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extract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4초

조릿대(Sasa borealis Makino) 추출물 첨가가 배추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Kimchi Quality 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Sasa borealis Makino Extract)

  • 육홍선;조지은;김경희;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405-412
    • /
    • 2010
  • This study was focused on finding the potential of hot water extract of bamboo shoot (Sasa borealis Makino)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made with Chinese cabbage. The properties of Kimchi were examined up to 28 days of storage. The pH and acidity decreased regardless of treatments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of both total and reducing sugars in kimchi but the addition of bamboo extract did not affect the soluble sugar levels. Interestingly, bamboo extracts affected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ripening,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lactic acid in bamboo extract treatment. Number of total bacterial cell of additive group is higher than control one, probably due to the stimulative effect of bamboo extract on bacterial growth. Level of lactic acid bacteria was also higher in the additive group, thus, it is considered that bamboo extract appeared to enhance the prolif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The acceptability of treated Kimchi was higher in general. And results of intensity evaluation in color and texture were higher as well by addition of bamboo extract.

소금의 종류에 따른 염장 고등어의 항돌연변이효과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Salted Mackerel with Various Kinds of Salts)

  • 공창숙;박순선;정근옥;길정하;임선영;박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81-285
    • /
    • 2005
  • Raw meat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was salted by refined, sun-dried, bamboo, and KC1-added bamboo salts. Antimutagenic activity on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in Ames test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AGS human gastric and HT-29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methanol extracts of the salted mackerels. Mackerel salted sun-dried, bamboo, and KC1-added bamboo salts used increased the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MNNG, however, the sample treated with refined salt reduced the antimutagenic activity. Inhibitory effects of the salted-mackerels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were increased as dose dependent pattern. Mackerel salted with refined salt activated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but mackerel salted with sun-dried, bamboo, and KC1-added bamboo salts kept or increased anticancer effect compared to the raw mackerel. Mackerel salted with KC1-added bamboo salt led to the highest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mackerel during manufacturing of the salted-mackerel could be enhanced by using different kind of salts such as bamboo, or KC1-added bamboo salts.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 박경란;강성태;김민주;오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65-1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갈근, 갈화, 갈근과죽력의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dix Puerariae, Flos Puerariae and Bamboo+Radix Puerariae Water Extracts on the Ethanol-administered Mice)

  • 김경수;정종길;나창수;김정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9-180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dix Puerariae (RP), Flos Puerariae (FP) and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Radix Puerariae water extracts on the alcohol dehydrogenase (ADH). transaminase (GOT, GPT) activities, and two hepatic antioxidant enzyme (SOD, catalase) activities in acute ethanol administered mice, and we have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changes that occur in hepatocytes of the experimental mice. The activities of ADH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he A1(66%), C1(57%), C2(54%) groups. The transaminase activite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s. Ethanol treatment group without the RP or FP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lowered the activities of hepatic SOD and catalase, whereas MnSOD increased in the A1(27%) and B2(43%)groups, CuZnSOD increased in the B2(25%) and C2 groups. The catalase activites were increased in the A1(270%), A2(478%), B2(487%) and B1(770%)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 lot of PAS-positive granules were observed in the A1, A2, C1 and C2 group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P, FP and RP+Bamboo extracts administration may be prevent from liver damage in the alcohol treatment mice.

  • PDF

Miner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Profile, Total Phenolic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ilippine Bamboo "Bolo" Gigantochloa levis (Blanco) Merr. Leaves

  • Tongco, Jovale Vincent V.;Rodriguez, Evelyn B.;Abasolo, Willie P.;Mun, Sung Phil;Razal, Ramon 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60-63
    • /
    • 2016
  • The study is a pioneering effort to determine the miner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ntent and to deter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igantochloa levis (Blanco) Merr, a native bamboo species (locally known as "bolo") in the Philippines. Proximate analysis showed that air-dried G. levis leaves contain 15.8% ash, 22.6% crude protein, 1.2% crude fat, 29.3% crude fiber, and 19.7% total sugar. Phytochemical tests indicated the presence of diterpenes, triterpenes, saponins, phenols, tannins, and flavonoids in both the ethanolic and aqueous leaf extracts, while phytosterols were only detected in the ethanolic extract. Folin-Ciocalteu assay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 gallic acid equivalents (GAE) to be $85.86{\pm}3.71$ and $32.32{\pm}1.01mg\;GAE/100g$ dried sample for the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 quercetin equivalents (QE) was $74.44{\pm}3.11$ and $29.43{\pm}0.85mg\;QE/100g$ dried sample for the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respectively.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different solvent fractions containing varying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the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The ethyl acetate and 1-butanol fraction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ineral analysis via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EDS) of the ash of G. levis leaves showed that Si is the major component, followed by K and Mg. These results point to the potential of G. levis leaves as a source of minerals and bioactive compounds with medicinal value.

한국산 대나무의 항돌연변이 효과 및 대나무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and Inhibitory Effect of Hepatic Toxicity of Bamboo Extracts Coated Rice)

  • 이민자;김은영;정근옥;박건영;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79-1285
    • /
    • 2004
  • 대나무 열수 추출물의 독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Ames test를 통해 평가하고 이 중 맹종죽 열수 추출물을 쌀에 코팅한 맹종죽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를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한 NZW계 토끼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왕대, 솜대, 맹종죽, 오죽 추출물의 독성 및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대나무 추출물을 0.25∼5.0 mg/plate 농도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은 S9 mix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지 않는 돌연변이원에 대해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이 MNNG 투여에 의한 돌연변이 생성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왕대, 솜대 및 맹종죽 추출물을 2.0 mg/plate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한편, 맹종죽 코팅쌀을 고콜레스테롤 섭취 토끼에게 16주간 급식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은 토끼의 체중감소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증가하였고 식이효율은 HC군에 비해 HR+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토끼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도 간 무게의 경우 HC군에 비해 HC+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심장, 신장, 비장 및 폐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장에서의 GOT 및 GPT 농도를 관찰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이 두 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여 간 보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로써, 대나무 추출물은 독성이 없고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며 맹종죽 코팅쌀은 동물의 성장에 있어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 및 소금 종류를 달리한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n Methanol Extracts of Doenjang Made with Various Kinds of Water or Salt)

  • 이수진;이경임;문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91-695
    • /
    • 2008
  • 물 종류를 달리한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로 돌연변이유발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 일반 수돗물로 담근 된장보다 게르마늄수와 고로쇠나무 수액으로 담근 된장이 Ames test와 SOS chromotest에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Ames 실험에서 일반 재래식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1 mg/plate 농도로 사용하였을 때 S. Typhimurium TA100에서 $AFB_1$의 돌연변이유발 억제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게르마늄수 된장과 고로쇠나무 수액을 첨가한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은 $56{\sim}62%$ 억제되었으며 5 mg/plate 농도에서도 일반 된장보다 억제효과가 높았다. 또한 E. coli PQ37에서 MNNG의 돌연변이유발 억제효과도 일반 된장보다 게르마늄수 된장과 고로쇠나무 수액된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S. Typhimurium TA100에서 MNNG를 돌연변이원으로 사용한 Ames test에서 천일염을 사용한 된장보다 구운 소금과 죽염을 사용한 것이 억제효과가 컸으며 1 mg/plate와 5 mg/plate 농도에서 1회 구운 죽염이 9회 구운 죽염을 첨가한 된장 추출물보다 항돌연변이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SOS chromotest에서도 1회 구운 죽염 된장은 다른 소금 된장 추출물에 비하여 MNNG의 돌연변이를 가장 크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된장을 담글 때 사용하는 물과 소금의 종류에 따라 항돌연변이 효과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된장에 물과 소금이 미치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나무(이대)잎 추출물이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에 의한 흰쥐의 지방 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Bamboo(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 한성희;신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0-36
    • /
    • 2002
  • 흰쥐의 식이섭취량에서 각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식이에 대나무 잎 추출물을 병합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군이 증가하였고, 체중증가량은 각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군이 감소하였다. 식이효율은 지방식이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없었다. 또한 각각의 지방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 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질 농도에서 대조군은 241.17 mg/dL 인데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249.00 mg/dL으로 증가하였다.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은 $254.00{\sim}255.50\;mg/dL$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을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 $225.60{\sim}240.60\;mg/dL$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3% 농도군이 가장 낮았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에서 대조군은 96.17 mg/dL에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124.50 mg/dL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나무 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각각의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은 $134.07{\sim}199.33\;mg/dL$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함 급여한 군은 $101.13{\sim}131.80\;mg/dL$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 농도에서 대조군은 17.50 mg/dL인데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18.50 mg/dL으로 증가하였으며, 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대나무 잎 추출물을 병합 급여하지 않는 군은 $16.00{\sim}19.00\;mg/dL$이나 대나무 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22.00{\sim}24.80\;mg/dL$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지방 식이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각각의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 $92.00{\sim}111.00\;mg/dL$ 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은 $111.17{\sim}122.40\;mg/dL$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는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