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rier Free Accessibilit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보건소의 노인 및 장애인 친화적 시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ged and Disabled-Friendly Public Health Centers)

  • 서영준;김연희;신민경;최대봉;강신희;권순정;정승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3-11
    • /
    • 2009
  •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of the aged and disabled-friendly system in public health center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fiel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01 public health center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aged and disabled-friendly system in public health centers were not sufficient for meeting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disabled people. Based up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o establish the aged and the disabled-friendly system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a good system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 persons. In detail, they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status quo of the aged and the disabled-friendly system in many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a practical strateg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 In conclusion, the strategy and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e study will provide a good guide for establishing the aged and the disabled-friendly system in any institutions.

  • PDF

중성염이 견의 반응염색에 미치는 영향(I) - 양이온의 영향- (Effect of Neutral Salts on the Reactive Dyeing of Silk(I) -Effect of Cations-)

  • 도성국;박찬헌;권지윤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372-379
    • /
    • 2000
  • Four kinds of neutral salts with different cations, LiCl, NaCl, KCl, and CsCl, were added to the dye bath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effect of cations on the reactive dyeing of silk with C. I. Reactive Black 5. The cations of salts added lowered the negative surface potential of the silk, improving equilibrium adsorption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dyestuff to the fiber greatly and speeding up the dyeing rate in the order of $Li^+>Na^+>K^+>Cs^+$. The activation energy$(E_a)$ for the dyeing was in the order of$Li^+>Na^+>K^+>Cs^+$ but the activation free energy$(\Delta{G}^*)$, or the real energy barrier for the reaction, was in the order of $Li^+>Na^+>K^+>Cs^+$ because the degree of the contribution of E$^{a}$ to the activation entropy$(\Delta{S}^*)$ was $Li^+>Na^+>K^+>Cs^+$. It was found from this result that LiCl had the strongest lowering effect on the negative surface potential of silk. The decrease in $\Delta{S}^*$ should be attributed to the loosely bonded activated complex of dyestufffs, cations and fiber molecules at transition state. It was clarified from the Bronsted equation that salts had the ionic strength effect and the specific salt effect on the reactive dyeing.

  • PDF

시각장애인의 여객시설 내부편의시설 이용증진을 위한 무장애 공간 분석(광명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Non-Barrier Space to Promote the Uses of Convenience Facilities at Passenger Facilities by the Visually Handicapped)

  • 김동문;김황배;박재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40
    • /
    • 2008
  • 선진사회의 지표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보편적 삶의 질의 수준과 그 만족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편적 삶의 질은 사회적 약자들의 측면에서는 도시공간으로의 접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각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들은 도시공간에서의 관심 시설물에의 접근과 이동권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특히 여객시설과 같은 시설물간의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환승시설과 그 내부의 장애인 편의시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장애인 편의시설은 각 시설물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시각장애인에게 제공되므로, 이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기존의 관련연구들은 이용자의 의식조사나 관련 통계 분석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공간(Spatial)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이 가능한 GIS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여객시설의 내부편의시설 이용증진과 이동권 확보를 위한 무장애 공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장애공간이 존재하여 신속한 보완이 필요하였으며, 다양한 내부편의시설의 이용증진을 위해서는 점자블록과 같은 장애인 편의시설의 확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숙박시설의 객실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가능성 연구 - 인식조사와 객실 현황 및 실태조사를 통하여 (A Study on Universal Design Applicability of Rooms in Accommodation Facilities - Through the survey of awareness and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room status)

  • 류상오;김인순;안성준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37-46
    • /
    • 2017
  • Purpose: Recently accomodations are required to apply universal designs to all the types of room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everyone. Especially universal designs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methods to help disabled users utilizing accomodations with minimizing difficulties. The current research attempted to apply universal designs to ordinary rooms for promoting usage of rooms in accomodations. Methods: The field study were executed about all the types of rooms and shared spaces in 42 accomodations in 14 cities, Also, the managers working in the studied accomodations were asked to answer the online survey about awareness in universal design. Results: In many cases, ordinary rooms are partially renovated for the disabled with adding some convenient facilities. This raises negative recognition for the rooms specially designed for the disabled as well as absence of needs for universal designed rooms. Meanwhile, universal designed rooms have been required not only for the ordinary but also for the disabled. Implications: Regarding adopting universal design to rooms in accomodations, it should be reviewed throughout all the processes from designing to planning.

Impact of Online Learning in India: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 COVID-19 Crisis

  • Goswami, Manash Pratim;Thanvi, Jyoti;Padhi, Soubhagya Ranjan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331-351
    • /
    • 2021
  •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COVID-19 caused the government of India to instruct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witch to an online mode to mitigate the losses for students due to the pandemic.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introduced as a stop-gap arrangement during the pandemic in India. A survey was conducted (N=289), via Facebook and WhatsApp, June 1-15, 2020 to understand the acce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and constraints that students of higher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faced during the peak times of the pandemic.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revealed that the students acclimatized in a short span of time to online learning, with only 33.21% saying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online learning mode. However, the sudden shift to online education has presented more challenges for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marginalized groups, including Scheduled Caste (SC), Scheduled Tribes (ST), Other Backward Class (OBC), females, and students in rural areas, due to factors like the price of high-speed Internet (78.20% identified it as a barrier to online learning), insufficient infrastructure (23.52% needed to share their device frequently or very frequently), poor Internet connectivity, etc. According to 76.47% of respondents, the future of learning will be in "blended mode." A total of 88.92% of the respondent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high-quality video conferencing facilities free to students to mitigate the division created by online education in an already divided society.

공공도서관 공용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Common Spaces in Public Libraries by Universal Design Principles)

  • 이규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55-162
    • /
    • 2019
  • 오늘날의 공공도서관 이용 주체는 매우 다양화 되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연령 및 신체 조건의 이용자들을 고려하고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을 갖춘 공공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공용공간을 유니버설디자인의 원칙을 기준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공공도서관 33개소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를 통해 적용 수준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수준이 낮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와 관련한 환경을 우선적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보다 수준 높은 유니버설디자인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계단계부터 이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사용상의 융통성' 관련 환경은 국내의 법적인 규제에 적용되는 항목이 적어 환경 수준을 제고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전체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인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유니버설 디자인 7원칙의 적용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Status of Universal Design 7 Principles -)

  • 이규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물리적 환경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수준을 유니버설 디자인 7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공간 및 시설 측면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243개소를 대상으로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적용수준이 낮은 시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및 '사용상의 융통성'과 관련한 환경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적은 신체적 노력' 원칙의 적용성 향상을 위해 대지선정과 설계 초기부터의 계획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석 액추에이터를 통한 촉각 디스플레이 구현 (Implementing Tactile Display via Electromagnetic Actuator)

  • 김주윤;성기광;김지호;박현철;최고운하늘한아름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6-150
    • /
    • 2020
  • 4차 산업혁명에 의한 급변하는 기술 발전 과정에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보조공학기술은 종종 간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보조공학기술로써 전자석 액추에이터를 적용한 촉각 디스플레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다중배열 구조의 촉각 디스플레이는 셀의 크기와 간격을 좁혀 직선과 곡선을 통해 그림, 지도, 그래픽 등을 출력한다. 이는 시각장애인들이 촉각으로 2차원 정보를 확인 할 수 있게 만들고, 기존 정보통신 기술(ICT)와 융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STEM교육(과학, 기술, 공학, 수학)에 접근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공공인프라 등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분야에까지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석 액추에이터의 연구 및 제작과정을 설명하고, 그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해당 기술이 함의하는 사회, 경제적 가치와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이용 특성 연구 - 수원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n the Use Characteristics of Citizen based on Urban Green Spaces Type - Focuses on Suwon-City -)

  • 김예성;김현;고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1-40
    • /
    • 2014
  • 도시에서의 녹지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법에서는 도시공원을 도시계획시설로 정의하고 1인당 공급면적을 규정하고 있지만, 공원조성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높은 지가와 재원부족으로 인해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도시민의 경우 이용의 개념으로 도시녹지를 인지하기 때문에 법정도시공원뿐 아니라 하천, 저수지, 학교 운동장 등 기타녹지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도시민들은 이용 자체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법정도시공원뿐 아니라 하천, 저수지, 학교 운동장 등 기타녹지도 공원과 유사하게 인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녹지를 법정공원녹지인 도시공원과 기타 녹지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공원 이용행태와 이용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유형 간에 주목할 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 같은 사실에서 향후 1인당 공원면적 산정 시 현행 법정공원녹지 외에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하천, 저수지, 학교녹지, 아파트 녹지 등 기타녹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의 도시녹지 면적 산정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향후 도시공원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재원 부족으로 인한 장기 미집행시설에 대한 해제에 대비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로 만족도, 접근 편리성, 동선 편리성 등 접근성에 대한 요인이 도시공원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도시공원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원면적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도시공원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도시녹지로 이동하는 수단이 대부분 도보임을 감안할 때 도시녹지로 이용하는 경로 분석을 통해 베리어 프리, 도보 안정성 확보 등 도시녹지 접근 편의성에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제공 실태 (An Analysis of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이인숙;김성재;방경숙;이윤정;김미주;문효정;연평식;하이얀;진영란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69
    • /
    • 2018
  •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실태, 관련 인식을 조사하여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전국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한 달간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23개 기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응답자는 대부분 원장 혹은 사무국장이었다(75.0%). 복합건물의 일부 층을 사용 중인 노인요양시설(16.3%)은 시설 내에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기 힘들 것으로 사료되고, 인근에 숲이 없는 경우(약 30%)와 숲이 있더라도 휠체어나 경사로가 없는 경우가 많아 이용에 제약이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운영자들도 산림복지서비스가 노인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지만,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필수항목은 아니고,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낙상, 이식증 등 사고위험이 있어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노인요양시설을 평가할 때, 숲 등 산림치유적 요소를 갖추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시설 내 정원에 화장실 접근성을 높이고, 시설 인근 숲에 휠체어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리프트 이동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산림복지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노인요양시설 산림복지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 보급하여 시설 내외부에서 간편하게 따라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편안함과 적절한 인지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