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nursing skills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초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the Self-efficacy, Confid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Lower-Class Nursing Students)

  • 현일선;배윤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63-171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연구이다.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80명이었다. 실험처치 및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 2일부터 4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 교육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교육 후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후 자기효능감(p=.045), 수행자신감(p<.001) 및 전공만족도(p=.018)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어,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또래교수법(Peer Tutoring)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Peer Tutoring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 김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41-249
    • /
    • 2018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서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의 활용이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력, 수행자신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C대학 간호학과 3학년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148명(실험군 75명, 대조군 73명)이 참여하였다.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학습만족도, 유치도뇨 및 단순도뇨의 수행력과 수행자신감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경구투약의 수행력 및 수행자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급변하는 국내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 능력을 향상시키기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BLS 교육과 CPR관련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조사 (Perception of Nursing Students on BLS Education and CPR related emergency situation)

  • 김선경;김종임;김선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3-444
    • /
    • 201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for Basic Life Support (BLS) and perception on CPR related emergency situ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basic nursing skill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Korea. Participants consider help from others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CPR situation, followed by the skills and knowledge.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79.7%) selected high and very high for the association between basic nursing skill and CPR management. The well systematized skill training may ultimately improve students' the ability to react on real-life accidents using well developed emergency management skills.

  • PDF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 Reflective Practice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among Nursing Students)

  • 김애경;김래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65-6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 43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43명으로 총 8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는 2명의 연구자에 의한 관찰평가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hi}^2$-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실습 자신감(t=2.170, p=.033), 학업적 자기효능감(t=3.096, p=.033), 핵심 기본 간호술 성취도(t=2.817,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실습만족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 교육현장에 도입되어 간호교육의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학습성과 기반 성인간호 임상실습 운영을 위한 임상시나리오 및 루브릭 개발 (Development of Clinical Scenarios and Rubrics for a Program Outcome-based Evaluation for Students' Adult Health Nursing Practice)

  • 양희모;황선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3-66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frequently-used clinical scenarios and scoring rubrics to assess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adult health nursing clinical practice for clinical evaluation based on program learning outcomes (PO). Methods: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combin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o select and construct scenarios. Data were collected from clinical practitioners, adult health nursing professors, and new nurses from November, 2013 to April, 2014. The developed scenarios and rubrics were applied to nursing students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Results: The 12 frequently-used clinical scenarios were developed. The proportion of the evaluation rubrics were 30% for clinical instructors where as 70% for college instructors. In order for students to achieve the important learning outcomes from the courses for clinical practice, four program outcomes (POs) were selected as well as a rubric for each POs was developed. Students who had situation-based clinical practices show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on mastery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Conclusion: This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e strategies for complementing pitfalls in clinical setting and achieving PO during students' clinical practicum.

휴대폰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성취도,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Education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 김묘경;이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7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education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modified and non-synchronized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n=60) or control group (n=67). During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ining for 10 selected core basic nursing skills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 The control group, also for one semester, received training with traditional practices.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chievement was evaluated by professors at the conclusion of the semest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ai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t=7.94, p<.00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t=2.39, p=.018) and achievement (t=2.40, p=.01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in practic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Mentoring Learnings-based Preclinical OSCE program on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Nursing Student)

  • 윤매옥;주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85-295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의 실험연구로 연구대상은 J도 소재 일개 4년제 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68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전 동료 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이 핵심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중재 후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 간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므로 이를 토대로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비디오 디브리핑을 이용한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비기술적 술기와 기술적 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Basic Life Support Utilizing Video-assisted Debriefing on Non-Technical and Technic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고진화;허혜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SBT) for basic life support (BLS) utilizing video-assisted debriefing (VAD) about non-technical skills (NTSs) and technical skills (TSs). The goal of the proposed study is the evaluation of a teaching method about the correct applic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non-synchronized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twelve teams of 36 nursing students.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received the SBT for BLS. Only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VAD where as the control groups had a verbal debriefing. Raters who used checklists for TSs and NTSs evaluated both groups.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0.0 using Cronbach's ${\alpha}$,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Mann-Whitney U test and Wil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in both TSs (p=.004) and the NTSs (p=.008).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TS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lead CPR successfully, so VAD can be used as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strategy in the SBT for BLS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습열의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on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김보라;정미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51-158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학습열의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J도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12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연령(F=5.52, p<.001), 간호사 직업 이미지(F=1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r=.563, <.001)과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며,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𝛽=.338 P<.001), 학습열의(𝛽=.195 P=.027)로 확인되었고, 변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35%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내실습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On-Campus Practicum for Core Basic Nursing Skills Using a Mobile Based Reflective Log)

  • 최한나;송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2-400
    • /
    • 2021
  •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 반드시 가져야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교내실습 과정을 소개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을 수행할 때 학생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Kolb의 경험적 학습 과정을 기반으로 교내 실습을 진행한 후 분석되었다. 분석 자료로 학생들이 각 수업에 대하여 작성한 모바일 기반의 온라인 성찰일지를 활용하였다. 성찰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술기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지식, 기술(수행), 태도로 구분하여 파악하였고,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난이도, 중요도, 자신감도 평가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평가 결과 학생들은 특히 기술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정맥수액주입 및 유치도뇨와 같이 핵심술기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자신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 이상의 학생들이 정맥수액주입 및 활력징후 측정을 가장 중요한 핵심기본간호술로 간주하였다. 향후 학생들의 핵심술기 수행 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교수법의 적용과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