시간동안의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 구침활성이 일어나는 시간, 직접적인 섭식행동인 체관부 섭식시간 등을 조사, 비교분석하여 타입별 살충제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살충제간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3가지 살충제 모두 기록 시작 후 살충제에 반응하여 구침의 활성에 변화를 보이는 전체시간을 측정한 결과, B biotype이 Q biotype에 비해 구침의 활성시간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관부를 흡즙하는 시간은 반대로 적게 나타났다. 살충제에 반응하여 구침을 빼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B타입이 Q타입보다 빨리 나타났는데, 이는 살충제에 좀 더 빠르게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담배가루이 biotype B는 Q타입보다 식물체에 처리된 살충제를 빠르게 감지하며 섭식을 덜 함으로써 3가지 살충제에 대해 감수성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Spearmint Oil against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Bemisia tabaci Adults)

  • 최유미;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3-328
    • /
    • 2004
  •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의 주요 해충인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훈증독성 및 접촉독성을 조사하였으며, gas chromatograph (GC)와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ry(GC/MS)를 이용하여 spea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훈증독성 시험 결과, 온실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10{\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99.1\%$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1{\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91.7\%$$41.1\%$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10{\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100\%$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1{\mu}L/954mL$ air의 약량에서도 각각 100, $61.3\%$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spearmint oil의 접촉독성은 살충효과가 $30\%$ 이하로 낮았다. Spearmint oil을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limonene ($16.1\%$), ${\gamma}$-terpinene($13.8\%$), ${\rho}$-cymene($5.8\%$), 3-octanol($6.9\%$), carvone($40.9\%$)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성분인 carvone 은 $10{\mu}L/954mL$ air 약량에서 $100\%$의 높은 훈증독성을 나타내었다.

Influence of Additives on the Yield and Pathogenicity of Conidia Produced by Solid State Cultivation of an Isaria javanica Isolate

  • Kim, Jeong Jun;Xie, Ling;Han, Ji Hee;Lee, Sang Yeob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46-352
    • /
    • 2014
  • Recently, the Q biotype of tobacco whitefly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hazardous strain of Bemisia tabaci worldwide, because of its increased resistance to some insecticide groups. As an alternative control agent, we selected an Isaria javanica isolate as a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a mycopesticide against the Q biotype of sweet potato whitefly. To select optimal mass production media for solid-state fermentation, we compared the production yield and virulence of conidia between 2 substrates (barley and brown rice), and we also compared the effects of various additives on conidia production and virulence. Barley was a better substrate for conidia production, producing $3.43{\times}10^{10}$ conidia/g, compared with $3.05{\times}10^{10}$ conidia/g for brown rice. The addition of 2% $CaCO_3+2%$ $CaSO_4$ to barley significantly increased conidia production. Addition of yeast extract, casein, or gluten also improved conidia production on barley. Gluten addition (3% and 1.32%) to brown rice improved conidia production by 14 and 6 times, respectively, relative to brown rice without additives. Conidia cultivated on barley produced a mortality rate of 62% in the sweet potato whitefly after 4-day treatment, compared with 53% for conidia cultivated on brown rice. The amendment of solid substrate cultivation with additives changed the virulence of the conidia produced; the median lethal time ($LT_{50}$) was shorter for conidia produced on barley and brown rice with added yeast extract (1.32% and 3%, respectively), $KNO_3$ (0.6% and 1%), or gluten (1.32% and 3%) compared with conidia produced on substrates without additives.

RNAi 기법으로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해 선발된 유전자의 식물체내 발현 (Gene expression in plant according to RNAi treatment of the tobacco whitefly)

  • 김정희;서은영;김정규;임현섭;유용만;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2호
    • /
    • pp.81-86
    • /
    • 2015
  • Three genes selected from cDNA library of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were checked whether these genes expressed in plant or not, and confirmed the change of gene expression using qRT-PCR in the tobacco whitefly. First of all, three genes were inserted in Tobacco rattle virus (TRV) RNA2 vector using Sac I and Xho I restriction enzymes, and conducted agro-infiltration in tobacco plants (Nicotiana benthamianana). And then, it was confirmed that TRV RNA2 vector and genes inserted in TRV RNA2 vector were expressed in plant. So, after feeding the tobacco whitefly the plants inoculated the genes and induced RNAi of the genes, we plan to confirm the RNAi in the whitefly and investigate the changes of gene expression through the qRT-PCR.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Infection in a Monocotyledonous Weed (Eleusine indica)

  • Kil, Eui-Joon;Byun, Hee-Seong;Hwang, Hyunsik;Lee, Kyeong-Yeoll;Choi, Hong-Soo;Kim, Chang-Seok;Lee, Sukch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641-651
    • /
    • 2021
  •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lant viruses belonging to the genus Begomovirus of the family Geminiviridae. To identify natural weed hosts that could act as reservoirs of TYLCV, 100 samples were collected at a TYLCV-affected tomato farm in Iksan from 2013 to 2014. The sample weed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40 species from 18 families. TYLCV was detected in 57 samples belonging to 28 species through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root samples including five species (Eleusine indica, Digitaria ciliaris, Echinochloa crus-galli, Panicum dichotomiflorum, and Setaria faberi) from the family Poaceae. Whitefly Bemisia tabaci-mediated TYLCV transmission from TYLCV-infected E. indica plants to healthy tomatoes was confirmed, and inoculated tomatoes showed typical symptoms, such as leaf curling and yellowing. In addition, TYLCV was detected in leaf and root samples of E. indica plants inoculated by both whitefly-mediated transmission using TYLCV-viruliferous whitefly and agro-inoculation using a TYLCV infectious clone. The majority of mastreviruses infect monocotyledonous plants, but there have also been reports of mastreviruses that can infect dicotyledonous plants, such as the chickpea chlorotic dwarf virus. No exception was reported among begomoviruses known as infecting dicots only.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YLCV as a member of the genus Begomovirus infecting monocotyledonous plants.

시설토마토에서 황색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표본조사법 (Sampling Plan for Bemisia tabaci Adults by Using Yellow-color Sticky Traps in Tomato Greenhouses)

  • 송정흡;이광주;양영택;이신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75-380
    • /
    • 2014
  •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는 바이러스병의 매개로 인해 제주지역 시설재배 토마토에서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성충의 실용적인 발생밀도 추정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1과 2012년 제주 서부지역의 농가재배 토마토 포장에서 포장 상황에 따라 20~30개의 트랩을 설치하여 7~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을 지상 60 cm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것이 작물 상단 10 cm 위에 수직으로 설치한 것보다 더 많은 담배가루이가 유인되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인된 담배가루이 성충의 분포형태를 Taylor's power law (TPL)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 분석한 결과 두 회귀식의 기울기값이 모두 "1"보다 커 담배가루이 성충이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TPL의 결정계수($r^2$)값이 IPR보다 더 높아 TPL이 담배가루이 성충의 공간분포 특성을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황색끈끈이트랩의 수를 TPL 상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정확도 수준이 높을수록, 평균밀도가 낮을수록 필요한 트랩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TPL 상수를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조사를 중지하더라도 트랩당 평균밀도를 추정이 가능한 누적밀도를 계산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시기를 트랩 최고 밀도 10마리로 가정했을 때 이 밀도에서 필요한 포장당 트랩수는 고정정확도 0.25수준에서 15개이었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트랩당 평균밀도는 트랩마다 모든 성충수를 계수하는 것보다 2마리 이상 유인된 트랩의 비율을 가지고 추정하는 이항모델 [${\ln}(m)=1.19+0.90{\ln}(-{\ln}(1-p_T))$]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정확한 방제의사 결정을 통해 담배가루이가 매개하는 바이러스병 확산을 막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병원성곰팡이 Lecanicijjium lecanii Btab0l 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Lecanicillium lecanii Btab0l Isolated with Bioactivities to Ta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 윤여준;유용만;이민호;한은정;홍성준;안난희;김용기;지형진;박종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17-422
    • /
    • 2010
  • 국내에 문제가 되는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의 살충성 Lecanicillium lecanii Btab01 균주의 생육 특성과 살충력을 검정하였다. PDA, TSA, SDA+Y배지에서 L. lecanii Btab01은 $20{\sim}25^{\circ}C$에서 균사성장이 가장 빨랐으며 $28^{\circ}C$이상에서 성장이 억제되었다. L. lecanii Btab01는 고체배양과 액체배양 시 담배가루이 약충에 대해 살충률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93.9%, 98.3%). 농도별로는 $10^5$, $10^6$, $10^7$, $10^8$ cfu/ml에서 각각 5.8%, 33.8%, 77.3%, 98.5%의 살충률을 보였고 각각 16.1일, 7.3일, 5.1일, 3.5일의 $LT_{50}$값을 나타내었다. L. lecanii Btab01을 약충에 처리 후 포화습도 조건을 0 시간 24 시간, 168 시간 유지하였을 때, 0%, 20.3%, 100%의 살충률을 보였다. 균주에 0.5% 식용유를 첨가하였을 때 포자의 발아가 2 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균주에 0.1% 식용유를 첨가하여 약충에 처리했을 때(98.6%)가 첨가하지 않았을 때(79.9%)보다 살충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