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Non-Barrier Space to Promote the Uses of Convenience Facilities at Passenger Facilities by the Visually Handicapped

시각장애인의 여객시설 내부편의시설 이용증진을 위한 무장애 공간 분석(광명역을 중심으로)

  • 김동문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indicators of an advanced society include the overall level of life quality and satisfaction among all the members. The overall life quality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accessibility to urban space for the social weak. Access to facilities of interest and right of mobility in urban space are very important issues to the weak class in term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the visually handicapped. In particular, great significance is endowed upon transfer facilities, which play mediating roles between facilities like passenger facilities, and the convenience facilities inside for the disabled, which are usually the only means for the disabled to access each facility. As they are provided to the visually handicapped as well, it'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concerned spatial distribution and offer the result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ubject, however, merely covered the perceptions of the users and the related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non-barrier spac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at passenger facilities by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to secure their right of mobility by using a GIS for spatial analysis based on spatial data. The results show that it's urgent to supplement the existing space for the handicapped and that it's necessary to expand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uch as paths with Braille points on them to promote their use of diverse convenience facilities inside.

선진사회의 지표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보편적 삶의 질의 수준과 그 만족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편적 삶의 질은 사회적 약자들의 측면에서는 도시공간으로의 접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각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들은 도시공간에서의 관심 시설물에의 접근과 이동권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특히 여객시설과 같은 시설물간의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환승시설과 그 내부의 장애인 편의시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장애인 편의시설은 각 시설물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시각장애인에게 제공되므로, 이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기존의 관련연구들은 이용자의 의식조사나 관련 통계 분석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공간(Spatial)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이 가능한 GIS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여객시설의 내부편의시설 이용증진과 이동권 확보를 위한 무장애 공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장애공간이 존재하여 신속한 보완이 필요하였으며, 다양한 내부편의시설의 이용증진을 위해서는 점자블록과 같은 장애인 편의시설의 확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