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pustul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3초

콩에 발생하는 주요 병원세균의 동시검출을 위한 다중 PCR 방법 (Multiplex PCR Assay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Major Pathogenic Bacteria in Soybean)

  • 이영훈;김남구;윤영남;임승택;김현태;윤홍태;백인열;이영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42-148
    • /
    • 2013
  • 국내 콩에서 발생하는 세균병해인 불마름병, 들불병, 세균점무늬병, 세균갈색점무늬병의 다중 진단을 위한 PCR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에 발생하는 각각의 세균들은 서로 다른 박테리오신(bacteriocin) 이나 파이토톡신(phytotoxin)을 생산하는데 이와 관련한 유전자를 목적으로 하여 진단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2. 불마름병은 glycinecin A, 들불병은 tabtoxin, 세균점무늬병은 coronatine과 세균갈색점무늬병은 syringopeptin을 목적유전자로 하여 다중 진단프라이머 조합을 설계하였다. 3. 1차 선발로 각각의 균주에 대한 단일 진단 프라이머를 선발하였으며, 여기선 선발된 21개의 프라이머들을 조합하여 4종 다중진단프라이머 선발을 위한 2차 선발에 이용하였다. 최종적으로 280 bp의 불마름병, 355 bp의 세균갈색점무늬병, 563 bp의 들불병과 815 bp의 세균점무늬병으로 구성된 다중진단 프라이머 조합이 개발되었다. 4. 선발된 4종 다중 진단 프라이머 조합의 경우 다른 세균들과의 비특이적 반응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3차 선발을 거쳐 그 특이성을 검증하였다.

콩 불마름병 저항성 및 감수성 품종을 이용한 rxp 유전자 근접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Conferring Bacterial Leaf Pustule Resistance Gene, rxp, using Resistant and Susceptible Cultivars in Soybean)

  • 양기웅;이영훈;고종민;전명기;이병원;김현태;윤홍태;정찬식;백인열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2-287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콩 재배에서 심각한 병으로 대두된 콩 불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인 rxp 근접분자표지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콩 불마름병은 국내에서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심각한 세균병으로 이에 관련하여 세균병 접종을 이용한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정확한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에 저항성 품종 8개체와 감수성 품종 8개체를 이용하여 rxp 유전자 근접분자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콩 불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로 알려진 rxp 유전자는 chromosome 17의 Satt486과 Satt372 사이에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연구결과로 chromosome 17의 7.27-7.30 Mbp 사이에 있다. 연구진은 chromosome 17의 6.6-7.3 Mbp 사이에 random으로 분자표지를 제작하여 저항성과 감수성 품종에서 다형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로 콩 불마름병관련 근접분자표지 3점을 개발하였고, Rxp17-700 분자표지는 흥미로운 rxp 근접분자표지 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콩 불마름병 저항성관련 근접분자표지는 앞으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SSR 분자표지이용 콩 불마름병 저항성 관여 양적형질 유전자좌(QTL) 분석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Bacterial Pustule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in Soybean)

  • 서민정;강성택;문중경;이석기;김율호;정광호;윤홍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6-462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격하게 발생되고 있는 콩 불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중간모본을 육성하고자 할 때 marker-assisted selection에 적용할 수 있는 저항성 근접 분자표지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1. 불마름병에 이병성인 큰올콩과 저항성인 신팔달콩의 RIL 116 계통에 대하여 콩 불마름병 균주 8ra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된 QTL을 탐색한 결과 포장에서는 연관군 B2, D2, I와 K에서, 온실에서는 연관군 D2, C1과 F에서 불마름병과 관련된 QTL이 나타났다. 2. 포장과 온실에서 공통적으로 탐색된 QTL은 연관군 D2에 위치해 있었는데 정확한 위치는 포장과 온실에서 각각 Satt135와 Satt397의 사이에서 LOD score 6.64와 3.43으로 Satt135에서 14.01 cM과 0.01 cM 떨어진 위치에서 탐색되었다.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Xanthomonas axonopodis Resistance in Soybean

  • Kim Ki-Seung;Van Kyujung;Kim Moon Young;Lee Suk-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29-433
    • /
    • 2004
  • A single recessive gene, rxp, controls the bacterial leaf pustule (BLP) resistance in soybean and in our previous article, it has been mapped on linkage group (LG) D2 of molecular genetic map of soybean. A total of 130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from a cross between BLP-resistant SS2-2 and BLP-susceptible Jangyeobkong were used to identify molecular markers linked to rxp. Fifteen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on LG D2 were screened to construct a genetic map of rxp locus. Only four SSR markers, Satt135, Satt372, Satt448, and Satt486, showed parental polymorphisms. Using these markers, genetic scaffold map was constructed covering 26.2cM. Based on the single analysis of variance, Satt372 among these four SSR markers was the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sistance to BLP. To develop new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arker linked to the resistance gene, bulked segregant analysis (BSA) was employed. Resistance and susceptible bulks were made by pooling equal amount of genomic DNAs from ten of each in the segregating population. A total of 192 primer combinations were used to identify specific bands to the resistance, selecting three putative AFLP markers. These AFLP markers produced the fragment present in SS2-2 and the resistant bulk, and not in Jangyeobkong and the susceptible bulk. Linkage analysis revealed that McctEact97 $(P=0.0004,\;R^2=14.67\%)$ was more significant than Satt372, previously reported as the most closely linked marker.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of Soybean[Glycine max(L.) Merr.] in Response to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by Using Oligonulceotide Macroarray

  • Van, Kyujung;Lestari, Puji;Park, Yong-Jin;Gwag, Jae-Gyun;Kim, Moon-Young;Kim, Dong-Hyun;Heu, Sung-Gi;Lee, Suk-Ha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47-158
    • /
    • 2007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Xag) is a pathogen that causes bacterial leaf pustule(BLP) disease in soybeans grown in Korea and the southern United States. Typical and early symptoms of the disease are small, yellow to brown lesions with raised pustules that develop into large necrotic lesions leading to a substantial loss in yield due to premature defoliation. After Xag infects PI 96188, only pustules without chlorotic haloes were observed, indicating the different response to Xag.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prior to and 24 hr after Xag inoculation to PI 96188 and BLP-resistant SS2-2, an oligonucleotide macroarray was constructed with 100 genes related to disease resistance and metabolism from soybean and Arabidopsis. After cDNAs from each genotype were applied on the oligonucleotide macroarrays with three replicates and dye swapping, 36 and 81 genes were expressed 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0 hr and 24 hr in PI 96188 and SS2-2, respectively. Six UniGenes, such as the leucine-rich repeat protein precursor or 14-3-3-like protein, were selected because they down-regulated in PI 96188 and up-regulated in SS2-2 after Xag infection, simultaneously. Using tubulin and cDNA of Jangyeobkong(BLP-susceptible) as controls, the oligonucleotide macroarray data concurred with quantitative real-time RT-PCR(QRT RT-PCR) results in most cases, supporting the accuracy of the oligonucleotide macroarray experiments. Also, QRT RT-PCR data suggested six candidate genes that might be involved in a necrotic response to Xag in PI 96188.

  • PDF

콩의 품종, 파종시기 및 지역적 차이에 대한 병 발생 평가 (Evaluation of Disease Occurrence by Cultivar, Sowing Date and Locational Difference in Korean Soybean Fields)

  • 김홍조;오지연;김동관;윤홍태;정우석;홍점규;김기덕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6-182
    • /
    • 2010
  • 식물병발생은 농업 체계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최근의 광범위한 환경적인 기후 변화로 인하여 기후 온난화, 파종 시기와 품종의 선택 같은 농업 체계가 영향을 받고 있다. 포장에서의 점차적인 병 발생 양상은 직, 간접적인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콩 품종, 파종 시기, 재배의 지역적인 차이가 우리나라의 콩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병발생 빈도를 평가하였다. '태광', '풍산', '청자3호', '새올', '다원' 품종을 5월 15일, 6월 1일, 6월 15일, 6월 30일 4 회에, 수원, 나주 두 지역에 파종하였을 때, 콩 들불병과 불마름병 등이 주요 병으로 발견되었다. 들불병이 '태광' 품종에서 주로 심각하게 발생한 반면, '다원' 품종은 불마름병에 대해 특히 감수성이었다. 들불병과 불마름병의 병 진전은 품종과 관계없이 파종 시기가 지연 될수록 감소하였다.

Subcellular Responses in Nonhost Plant Infected with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Strains of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 Jeong, Yong-Ho;Kim, Jung-Gun;Chang, Sung-Pae;Hwang, In-Gyu;Kim, You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15-120
    • /
    • 2002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pustule of soybean, induces hypersensitive response (HR) in a non-host plant, hot pepper (Capsicum annuum). A wild-type strain (8ra) and its non-patho-genic mutant (8-13) of X. axonopodis pv. glycines were inoculated into the pepper leaf tissues and their subcellular responses to the bacterial infections were examined by electron microscopy. Intrastructural changes related to HR were found in the leaf tissues infected with 8ra from 8 h after inoculation, characterized by separation of plasmalemma from the cell wall, formation of small vacuoles and vesicles, formation of cell wall apposition, and cellular necrosis. No such responses were observed in the tissues infected with the mutant. In 8ra, the bacterial cells were attached to the cell walls, with the cell wall material dissolved into and appearing to encapsulate the bacterial cells. The bacterial cells later became entirely embedded in the cell wall material. On the other hand, in 8-13, the bacterial cells were usually not attached tightly to the plant cell wall, and no or poor encapsulation of the bacteria by the wall material occurred, although these were encircled by rather loose wall materials at the later stages.

콩 불마름병균의 생장 조건이 박테리오신인 glycinecin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owth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Bacteriocin, Glycinecin, Produced by Xanthmonas campestris pv. glycines 8ra)

  • Woo Jung;Sunggi Heu;Cho, Yong-Sup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76-381
    • /
    • 1998
  •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8ra causes bacterial pustule disease on susceptible soybean leaves and produces a bacteriocin, named glycinecin, against related bacteria such as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glycinecin was effective to most tested Xanthomonas species. X. c. pv. glycines 8ra was able to produce the glycinecin in liquid media as well as solid media. Maximal productivity of glycinecin was obtained at 3$0^{\circ}C$ in the early stationary phase of growth of the X. c. pv. glycines 8ra. The production of glycinecin was not dependent on the initial inoculum level but on cell density. Glycinecin was very sensitive to proteolytic enzymes such as trypsin and proteinase K but resistant to DNase and RNase. The culture supernatant of X. c. pv. glycines 8ra retained some of its antimicrobial activity after 15 min at 6$0^{\circ}C$. It is stable at wide range of pH. The glycinecin showed the bactericidal activity after the adsorption of the glycinecin to the sensitive bacterial cell.

  • PDF

대두의 세균성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acterial Diseases of Soybean)

  • 조용섭;유연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7-53
    • /
    • 1977
  • 1. 소규모접종시험을 위해서는 wire brush 접종 또는 다침접종법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포장에서의 대규모시험을 위해서는 전착제를 첨가한 세균현탁액의 살포가 좋았다. 2. 조사지역내에서의 발견된 병은 세균성 점무늬병과 세균성 불마름병 뿐이었고 담배 불마름병균에 의한 피해는 발견할 수 없었다. 3. 병원균은 이병조직속에서 겨울철인 경우 실내에서 6개월까지 생존할 수 있었고 냉장고 속에서는 10개월이상 존재했으며 토양속에서는 불마름병균이 4일, 점무늬병균이 30일간 생존하였다. 4. 종자표면에 부착된 세균은 전염원으로서 중요하지 않았으나 실험실내의 배양기 상에서는 종자의 발아를 억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