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polyfermenticu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메주에서 분리한 Bacillus polyfermenticus CJ6가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Bacillus polyfermenticus CJ6 Isolated from Meju)

  • 양은주;마승진;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7-65
    • /
    • 2012
  • B. polyfermenticus CJ6가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을 분리 정제하기 위하여 SPE, preparative HPLC, reverse phase-HPLC를 통한 정제를 시행하였다. Preparative HPLC로부터8, B, C의 3개의 항진균 활성 분획을 분리하였으며, LC/MS분석 결과 B. polyfermenticus CJ6는 2종의 iturin A($C_{14}$, $C_{15}$), 3종의 surfactin($C_{13}$, $C_{14}$, $C_{15}$), 4종의 fengycin A($C_{14}$, $C_{15}$, $C_{16}$, $C_{17}$)와 2종의 fengycin B($C_{16}$, $C_{17}$)를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리된 항진균 활성 분획의 안정성 실험을 결과 iturin을 함유한 8번 분획은 pH, 열, 효소처리에 안정하였으나 50-$70^{\circ}C$에서 24시간 처리 시에는 항진균 활성이 다소 감소되었다. Surfactins과 fengycins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B 분획은 온도에는 매우 안정하나 pH 3.0과 protease(type I) 및 ${\alpha}$-chymotrypsin 처리에 의하여 항진균활성이 감소되었다. Fengycins 만을 함유한 C 분획은 열과 pH 처리에서 모두 안정하였으나 protease(type I) 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감소되었다. 항진균 활성 8번 분획은 reversephase-HPLC를 통하여 2개의 단일 피크가 분리되었으며, 아미노산 조성 분석 결과 Asx, Tyr, Gln, Pro, Ser의 분자비가 3:1:1:1:1으로서 iturin A의 아미노산 서열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B. polyfermenticus CJ6는다양한 항진균 활성 lipopeptides를 생산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항진균 활성이 우수한 B. polyfermenticus CJ6 균주의 생물방제 및 생물보존제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양식업에서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콩발효물의 상업적 응용 (Industrial Application for Aquaculture of Fermented Soybean with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 이진영;김강민;강재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4
    • /
    • 2007
  •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는 활성아포를 형성하여 장까지 도달하는 특성 때문에 장기적인 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져 왔다. 뿐만 아니라 강력한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 연구는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와 콩을 함께 발효시킨 것 (BPFS)과 그것의 생균제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는 와 BPFS는 병원성 그람양성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리스,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에, 락도코커스 가르비에), 그람 음성 (플렉시박터 트렉튜오서스, 비브리오 하베이,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비브리오 오다리), 곰팡이 (아스파라질러스 니거, 아스파라질러스 오리자에)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의 항균성을 가졌다. BPFS에 의한 생존율 증가와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오염의 정화작용을 관찰하기 위해서 통영 앞바다 양식장에서 조피볼락을 사용해서 현장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해양 병원성 유해 박테리아에 노출시키고 일반 사료만 복용시킨 군에서는 99%의 폐사율을 보였으나, BPFS를 사료와 함께 복용시킨 군에서는 먹이 유인효과에 의한 성장률의 증가와 부영양화에 의한 수질오염을 정화하는 작용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BPFS는 양식업에서 항생물질 대체제, 사료첨가제, 부영양화에 의한 정화제로서 개발하여 산업화하기 용이한 후보물질이라고 사료된다.

  • PD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에탄을 추출물이 가열분쇄돈육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oked Ground Pork during Storage)

  • 김학연;정종연;최지훈;최윤상;한두정;이미애;이장현;백현동;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9-275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0.6% vitamin C (VC), 5% ethanol extract of B. polyfermenticus SCD (EB), and a mixture of 0.3% vitamin C and 2.5% B. polyfermenticus SCD ethanol extract (CB)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oked ground pork during storage. The changes in pH of VC, EB, and CB were smaller than was observed with the control (CON, no added antioxidant). VC, EB, and CB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TBARS values than CON during storage (p<0.05). Longer storage periods resulted in higher TBARS values (p<0.05). VBN values for VC, EB, and CB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 (p<0.05). The L values of CON and VC were higher than EB and CB (p<0.05). The a value of V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 EB, and CB during storage (p<0.05). The b values of all sample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torage (p<0.05). The addition of vitamin C and B. polyfermenticus SCD to cooked ground pork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ensory evaluations during the storage period (p>0.05).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other meat products containing B. polyfermenticus SCD with acceptable physicochemical properties.

치어기 넙치 사료내 생균제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창화;최희정;유광열;이승형;김영철;;이준호;전경동;최세민;김강웅;강용진;강주찬;공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60-465
    • /
    • 2006
  • An 8-week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as a feed additive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re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Bacillus polyfermenticus (BP), Bacillus licheniformis (BL), or Bacillus polyfermenticus plus Saccharomyces cerevisiae, (BP+SC) at $1.0{\times}10^7CFU/kg$ diet on a dry-matter basis were prepared. The basal diet was used as a control. After the 8-week feeding trial, the respiratory burst activity (NBT assay) of fish fed the BP + SC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Fish fed the BP, BL and BP + SC diets had significantly lower cumulative mortality than did fish fed the control diet after the third day of the challenge test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ish fed the experimental diets in weight gain, feed efficiency, protein efficiency ratio, hematosomatic index, condition factor, survival rate, or Iysozyme activity. Results could suggest that dietary B. polyfermenticus, B. licheniformis, and B. polyfermenticus +S. cerevisiae enhance nonspecific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in juvenile olive flounder.

치어기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사료내 생균제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승형;유광열;최세민;김강웅;강용진;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2-88
    • /
    • 2008
  • 본 연구는 치어기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사료내 생균제 첨가가 넙치의 성장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사료는 주 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white fish meal), 콘글루텐밀(corn gluten meal), 탈피대두박(dehulled soybean meal)을 사용하였으며, 탄수화물원으로는 밀가루(wheat flour)를, 지질원으로는 고도불포화지방산(n-3 HUFA)이 다량 함유된 오징어간유(squid liver oil)를 사용하였다. 생균제의 첨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 polyfermenticus(BP), Bacillus licheniformis(BL) 및 복합종균(B. polyfermenticus+Saccharomyces cerevisiae; BP+SC)을 실험사료 내에 각각 $1.0{\times}10^7$ CFU/kg diet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2주간의 예비사육 후, 평균무게 $12.0{\pm}0.1g(mean{\pm}SD)$인 조피볼락을 500 L 원형수조에 각 실험구 당 각각 20마리씩 3반복으로 무작위로 배치하였고, 실험사료는 1일 2회 어체중의 $1.7{\pm}0.6%$(오전 10시, 오후 4시)씩 12주간 공급 하였다.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율 및 단백질 전환효율에 있어서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contro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P<0.05),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존율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어체 지방함량에 있어서 대조구가 다른 모든 실험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어체 단백질, 회분 및 수분함량에 있어서는 모든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액분석에 있어서 혈장내 glucose의 함량은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Respiratory burst activity(NBT assay)에 있어서 BP+SC와 BL을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lysozyme 활성에 있어서는 BP와 BL을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격실험 결과, 폐사는 Edwardsiella tarda를 접종한지 1일 후부터 시작하여 11일째 종료 하였다. 생균제를 투여한 모든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초기폐사율이 낮게 나타났다. 공격실험 후 8일째부터 종료시 까지는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P, BL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조피볼락 사료내 B. polyfermenticus, B. licheniformis 및 B. polyfermenticus 와 S. cerevisiae의 혼합첨가는 조피볼락의 성장 및 사료효율 증진과 항산화능 및 특정질병저항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Protease Produced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on Quality of Jerky

  • Kim, Jin-Man;Choi, Ji-Hun;Han, Doo-Jeong;Choi, Yun-Sang;Jeong, Jong-Youn;Choi, Gooi-Hun;Paik, Hyun-Dong;Kim, Cheon-Je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89-395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ude protease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and marination time on quality of pork and beef jerky. Neither pork nor beef jerk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mong all treatments, and each protease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the color of beef jerky. The hard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jerky treated with each protease, however the textural properties of jerk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marination times. Water content was not affected by protease addition or marination times, however the water activity was lower in jerky treated with protease. The rehydration capacity of pork jerky was higher in jerky treated with protease, whereas that of beef jerky was higher in jerky dried after tumbled and held for 24 hr.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higher in jerky treated with protease, not affected by holding time after marinated.

유산간균인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의 안정화 (The Stabil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 김강민;이진영;홍용근;이상길;강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44-1048
    • /
    • 2008
  • 유산균인 Bp2를 3중 코팅으로 미세캡슐화 시켜 에탄올, 온도, 인공위액 및 인공담즙산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코팅된 bead의 크기는 약 $15\;{\mu}m$로 나타났으며 코팅된 Bp2의 내생포자의 온도에 대한 내성에서는 $100^{\circ}C$ 끓는 물에서 5분간 방치하였을 경우 생존률이 76%, 10분에서 70%, 15분에서 68%로 나타났으며 130oC 증기에서는 코팅처리하지 않은 Bp2는 1%의 생존율에 비해 코팅을 하였을 시 99%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위액 및 담즙산에 대한 안정성에서는 코팅처리하지 않은 Bp2는 42%, 41%에 비해 3중 코팅된 Bp2는 96%, 94%로 아주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이것은 alginate, chitosan 및 HPMCP를 이용한 코팅방법은 Bp2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였고 alginate의 양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Bp2의 미세캡슐화로 안정성이 증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에탄올에 대한 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식품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 기술을 적용할 경우 3중 코팅된 생균제 Bp2는 산업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pellet형 사료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그 효용성이 높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