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r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6초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의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 (Research on Market Segmentation by Beer Franchise Restaurants Selection Attribution)

  • 손일락;김연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51-360
    • /
    • 2008
  • 본 연구는 서울지역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308부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레스토랑과 바의 선택속성과 시장세분화에 대하여 검토한다. 둘째,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 이용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선택속성의 요인을 살펴본다. 연구 결과 고객들의 맥주 프랜차이즈 선택속성은 "추가적인 서비스", "안주의 품질", "서비스 수준", "접근의 용이성", "업장의 이미지"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단순 방문가 집단'과 '적극적 애호가 집단'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군집별 시장을 세분화하였다. 충성도, 추천의도, 전반적 만족도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고객행동 특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용형태별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맥주 프랜차이즈 전문점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 지역 대표 브랜드의 자산이 소비자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칭다오 맥주를 중심으로 (Effects of Brand Equit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China's Local Representative Brand -Focused on Tsingtao Beer)

  • 여명우;진엽청;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79-3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지역 대표 브랜드 칭다오 맥주의 브랜드 자산인 브랜드 인지,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이 매개변수인 소비자 만족도를 기반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21일부터 11월 3일까지 14일 동안에 중국에 칭다오 맥주를 먹은 경험이 있는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되었다. 응답자 답을 SPSS 25번전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칭다오 맥주의 브랜드 자산, 소비자 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3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칭다오 맥주의 브랜드 자산은 소비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미친 것이다. 그리고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충성도에 도 정(+)의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만족도는 칭다오 맥주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효과를 있다고 나타났다.

Construction of Amylolytic Industrial Brewing Yeast Strain with High Glutathione Content for Manufacturing Beer with Improved Anti-Staling Capability and Flavor

  • Wang, Jin-Jing;Wang, Zhao-Yue;He, Xiu-Ping;Zhang, Bo-R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1호
    • /
    • pp.1539-1545
    • /
    • 2010
  • In beer, glutathione works as the main antioxidant compound, which also correlates with the stability of the beer flavor. In addition, high residual sugars in beer contribute to major nonvolatile components, which are reflected in a high caloric cont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GSH1 gene encoding glutamylcysteine synthetase and the Saccharomycopsis fibuligera ALP1 gene encoding ${\alpha}$-amylase were coexpressed in industrial brewing yeast strain Y31 targeting the ${\alpha}$-acetolactate synthase (AHAS) gene (ILV2) and alcohol dehydrogenase gene (ADH2), resulting in the new recombinant strain TY3. The glutathione content in the fermentation broth of TY3 increased to 43.83 mg/l as compared with 33.34 mg/l in the fermentation broth of Y31. The recombinant strain showed a high ${\alpha}$-amylase activity and utilized more than 46% of the starch as the sole carbon source after 5 days. European Brewery Convention tube fermentation tests comparing the fermentation broths of TY3 and Y31 showed that the flavor stability index for TY3 was 1.3-fold higher, whereas its residual sugar concentration was 76.8% lower. Owing to the interruption of the ILV2 gene and ADH2 gene, the contents of diacetyl and acetaldehyde as off-flavor compounds were reduced by 56.93% and 31.25%,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contents in the Y31 fermentation broth. In addition, since no drug-resistant genes were introduced to the new recombinant strain, it should be more suitable for use in the beer industry, owing to its better flavor stability and other beneficial characteristics.

고구마를 첨가한 저맥아 맥주의 양조와 품질 특성 (Brewing and Properties of Low-Malt Beer with a Sweet Potato Paste)

  • 양하나;오은비;박정섭;정문웅;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1-500
    • /
    • 2017
  • 신율미와 신자미 페이스트, 맥아, 효소제, 홉을 사용하여 고구마-맥아 당화액을 제조하고, 하면 발효효모 및 상면 발효효모를 접종, 발효하여 라거 및 에일 고구마 맥주를 제조하였다. 고구마 당화시 ${\alpha}-amylase$ 계 효소제를 첨가했을 때 여과성 향상과 당도 증가 효과가 가장 좋았다. ${\alpha}-Amylase$ 계 효소제를 0.1% 첨가하여 three step infusion 법으로 고구마-맥아 당화액을 제조했을 때 맥주 양조를 위한 최적 당도인 $13.5^{\circ}Brix$를 갖는 당화액이 얻어졌다. 라거 및 에일 신자미 맥주에서 고구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하였고,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효과도 크게 증가하였다. 신율미 맥주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구마 맥주의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라거 및 에일 신자미 맥주 모두에서 고구마 41.6%를 첨가했을 때 관능평가가 양호하였고, 미려한 적색의 색조를 띄었다.

고정화 효모를 이용한 맥주의 연속 숙성공정 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Beer Maturation Precess Using Immobilized Yeast)

  • 박상재;이율락;김상호;최차용
    • KSBB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438-443
    • /
    • 2000
  • 맥주의 숙성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네 종류의 고정화용 담체를 활용한 고정화 효모 반응기를 시험하였다. 전발효가 끝난 Green Beer (GB)를 효모를 제거하고 열처리할 경우 처 리온도가 높을수록 전구체인 $\alpha$-acetolactate의 diacety 1로의 전 환율이 낮고 전환속도도 빨라 $70^{\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4분이면 충분하였다 GB 중의 산소농도는 전구체에서 DA로의 변환율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는데 그 농도가 낮을수록 전환율이 낮았으며 0.1 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전 구체가 DA이외의 물칠로 전환되었다. 열처리한 전발효 맥주 를 HAN, G-2, FLO, GDC 담체 column에 $\alpha$, 체류시간 80-150분으로 통과시킬 경우 diacety I 농도를 상품 맥주의 품질로 적합한 0.1 ppm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어서 시험한 담체 모두 맥주 숙성용 효모고정화용 답체로의 실용화 가능 성이 있었다. 이 때 세라믹 담체 column의 경우 GDC 담체 column에 비해 미발효된 잔당의 발효에 의한 새로운 DA 전 구체의 생성이 많았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산한 맥주를 공장에서 기존의 방법으로 생산한 맥주와 맛을 비교한 결과 미세한 차이가 있으나 불쾌한 느낌을 주는 이취등은 발견되지 않아 고정화 효모 반응기에 의한 고속 숙성공정의 현장적 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쌀 가공처리에 따른 쌀 맥즙 및 쌀 맥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ort and Rice Beer by Rice Processing)

  • 박지영;이석기;최인덕;최혜선;김남걸;신동선;정광호;박장환;오세관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4호
    • /
    • pp.290-296
    • /
    • 2019
  • 우리나라에서 쌀(Rice, Orzya sativa L.)은 주식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공식품원료로서 그의 가치가 높은 식품자원이다. 본 연구는 쌀맥주 제조 시 당화가 잘되는 쌀의 전처리 방법에 대해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쌀을 미세분쇄, 수침처리, 볶음처리, 호화처리, 팽화처리 후 맥아와 함께 당화를 한 결과, 팽화미를 함유한 맥즙이 가장 높은 당도(°Bx)를 나타내었다. 또한 액화 및 당화효소를 첨가하지 않고, 맥즙을 제조 시 쌀 30% 첨가했을 때 당도가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볶은쌀과 팽화미를 이용하여 10, 20, 30% 첨가한 맥주를 제조한 결과 팽화미를 30% 첨가한 맥즙의 가용성고형분이 15.4 °Bx로 가장 높고 당화도 잘되었으며, 맥주의 알코올함량이 5.0-5.4%로 볶은쌀 첨가 맥주에 비해 높았으며, 탁도가 없었고 쓴맛도 적은 결과를 보였다. 팽화처리는 쌀의 당화를 개선 할 수 있는 좋은 가공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팽화미를 첨가한 쌀맥주 제조방법은 편리하고, 좋은 품질의 맥주를 생산 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기대된다.

소주 및 맥주 음주와 혈중 수은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Blood Mercury and Drinking Soju and Beer in Korea)

  • 조준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48-35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and blood mercury concentration in Korea.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that us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ong them, 3,174 person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tudy.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n the blood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drinking soju or beer increased. Similarly, in the multiple-linear regression analysis model, the frequency of soju drinking wa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linearity (p<0.001). After controlling for confounding factors, comparing those drinking 'more than twice a week' with those who almost do not drink alcohol, the adjusted ORs for exposure to high concentrations of mercury were 3.24 (95% CI, 2.10-4.99) for drinking soju and 2.07 (95% CI, 1.33-3.22) for drinking be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ju drinking' and 'spicy pollack and seafood stew'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98) for evaluat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n the blood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drinking of soju or beer increase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the more likely is the blood mercury to be included in the high-concentr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scientific evidence for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related to alcohol drinking and blood heavy metal exposure in Korea.

Influence of Aeration During Propagation of Pitching Yeast on Fermentation and Beer Flavor

  • Cheong, Chul;Wackerbauer, Karl;Kang, Soon-A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97-304
    • /
    • 2007
  • The effect of yeast propagated at different aeration conditions on yeast physiology, fermentation ability, and beer quality was investigated using three strain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t was shown that yeast cells grown under continuous aeration conditions during propagation were almost two times higher as compared with discontinuous aeration conditions. The maximum of cell growth of all samples reached between 36 hand 48 h. The concentration of trehalose was increased under continuous aerated yeasts, whereas glycogen was decrease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concentration of glycogen and trehalose in yeast cells had no direct effect on subsequent fermentation ability. The effect of yeast propagated under different aeration conditions on subsequent fermentation ability was different from yeast strains, in which the influence will be most pronounced at the first fermentation. Later, the yeasts might regain its original characteristics in the following fermentations. Generally, continuously propagated yeast had a positive effect on beer quality in subsequent fermentation. Hence, the concentration of aroma compounds obtained with yeast propagated under 6 1/h for 48 h aeration was lower than those grown under other aeration conditions in the bottom yeasts; in particular, the amounts of phenylethyl alcohol, ester, and fatty acids were decreased.

Optimal Conditions for Propagation in Bottom and Top Brewing Yeast Strains

  • Cheong, Chul;Wackerbauer, Karl;Lee, Si-Kyung;Kang, Soon-Ah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39-744
    • /
    • 2008
  • The method of yeast propagation has an influence on yeast physiology, fermentation ability, flocculation rate, and taste stability of beer. In order to find optimal conditions for propagation, sever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combinations. The bottom brewing yeast grown at $10^{\circ}C$ indicated that a higher flocculation capacity during the $1^{st}$ fermentation. However, the taste stability and the aroma profile were not affected by parameters of propagation investigated. The beer quality was rather affected by storage duration. In addition, a correlation between tasting and chemiluminescence was found at the beer, which was produced using bottom brewing yeast. The propagation at $10-25^{\circ}C$ with addition of zinc ion indicated the best condition to improve fermentation ability, flocculation rate, and filterability for bottom brewing yeast, whereas the propagation at $30^{\circ}C$ with addition of zinc ion showed the best condition to increase fermentation ability for top brewing yea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