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je Kingdom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9초

백제(百濟) 횡혈묘(橫穴墓)의 특징과 의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Yocoanabo (Cave Tombs) of the Baekje Kingdom)

  • 김낙중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2호
    • /
    • pp.268-291
    • /
    • 2019
  • 이 글에서는 공주 부여에서 확인된 횡혈묘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반도에서 횡혈묘의 등장은 5세기 후엽~6세기 전엽에 왜와 백제 왕권이 주축을 이루는 교류에 북부 규슈(九州) 영산강 유역 세력이 일정한 역할을 하며 세력을 유지하던 상황과 연계되어 있다. 공주 부여 지역 횡혈묘의 피장자는 북부 규슈 중에서도 특히 부젠(豊前) 지역과 관련이 깊다. 그런데 공주 부여 지역의 횡혈묘는 이러한 왜인들의 정착을 의미한다. 웅진 외곽의 단지리 유적처럼 집단적 거류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금강과 육로를 통해 웅진과 부여를 잇는 주요 길목에 위치한 현지 집단에 소규모로 섞여 배치되기도 하였다. 횡혈묘에 묻힌 이들은 영산강 유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왜인들과도 교류하였다. 그런데 영산강 유역의 전방후원형 고분과는 달리 횡혈묘가 사비기까지 조성되었다는 점은 중요하다. 그것은 두 묘제의 의미가 달랐음을 시사한다. 영산강 유역의 전방후원형고분은 정치적인 기념물로 사용된 현지 세력의 고분이지만 횡혈묘는 왜인들의 백제 정착을 보여주는 무덤이다. 횡혈묘에 묻힌 이들은 중하위 계층으로 백제와 왜의 정치적 경제적 교섭에서 실무적인 일을 담당하며 상주하다 아예 백제에 정착한 사람들로 여겨진다. 동성왕 호위와 같은 특정한 역사적 사건과 관련하여 백제에 도래하여 단지리와 같이 집단적으로 모여 살기도 하였지만 점차 그들의 일파가 퍼지거나 이후 개별적으로 들어온 왜인들은 웅진 사비 일원에 흩어져 현지 세력에 흡수되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5세기 수촌리 고분군 직물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s excavated in Soochonri Tombs of $5^{th}$ Century Baekjae Period)

  • 박윤미;정복남
    • 복식
    • /
    • 제58권10호
    • /
    • pp.164-172
    • /
    • 2008
  • Soochonri tombs are assumed to be of the Baekje Kingdom in the early 5th century. We have examined 12 artifacts and 24 textiles in the four tombs. Along with hemp textiles, silk and embroidery threads were found In the Soochonri tombs. Within the hemp textiles both hemp and ramie were made using s-twist threads and the thread count distribution is calculated to be $8.5{\sim}15.5/cm^2$. Taffeta, one of the silk, can be categorized in to four types. First, the plain woven silk was made with warp and weft of the same thickness. The rates of thread count are also similar. Secondly the warp and weft are of the same thickness but has more spaces between threads. Third, the type of warp and weft is different in thickness, the thicker thread woven in the same direction. Lastly, a textile was woven with space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reed mark in every two warps. There were five compound weave found. Among them one was made with non-twisted thread for warp and s-twist thread for weft. One plain braiding with apparent spaces between threads were found. All three of the twining were made with wefts thicker than warps, barely showing the warps as a result. Textiles of the Soochonri tombs are the oldest of the Baekje Kingdom studied by far and therefore important artifacts of the Baekje Kingdom. These textiles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King Muryeong's Tomb and tombs of Gaya and Shilla.

천안 도림리 백제시대 분묘 유적 석재의 암석기재적 특성과 원산지 연구 (A Study on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for the Rock Properties from Dorim-ri Tombs of Baekje Kingdom in Cheonan, Korea)

  • 이찬희;조지현;박성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77-490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천안 도림리 유적 출토 백제시대 석곽묘와 석실분의 구성암석에 대한 암석기 재적 특성과 원산지를 분석하였다. 이 두 분묘는 편마암과 섬록암 및 안산암을 비롯한 총 10종의 다양한 석재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편마암이 가장 높은 점유율(54.3%)을 보이며, 벽석의 주요 석재로 사용되었다. 또한 섬록암(11.3%)과 안산암(10.6%)은 사잇돌로 사용된 경향을 보여, 형태와 상황에 맞게 석재를 활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석재의 공급지는 유적과 약 1 km 떨어진 입장저수지 인근으로 확인되었고, 수로를 통해 조달했을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결과는 고대 분묘문화의 재료조달 체계와 유구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백제와 아스카(飛鳥)의 원지구성(園池構成) (The Garden Ponds of Baekje and Asuka)

  • 백지성;김진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33
    • /
    • 2018
  • The historical exchange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have broadly occurred, in terms of both political and cultural aspect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Regarding ancient gardening culture, in particular, Asuka developed gardens with the gardening techniques passed down by the Baekje people.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form of a garden pond along with its characteristics, established through such exchanges, is suggested by investigating its components through analysis of data from the gardens of Baekje and Asuka. In terms of the garden pond structure, homogeneity was confirmed between Baekje and Asuka, with a linear rectangular form as the basic design. In addition, the vertical construction technique was used by both ancient kingdoms. In terms of the types of stone used in building the shore of the garden pond, Baekje used diverse types such as natural stone, crushed stone, and cut stone. In contrast, rounded river stone was used by Asuka. Regarding the floor of the garden pond, Baekje used soil, which enabled the planting of lotus flowers. In contrast, Asuka used stones to pave pond floors, which made the growth of plants impossible. In terms of layout, Baekje used ornamental stones for pond landscaping, while Asuka used manmade island and water intake facilities in their pond construction. The effects of Baekje's garden culture on Asuka's garden building can be seen from its influence on the form of the garden pond and shore construction styl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garden pond's shore with the same stones and the stone flooring, the garden ponds of the Asuka Kingdom reveal technically unified and refined aspects.

부여 동남리 백제유적 출토 토층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제작특성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Layers from Baekje Dongnamri Site in Buyeo, Korea)

  • 김애라;이찬희;김란희;복문강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1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부여 동남리 유적에서 발굴된 백제시대 개량 토층의 제작특성과 원료의 산지를 해석하였다. 토층은 크게 현대층, 백제층 및 하부층으로 구분되며, 백제시대에 조성된 토층은 일정한 시간적 단절에 따라 제1백제층과 제2백제층으로 구분된다. 토층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 색상이 어두워지며 광물의 함량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지만 층위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층위에 관계없이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이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기반암에서 풍화된 토양을 이용하여 축조하였음을 의미하며 유적 일대의 토양과도 유사한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입도분석 결과로 볼 때 제1, 2백제층은 세부적으로 모래의 함량이 높은 토양과 미사의 함량이 높은 토양을 반복 성토하여 토층을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국시대 장신구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에 관한연구 (백제장신구를 중심으로)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Ornaments in the Three Kingdom Period (Focused on Baekje's ornaments))

  • 신미영;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03-612
    • /
    • 2012
  • 한나라의 전통적 사상은 그 나라의 지리적 환경, 종교사상 등에서 그들의 의식구조를 알 수 있고 유적과 유물의 특성에서 그 나라의 문화 양상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문화역사는 5000년을 자랑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백제시대의 문화는 우리역사상 매우 뛰어난 유물들을 창출 하였다. 백제시대의 장신구는 고구려, 신라시대의 장신구와보다 백제 특유의 문양과 세공기술에 있어 부드럽고 풍만한 아름다운 곡선미를 추구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백제시대의 장신구중 관, 관식, 귀걸이, 목걸이, 뒤꽂이 등을 중심으로 장신구의 조형적 특징과 문양에 나타난 상징성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의 장신구를 비교하여 백제장신구를 부각시키기 위해 백제장신구에 대한 자료 수집과 국립부여박물관, 공주박물관, 국내외 전문 서적과 국내 참고문헌 등을 고찰 하였고 논문 등을 통하여 백제 금속공예품의 문양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연구 하였다. 백제시대의 역사는 화려하고 찬란한 예술적 문화를 지니고 있었지만, 후대에 오르면서 역사적 자료나 그 내용을 뒷받침해줄 유물이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백제문화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백제시대의 장신구는 단순한 장신구로써 만의 기능이 아닌 백제인의 정서와 다양하고 창조적인 정신세계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 속에 문화컨텐츠라는 요소가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백제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백제시대 문양을 더욱 연구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조형적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백제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삼국시대 머리 장신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air Ornaments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 States)

  • 김문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5호
    • /
    • pp.712-72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Hair ornaments in old tombs of the Three Kingdom States. Hair ornaments was divided into Combs, Rod-like hairpins, Chae[;釵], Boyo[;步搖] Combs were 2 type in according to the tooth's space, wide-tooth comb[;梳] and fine-tooth comb(;比). The general name of two type was called Jeul(;櫛). Combs were excavated from the only ancient Silla tombs. Rod-like hairpins were called Gha(叉) or Jam(:簪). They were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Goauryeo, Baekje, ancient Silla tombs. The style was L-type and embellished circular head-type. Chae(;釵) was understand Cha(:叉) that had two tongs. Chae(:釵) was generally U-type and rarely hairtweezers -type. Jakchae(;爵釵) was understand distinctive Chae(;釵) hanged with phoenix. This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Baekje tombs of King of Muryeong. Boyo(;步搖) was originally a hair decoration of the northern nomadic tribes which had been introduced to the Wijin period. Boyo gained its popularity by the women in Dang Dynasty, hair ornaments were considered indicators of status and wealth. Boyo(;步搖) hair accessory features of which are suspended from a elaborate hairpin structure. Such pieces were designed to sway as their wearer walked. The bequest was not found, but we catch the Boyo(; 步搖) that was women'head decoration in painting of old tombs in Goguryeo.

  • PDF

비파괴 탐사를 이용한 무량사오층석탑 지반안정해석 (Ground Stability Interpretation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at the Muryangsa Temple, Korea; An Examined by the Nondestructive Survey)

  • 채상정;서만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0권
    • /
    • pp.43-54
    • /
    • 2007
  • 무량사오층석탑(보물 제185호)은 백제의 옛 땅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백제의 기법이 이어졌고 통일신라의 시대적인 양식도 계승된 고려초기의 석탑이다. 이 석탑은 오랜세월 외부에 위치해 있어 부재에 심한 암석학적 풍화와 생물학적 풍화를 받고 있으며 상대갑석에는 중심침하가 발생한 상태이다. 이에 상대갑석의 중심침하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탄성파 탐사, 전기비저항 탐사, GPR 탐사와 같은 비파괴 방법을 이용하여 지반안정해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모든 탐사에서 지반은 양호한 상태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기비저항 탐사자료를 통해 지반강화 다짐으로 보여지는 고비저항대가 나타났다. 따라서 상대갑석에서 발생한 중심침하 현상은 지반의 불안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상대갑석 상부 부재의 구조적 불안정에서 기인된 것이라 해석된다. 이 결과는 석탑의 상시 모니터링 또는 보존대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백제 사비기 목제유물의 수종 식별과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of Ancient Wood Excavated from Capital Area in Sabi Era, Baekje)

  • 한상효;박원규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5호
    • /
    • pp.197-226
    • /
    • 2004
  • This study was made to identify species of archaeological wood products excavated from three sites(Kwunbuk-ni, Gungnamgi, Wanggung-ni) of Sabi Era, Baekje. These sitesare presumably considered as capital areas of Sabi Era, Baekje. Total of 220 specimens were identified into five softwoods and eighteen hardwoods. Pinus densiflora(or Pinusthunbergii) and Quercus spp. are the most common and occupied 32%, 28% of totalspecimen, respectively. The others are follows : Torreya nucifera(1%), Abiesholophylla(3%), Cryptomeria japonica(4%), Thuja spp.(2%), Chamaecyparisobutusa(2%), Salix spp.(1%), Platycarya strobilacea (3%), Alnus spp.(1%), Carpinusspp.(0.5%), Castanea crenata(9%), Zelkova serrata (6%), Celtis spp.(0.5%), Prunusspp.(2%), Rhus verniciflua(1%), Rhus trichocarpa(0.5%), Meliosma oldhamii(1%),Hovenia dulcis(1%), Kalopanax pictus(0.5%), Cornus walteri(0.5%), Styrax japonica(1%),Fraxinus rhynchophylla (0.5%), F. sieboldiana(1%).Most of the identified species have been growing in this area until nowadays. However,a few species(Cryptomeria japonica, Thuja spp. Chamaecyparis obutusa, Torreyanucifera) didn’t grow natively around this area at that time. Two species(Cryptomeriajaponica, Chamaecyparis obutusa) are endemic species of Japan, indicating international trade or exchange of woods between Baekje Kingdom and Japan in 6-7th century. Torreyanucifera grows in limited areas in Korea (south of $35^{\circ}$10′N), however,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Japan. Quercus spp. was identified the most in implements of Baekje and Pinus densiflora(orPinus thunbergii) was in the second place. Zelkova serrata was mainly used for raw materials of turnery products, e.g., wooden container. This species produces one of the hardest woods as 0.7 in specific gravity. It indicates that iron technologies have reached some high level in Sabi Era, Beakje.

  • PDF

백제 사비시대 사찰의 사리장엄구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the Sari Container of Baekje’s Sabi Period Temples)

  • 전희관;김혜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71-880
    • /
    • 2015
  • Buddhist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tire mode of Korean living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 in the Three Kingdom Period. Baekje embraced Buddhism in 384 A.D.; subsequently, diverse artifacts have now been excavated from the temples. Various research on Korean temples are now in progress; however there is inadequate research on the relics and patterns excavated from the temples due to the focus on the temples’ architectural form.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use relics excavated from the temples. This study develops desig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Baekje Sabi Period relics; specifically, the sari container excavated from Buyeo’s Wangheungsaji, Neungsanrisaji, and Iksan’s Mireuksaji. The sari container’s original form, patterns, and writing were developed into patterns and applied to fashion products such as t-shirts, bags and scarves.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exhibited on the temples, ‘dancheong’, was selected as the color for products that can symbolically express the nature of their origin. Adobe Illustrator CC and Adobe Photoshop CC were used to extract the motifs and develop the designs. Six patterns and nine fashion products were designed, accounting for a total of fifteen developed items. We hope that the fashion cultural product design express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Baekje’s Sabi Period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and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