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it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Distribution and Bionomics of the Argentine Ant Linepithema humile (Mayr) (Hymenoptera: Formicidae: Dolichoderinae)

  • Min-Ji Lee;Young-Gyu Ban;Heejo Lee;Young Ha Kim;Dayeong Kim;Nang-Hee Kim;Dong Eon, Kim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3호
    • /
    • pp.104-114
    • /
    • 2023
  •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bait preference, hosts, symbionts, habitat status, and cytochrome c oxidase subunit-I sequences of the ant Linepithema humile were analyzed. This species habitat comprised approximately 1.5 km along stone crevices, flower gardens, roadsides, and container yards in the vicinity of Busan station, Korea. Feeding activity of this species was confirmed in 9 species of 7 families of plants. Which was approximately 14% of total flora (63 species of 37 families) in the studied area. Particularly, it was observed that Dendranthema indicum and Camellia japonica were the most frequently visited. Further, we verified that they interacted with four species of aphids. We identified 22 species of ants (17 genera, 4 subfamilies) inhabiting the Busan station area, including L. humile, Tetramorium tsushimae, Nylanderia flavipes and the alien species Paratrechina longicornis. In areas where L. humile was the dominant species, the habitat of local native ants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30%. Bait preference was ranked in the following order: jelly, water with glucose (25%), and yogurt, with the highest preference for baits containing sugar and protein. The 630-bp cytochrome c oxidase subunit-I sequences of the local L. humile populations were 99% identical to those of L. humile in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Argentine ants that invaded Korea had a sequence identical to that of other invasive populations from China, Japan, and New Zealand. As L. humile rapidly increases due to domestic adaptation, continuous monitoring and control strategy for eradication are needed to protect domestic biodiversity.

선주낙어구를 이용한 갈치 어획의 수직분포와 일주변화 (Diel variation in vertical distribution of hairtails caught by vertical longlines)

  • 김문관;박수현;강형철;오태철;박용석;안영일;김석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2호
    • /
    • pp.126-131
    • /
    • 2017
  •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airtail trolling, it is important to gai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of fish based on their diurnal vertical migration patterns. This study evaluated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hairtails through catch efficiency tests using vertical longlines. Five replicate tests of the efficiency were carried out on the eastern coast of Jeju Islan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6, from 11:00 AM to 03:00 PM in the daytime and 11:00 PM to 03:00 AM in the nighttime. The fishing gear was composed of 20 hooks per line set, numbered in order from the first hook near the surface to the last hook on the seabed. The depth of the first hook was 18 m, and that of the last hook was 86 m. Pacific saury was used as the baits. In total, 10 sets of fishing gear were used per trip. After fishing, we counted the hairtails at each numbered hook, which were summed up both by number and in aggregate. A total of 232 hairtails were caught using 2,000 hooks: 193 individuals at daytime and 39 at nighttime. The hook rate was 11.5% : 9.6% at daytime; 2.0% at nighttime. For both daytime and nighttime catches, there were variations in the hook rates at each numbered hook. In the daytime, a maximum of 28.5% catches occurred at hook number 18, followed by 21.4% at number 20, and 10.7% at number 17, accounting for 60.6% of the daytime hook rates. In the nighttime, a maximum of 23.0% catches occurred at hook number 1, followed by 15.3% at hook number 4 and 9, accounting for 53.6% of the nighttime hook rate. Based on the above results, hairtails are usually distributed in deeper region in daytime, whereas they occur near the surface in night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osition trolling lines according to diurnal vertical distribution layers of hairtails for fishing efficiency.

대한민국에서 멧돼지 포획을 위한 두 가지 유인먹이에 대한 반응과 상자형 포획트랩 이용 (Response of Wild Boars (Sus scrofa) to Two Attractants, and Use of Cage Traps to Capture Wild Boars in Korea)

  • 송장훈;최으뜸;서호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1-391
    • /
    • 2018
  • 본 연구는 상자형 포획트랩으로 멧돼지를 성공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유인먹이에 대한 반응과 트랩포획 개체수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자형 철골 포획트랩은 길이 4${\times}$폭 1.5${\times}$높이 1.2 m 크기로 제작하여 2017년 1월 17일부터 동년 3월 24일까지 전남 담양군 소재 2개소와 전북 순창군 소재 1개소에서 설치하였다. 유인먹이의 선호도를 확인하고자 옥수수 알곡사료와 발효된 옥수수 알곡사료를 혼합하여 멧돼지 이동통로 주변에 200 m 간격으로 제공하였다. 미리 먹이주기를 통해 먹이반응이 활발한 곳으로 선택하여 트랩설치를 하였고, 트랩설치를 한 후 유입구를 열어둔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결과 유인먹이 처리별로 선호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없었고 모두 고르게 섭식하였다. 또한 처음 유인먹이를 제공한 후 멧돼지가 먹이를 모두 섭식할 때까지 소요일수를 조사한 결과, 수렵활동이 활발한 담양과 영암지역은 6~12일이 소요되었으나 수렵활동이 없었던 순창지역은 5일이 걸렸다. 또한 먹이유인을 8.7일간 하고 트랩 유입구를 개방한 채로 3일 더 유인작업을 한 결과 약 13.7일이 되어 트랩당 4.3마리의 멧돼지가 포획되었다. 따라서 멧돼지의 포획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트랩주변의 수렵활동 강도가 중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주낙 어구의 자동화 -전자식 낚시 분리장치에 관한 연구- I- (Automation of Longline -Magnetic Splitting Machine for Hooks- I-)

  • 이춘우;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3-99
    • /
    • 1986
  • 현재 주낙 어업은 주로 수동식 조업에 의존하고 있어서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비하고, 어업생산성이 낮은 실정으로 어구의 자동화가 절실히 요망된다. 본 실험에서는 양승과정을 자동화시키기 위해서 전자석을 사용한 낚시 분리 장치(hook separator)를 제작하고, 명태 낚시와 광어 낚시로 구성한 주낙어구에 대하여 낚시 분리성능을 실험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아울러 양승속도에 따른 자속밀도와 분리율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낚시 분리 장치의 분리율은 양승속도가 24m/min일 때 482gauss의 자속밀도에서 명태 낚시가 $94.2\%$, 광어 낚시가 $96.2\%$였다. 2. 모릿줄과 아릿줄의 엉킴에 의한 낚시의 탈락은 평균 $6\%$ 정도였고, 양승속도가 증가될수록 자속밀도가 낮을수록 증가되었다. 3. 양승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낚시 분리에 필요한 자속밀도도 증가하였다. 엉킴에 의한 탈락을 제외할 때 양승속도(V)와 자속밀도(M.F.D)와의 관계는 $M.F.D={\alpha}V^{\beta}+{\gamma}$로 표현되었다. 여기서 ${\alpha}=0.5,\;{\beta}=2,\;{\gamma}=225$(명태 낚시), 210(광어 낚시)였다.

  • PDF

골프장에서 잔디의 예고와 통기작업이 곤충병원성선충의 굼벵이 방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rfgrass Height and Aeration on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to White Grubs in Golf Courses)

  • 이동운;최우근;이상명;추호렬;권태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7-74
    • /
    • 2006
  • 본 연구는 골프장 잔디 해충의 종합적 관리를 위하여 잔디의 관리 과정 중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투입함으로서 굼벵이 방제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 공정을 축소시킴으로서 노동력과 경비를 절감시키며, 환경친화적 방제를 통해 골프장 잔디의 관리자나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잔디의 예고는 곤충병원성선충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쳤는데 꿀벌부채 명나방 유충을 이용한 pot 실험과 등얼룩풍뎅이와 주황긴다리풍뎅이를 이용한 야외실험 모두에서 잔디의 예고가 짧을수록 선충의 방제 효과가 높았다. 통기작업은 곤충병원성 선충의 종에 따라 굼벵이에 대한 병원성에 차이를 보였다. 굼벵이에 대한 병원성이 낮은 곤충병원성 선충은 통기작업과 병행하여 처리하면 병원성이 높아졌으나 병원성이 높은 선충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통기작업의 수행시기도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쳤는데 곤충병원성 선충의 처리 전에 잔디에 대한 통기작업을 하는 것이 굼벵이의 방제효과를 높였다.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 처리 시 등얼룩풍뎅이 유충 밀도 감소율은 선충 처리 전 통기와 선충 처리 후 통기 처리에서 각각 80.4%와 66%를 보여 무통기 처리의 35.4%에 비하여 높았다.

흰불나방의 성유인과 Trap형에 관한 연구 (Field Studies on the Sex Attraction of the Fall Webworm Moths(Hyphantria cunea D.) and the Development of Sex-Attractant Trap)

  • 최승윤;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5-90
    • /
    • 1970
  • 흰불나방의 성간성유인, Trap형의 개발, 일영에 따른 성유인의 변화, 교미후 성유인력의 감퇴 및 유인시각들에 관한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암놈에 대해서 숫놈은 유인되나 숫놈에 대하여 암놈은 유인되지 않았다. 2. Trap A형(직경 10cm, 높이 11.5cm원통형분유통 양쪽에 직경 4.8cm의 둥근 구멍을 만들고 통내부에 토양점차제를 바른것) 이 가장 유인효과가 좋았다. 3. 암놈의 성유인력은 우화후 4일까지 계속되나 1-2일에 가장 유인력이 컸으며 일영이 진행됨에 따라 유인력이 감소하였다. 우화후 2일까지 전체 유인율은 $84.2\%$이었다. 4. 교미후 암놈의 성유인력은 급격히 감소하는데 그 유인율은 미교미한 암놈 $80.5\%$에 대하여 교미한 것은 $19.5\%$에 불과하였다. 5, 흰불나방의 성유인은 오전 3-7시에 일어나는데 유인최성시각은 오전 4-6시로서 약 $98\%$가 이 시각에 유인되었다.

  • PDF

다랑어 연승어업에서 눈다랑어 어획률에 미치는 낚시 및 미끼의 효과 (Effects of Hook and Bait Types on Bigeye Tuna Catch Rates in the Tuna Longline Fishery)

  • 김순송;문대연;안두해;황선재;김영승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1
    • /
    • 2008
  • 다랑어낚시 및 사용미끼에 따른 어획률을 비교하기 위해, 2006년 9~10월간 태평양 중동부 해역에서 다랑어연승 시험조사가 수행되었다. 일반선형모형(GLM)을 이용하여 재래식 다랑어낚시 1종(J4)와 환형낚시 3종(C15, C16, C18), 미끼 5종(고등어(CM), 전갱이(JM), 밀크피쉬(MF), 정어리(SD), 오징어(SQ)) 및 낚시심도를 나타내는 낚시 순번들이 눈다랑어 어획률(1,000낚시당 마리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총 28회 조업에서 낚시순번 간 눈다랑어 어획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GLM분석에서 낚시순번에 의한 눈다랑어 어획률 편차는 33%로 나타났다. 미끼 종류 간 어획률 차이는 그 편차가 2.7%로 적게 나타났고, 낚시형 4종 간 그 차이는 매우 적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낚시형 및 미끼 종류의 선택은 다랑어 연승어업에서 눈다랑어 어획률 차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어획수심을 나타내는 낚시순번은 눈다랑어 어획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합성(合成)페로몬의 지상(地上)높이별(別) 위치(位置) 및 풍속(風速)에 따른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의 비행(飛行) (Flight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ales in Response to Synthetic Pheromone Placed at Various Heights above Ground and the Wind Speed)

  • 박승찬;위안진;김형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35-140
    • /
    • 2000
  • 솔껍질깍지벌레의 수컷성충이 합성페로몬에 반응하여 비행하는 행동습성을 규명하고자 수직으로 세운 대나무 막대에 지상 0.1m부터 2.0m의 범위에 끈끈이 트랩을 5개 배열하고 그중 0.1m, 1.0m, 2.0m중의 한곳에 합성페로몬을 처리한 bait를 부착하여 각 끈끈이 트랩에서의 수컷부착수를 수관 울폐도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껍질깍지벌레 피해 해송림 근처의 공터에서, 페로몬 bait를 지상 2m 및 1m에 설치했을 때 동일 수직 막대상에 있는 각 높이의 트랩당 수컷부착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지면근처에 bait를 설치한 경우 지면근처에 수컷이 집중적으로 비행하고 있었다. 수관 울폐도가 소한 임지의 경우, bait를 지상 2m에 설치한 것은 동일 수직막대상에 있는 각 높이의 트랩당 수컷부착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지상 1m에 설치한 것은 bait 부위를 중심으로 많은 수컷이 비행하고 있었고, 수관 울폐도가 밀한 장소에서는 bait의 지상높이에 관계없이 수컷은 그 bait의 근처에서 많이 비행하고 있었다. 3개 지역 공히 지면부위에 bait를 설치한 처리구에서 지면부위의 트랩에 가장 많은 수컷이 부착되어 본 해충의 선단지 조사를 위한 페로몬 트랩 설치장소는 지면부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풍속별 수컷의 페로몬에 대한 반응조사 결과, 페로몬을 감지한 수컷은 풍속이 낮은 공간을 주로 비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Hepatocellular Proteins Interacting with NS5A of the Hepatitis C Virus

  • Ahn, Ji-Won;Chung, Kyung-Sook;Kim, Dong-Uk;Won, Mi-Sun;Kim, Li-La;Kim, Kyung-Shin;Nam, Mi-Young;Choi, Shin-Jung;Kim, Hyoung-Chin;Yoon, Mi-Chung;Chae, Suhn-Kee;Hoe, Kwang-Lae
    • BMB Reports
    • /
    • 제37권6호
    • /
    • pp.741-748
    • /
    • 2004
  • The hepatitis C virus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liver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s. Among the 10 polyproteins produced by the virus, no function has been clearly assigned to the non-structural 5A (NS5A) prote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hepatocellular proteins that interact with NS5A of the HCV. Yeast two-hybrid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 human liver cDNA prey-library, using five different NS5A derivatives as baits, the full-length NS5A (NS5A-F, amino acid (aa) 1~447) and its four different derivatives, denoted as NS5A-A (aa 1~150), -B (aa 1~300), -C (aa 300~447) and D (aa 150~447). NS5A-F, NS5A-B and NS5A-C gave two, two and 10 candidate clones, respectively, including an AHNAK-related protein, the 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 4 (SFRP4), the N-myc downstream regulated gene 1 (NDRG1), the cellular retinoic acid binding protein 1 (CRABP-1), ferritin heavy chain (FTH1), translokin, tumor-associated calcium signal transducer 2 (TACSTD2), phosphatidylinositol 4-kinase (PI4K) and $centaurin{\delta}$ 2 ($CENT{\delta}2$). However, NS5A-A produced no candidates and NS5A-D was not suitable as bait due to transcriptional activity. Based on an in vitro binding assay, CRABP-1, PI4K, $CENT{\delta}2$ and two unknown fusion proteins with maltose binding protein (MBP), were confirmed to interact with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NS5A fusion protein. Furthermore, the interactions of CRABP-1, PI4K and $CENT{\delta}2$ were not related to the PXXP motif (class II), as judged by a domain analysis. While their biological relevance is under investigation, the result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ossible role of NS5A in hepatocellular signaling pathways.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1.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1.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to the Bamboo and Plastic Pots)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1-347
    • /
    • 1987
  • 현재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의 붕장어 유입성능과 구성재료에 따른 차이 등을 알아보기 위해, 수조실험을 통해 이들 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붕장어의 색이행동은 주로 후각에 의존하며, 시각감도는 매우 나쁜 것 같았다. 2) 붕장어의 통발접촉수는 통발투하후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30분 이내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차차 감소하였다. 3) 붕장어의 입롱은 통발 투하후 30분 이내에 주로 일어나고, 입롱이 일어나면 통발에의 접촉수가 증가하며, 입롱이 빨리 일어날수록 최대접촉수도 빨리 나타났다. 4) 통발에 접근한 붕장어의 대부분은 미끼가 있는 부분으로 향하여 그곳의 통발외벽을 계속적으로 쪼았고, 입구를 접촉하는 것은 매우 우연적이었다. 5) 붕장어가 통발의 입구를 접촉했을 때는 강한 주촉성을 보이지 않고, 입구를 접촉한 총 회수 중에서 $40\%$ 정도는 입롱을 시도하지 않은 채 도피하였다. 6) 붕장어가 입롱을 시도한 총 회수 중에서 $20\%$는 완전 입롱하였고 나머지 $80\%$는 입롱시도후 도피하였는데, 이러한 불리한 입롱은 주로 입구깔때기의 길이가 긴 것에 기인하는 것 같았다. 7) 통발을 수조바닥에 수평으로 놓은 경우는 미끼의 위치가 통발의 입구쪽에서 꽁무니쪽으로 갈수록 붕장어 유입성능이 나빴다. 8) 통발속에 미끼를 방치하고 통발의 꽁무니쪽을 들어 $30^{\circ}$로 경사시킨 경우는 통발을 수평으로 하여 미끼를 입구쪽에 고정한 경우와 붕장어 유입성능에 대차가 없었으나, 통발의 입구쪽을 들어 $30^{\circ}$로 경사시킨 경우는 유입성능이 매우 나빴다. 9)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을 비교하면, 붕장어의 입롱이 플라스틱통발에서 수분 정도 늦어질 뿐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