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ulovirus(WSBV)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염소, 요오드, 일광, 건조 및 담수처리에 의한 White Spot Baculovirus(WSBV)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White Spot Baculovirus(WSBV) by Chlorine, Iodine, Sunlight Exposure, Drying and Fresh Water)

  • 허문수;손상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7-102
    • /
    • 2000
  • WSBV를 염소소독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유효농도 5, 10, 30 ppm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처리한 결과 전혀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으나, 대조구에서는 전량 폐사되었다. 포비돈 요오드 10, 20, 30 ppm에서는 불활성화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유기물의 다량함유나 요오드 독성에 의해 시험새우가 폐사할 가능성이 있다. 일광소독에서는 2, 4시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폐사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WSBV를 불활성화 시키는 것 같다. 건조처리에서는 1, 2, 3시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WSBV가 불활성화가 되었다. 담수처리에서는 담수 60% 첨가한 시험구(비중 1.015)에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보리새우류의 바이러스 감염증의 진단 (Diagnosis of Viral Infection of Pensaeide)

  • 허문수;정초록;장경립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53-459
    • /
    • 1999
  • Baculovirus(WSBV) was isolated from infected Penaeide was collected from shrimp farm at southern sea of Korea from 1993 to 1995. The Infectious virus was purified and used for diagnosis of infected shrimp. Anti-viral serum were used for immunological detection as enzyme linked immunoabsorbent assay(ELISA) and 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IFAT). In IFAT, stomach, lymphoid organ and antenae gland of infected shrimp showed fluorescent reaction. In ELISA, tissues of spontaneously infected shrimp appeared higher O.D. values than in artificial infected shrimp. Primer set was constructed from sequence of 420bp of cloned Baculovirus(WSBV) genome. Specific band for infected shrimp was detected in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 PDF

White Spot Baculovirus의 모하와 중간숙주 감염 및 해수생존 (White Spot Baculovirus Infection of Shrimp Spawner, Inhabitant Organisms and Survival in Seawater)

  • 허문수;손상규;김영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0
    • /
    • 2000
  • 자연산 모하의 White Spot Baculovirus(WSBV)보균을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에 의한 검출에서 Penaeus chinensis 모하가 52%, Penaeus japonicus 모하는 20%나타났다. 새우 양식장의 서식생물의 본 바이러스의 보균을 조사한 결과 Upogebia major 37%, Calliamassa japonica 29%를 보였다. 본 바이러스의 해수 생존시험에서는 $4^{\circ}C$에서는 장기간 생존하였고 $25^{\circ}C$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활성을 잃었다.

  • PDF

양식 대하(Penaeus chinensis) 감염 White spot baculovirus(WSBV)의 병원성 및 병리조직학적 특성

  • 허문수;양병규;손상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19-520
    • /
    • 2001
  • 1993년 초여름부터 발생한 양식대하의 WSBV에 의한 대량 폐사가 1996년에는 폐사율이 거의 75%에 이를 정도로 피해가 많이 발생하였다(허 등, 1998). WSBV에 감염된 새우는 두흉갑과 체표에 흰반점 증상이 나타나므로 병명을 일반적으로 White spot syndrome disease(WSSD)라고 하고 원인 바이러스를 WSBV라 일반적으로 명명하고 있고 이와 같은 증상으로 인한 새우의 대량 폐사는 아시아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다(Chou 등, 1995; Inouye 등, 1996). (중략)

  • PDF

양식대하(Penaeus chinensis) 감염 White Spot Baculovirus(WSBV)의 병원성 및 병리조직학적 특성 (Pathogenicity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Spot Baculovirus(WSBV) in Cultured Shrimp, Penaeus chinensis)

  • 허문수;손상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0
    • /
    • 2001
  • WSBV에 감염된 대하의 간췌장, 림프기관, 위 그리고 심장으로부터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바이러스액을 제조하였다. 수획된 바이러스액을 이용하여 병원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감염 방법에서는 주사감염, 경구감염, 침지감염순으로 병원성이 높게 나타났고 수온별 병원성에서는 $30^{\circ}C$, $25^{\circ}C$, $20^{\circ}C$, $15^{\circ}C$순으로 병원성이 높게 나타났다. 크기별 감염시험에서는 크기에 따라 폐사시기는 차이가 있지만 크기에 관계없이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병리조직학적 관찰에서는 림프조직, 조혈조직, 위상피등에서 세포핵의 비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White Spot Baculovirus(WSBV) 미감염 새우(Penaeus chinensis, Penaeus japonicus) 종묘 생산 (Production of Healthy Shrimp(Penaeus chinensis, Penaeus japonicus) Seedling Free from White Spot Baculovirus(WSBV))

  • 허문수;손상규;김종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5
    • /
    • 2001
  • White Spot Baculovirus(WSBV) 미감염 새우 건강 종묘를 생산하기 위하여 난의 요오드 소독을 실시하였다. 유효 요오드농도 20,50,100,200 ppm에서 각 시험구의 대하(Penaeus chinensis) 수정난을 각각 30,60초 처리한 결과 각 농도의 30초 처리구에서는 50%이상의 상대부화율을 보였고, 60초 처리구에서는 20ppm 처리구에서만 약 50% 상대 부화율을 보인 반면 50 ppm이상에서는 부화율이 거의 없었다. 보리새우(Penaeus japoni cus)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대하의 경우 세란만 실시한 대조구의 부화율은 33.3%이었지만, 보리새우는 55.2%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부화후 생존율을 보면 수정난의 소독으로 부화율은 낮아지지만 수정란 소독후 부화된 유생은 초기생육에는 문제점이 없었다. WSBV 미감염 건강종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정난을 세척하고 저농도의 요오드를 짧은 시간에 소독해야 한다.

  • PDF

대하새우로부터 분리한 WSBV의 게놈서열 분석 (Partial genomic sequence of baulovirus associated with white spot syndrome (WSBV) isolated from penaeid shrimp P. chinensis)

  • 김종경;손상규;허문수;이태호;전홍기;장경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7-95
    • /
    • 1997
  • 새우의 갑각에 흰점을 유발하는 특징을 가진 WSBV는 Baculovirus의 일종으로 여러 종류의 새우에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병원체로서 새우양식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양식중인 대하에 질병을 유발한 WSBV의 특성을 알아내고자 치사한 새우로부터 바이러스의 게놈을 클로닝하여 재조합클론(E3)을 분자생물학적으로 분석하였다. E3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 클론은 AcNPV를 포함한 지금까지 알려진 어떠한 바이러스와도 뚜렷한 상동성(60%)을 보이지 않아 WSBV가 기존의 바이러스와 구분되는 새로운 바이러스임을 알 수 있다. E3의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한쌍의 PCR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병든 새우로부터 분리한 DNA를 30회 증폭한 결과, 예상크기의 산물을 얻을 수 있어 이 방법은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알아낼 수 있는 진단법으로도 활용가능하다.

  • PDF

한국의 양식대하에서의 흰반점증상 바이러스감염의 특징 (Characterization of the White Spot Syndrome Baculovirus (WSBV) Infection In Fresh Shrimp, Penaeus chinensis, Cultured in Korea)

  • 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8-252
    • /
    • 2005
  • 대하 새우양식장의 대하에 흰반점 증상을 나타내는 원인바이러스는 막대형의 이중막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 평균 크기가 $250\~300\times70\;nm$였고, 조직학적 병변은 위상피 등에서 핵이 비대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공격실험에서는 건강체의 새우에 많은 누적 폐사율을 보였다. 원인 바이러스 단백질은 21개의 밴드를 보였으며, 핵산 분석 결과 total 분자량은 114 kb로 나타났다.

보리새우류(대하)의 전염성 Lymphoid organ 괴사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병리학적 연구 (Pathological study of a infectious lymphoid organ necrosis virus infection in penaeid shrimp (Penaeus orientalis))

  • 박재학;이영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13-1016
    • /
    • 1996
  • Since 1993, sudden and massive death has occurred among penaeid shrimp, Penaeus orientalis cultured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pathological characterizations on the spontaneously and experimentally infected penaeid shrimp. The major gross findings of the spontaneous cases were 2-6mm sized-white spots on the inside of the carapace and reddish discolorization. Histopathologically, massive necrosis of lymphoid organ, degeneration and necrosis of epithelia of epidermis and foregut were observed in both spontaneous and experimental cases. Amphophilic to basophilic intranuclear inclusion bodies were readly observed epithelia of epidermis, foregut and gills.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enveloped, non-occuluded ellipsoid to rod shaped virus particles, within the nucleus, in the lymphoid organs and interstitial cells of hepatopancreas of both spontaneously and experimentally infected shrimps. The size of the virion was $375{\times}167nm$, and the nucleocapsid was $290{\times}75nm$. The causative agent causing massive death in penaeid shrimps in Korea resembles baculovirus associated with white spot syndrome (WSBV) occurred in Taiwan in virus morphology and gross and histological changes of the shrim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