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cereus spor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7초

폐렴과 균혈증의 임상상을 보인 Bacillus cereus 감염 1예 (A Case of Bacillus Cereus Infection with Pneumonia and Bacteremia)

  • 박재홍;장안수;한상우;김용철;이경록;박상후;최수인;신명근;김수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80-784
    • /
    • 2000
  • B. cereus는 과거에 주로 설사, 구토 등의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으로 알고 있었으나 기저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나 저항력이 약한 환자에서는 드물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몇 예의 보고에 의하면 면역기능의 장애가 없던 건강한 사람에서도 폐흉막질환 및 균혈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이에 저자들은 평소 기저질환이 없었던 건강한 81세 노인에서 B. cereus에 의한 폐렴 및 균혈증이 발생하여 roxithromycin과 gentamicin을 조기에 사용하여 호전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법미생물 검사를 위한 식중독 세균(Bacillus cereus)의 동정 및 독소 유전자 검사법: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사례보고 (Identification of Food-Poisoning Bacteria (Bacillus cereus) and the Bacterial Toxin Genes for Application to Forensic Microbiology : A Case Report from National Forensic Service)

  • 조윤정;이민호;김효숙;엄기윤;김민희;김종배;이동섭
    • 과학수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7
    • /
    • 2017
  • 법미생물 검사실에서는 식품의 미생물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들이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식품 미생물분석이 의뢰된 샘플들 중에서 Bacillus cereus 균이 분리되었던 일부 증례가 있었다. B. cereus는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병원성 세균이다. 따라서 우리는 최근 미생물 검사를 위해 의뢰된 멸치액젓에서 B. cereus를 분리한 후, 16S rDNA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MSId 방법 및 real-time PCR 법에 따라 균을 동정 하였다. 또한 설사 독소 유전자 및 구토 독소 유전자 검출을 위한 PCR을 실시하고 B. cereus 분리 균주에서 nheABC, bceT 및 entFM 설사 독소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몇 가지 식중독 세균들은 식품 미생물 검사 시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식중독 세균들 중에서 B. cereus는 환경저항성 및 내열성이 강한 내생포자를 형성하고, 내열성 독소를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을 섭취해도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B. cereus등의 임상적으로 중요한 세균을 구별하는 것이 식품미생물 검사 시 중요함을 강조하고, 또한 법미생물 검사실에 앞으로 의뢰될 식품미생물 분석 사례들을 위해 B. cereus의 식별 및 세균의 독소 유전자 검출을 위한 지침을 제공 하고자 한다.

수영만에서 분리된 Bacillus cereus Group LS-1 의 세균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acteri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Group LS-1 Isolated from Suyeong Bay)

  • 성희경;이원재;김용호;함건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39-346
    • /
    • 1992
  • 수영만에서 분리된 Bacillus cereus group LS-1 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성상 및 지방산 조성 분석을 통하여 세균학적인 특성을 밝혔다. B. cereus group LS-1 은 면양혈구배지에서 비용혈성의 점조성 집략과 convex 하고 가장자리가 규칙적인 둥근형태로 운동성이 없고 glucose, maltose, sucrose 와 gelatin 을 이용하고 trehalose 와 salicin 을 분해하지 않으며 6.5% NaCl 에서 자라지 않는 Gram 양성의 중심성 아포형성간균으로 표준균주 B. cereus group 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 분석에서 chain 의 길이가 $C_{12}$ 에서 $C_{17}$로 iso $C_{15}$와 iso $C_{13}$의 branched chain 이 우점하는 B. cereus group 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nC^{15}$가 검출되지 않는 B.mycoides GC subgroup B 로 0.312 의 similarity index(SI) 를 지칭하여 다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한편 API system (API 50 CHB & API 20E) 의 ATB computer profile 에서 "Doubful Profile" 99.7% 의 B. firmus 로 나타내어 큰차이를 나타내었다. 67 개의 biochemical character 로 B. mycoids S-12 는 각각 42%, 42% 59% 와 52% 의 similarity matrix 를 나타내었다. B. cereus group 간의 아주 낮은 similarity 를 나타내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key test 와 지방산 조성등을 종합하여 볼때 B. ceresu group 중의 B. mycoides 로 새로운 biotype 인 것으로 사료되며 지방산 조성 분석으로 동정함이 훨씬 용이하였다.

  • PDF

선식에서 Bacillus cereus의 분리 및 특성 조사와 열에 대한 사멸률 연구 (Surviv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Sunshik)

  • 조용선;정은영;이명기;양철영;신동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3-347
    • /
    • 2008
  • 최근 식사대용으로 각광을 받는 선식은 포장 후 더 이상 가열 처리 과정 없이 섭취하는 식품으로 포자를 형성하여 열처리 과정에서 완전히 사멸되지 않으며 생존하는 B. cereus에 의한 위해성이 문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선식에 대한 B. cereus정량을 통해 오염 수준을 파악한 결과 선식 161점 중 57점 (35.4%)에서 B. cereur가 검출되었고 검출된 시료 57점 중에 100 FU/g 미만은 21점, 100-1000 CFU/g 미만은 33점, 1,000 CFU/g 이상은 3점이 검출되었다. 선식에서 분리한 B. cereus의 생화학적 특성을 통해 독소 형태를 알아본 결과는 enterotoxin 양성이 93%이며 emetic toxin 의심 균주는 5.3%였다. 이러한 B. cereus의 저감화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선식의 제조 과정에서 B. cereus의 열처리 과정에 대한 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tryptic soy broth에 포자를 접종한 결과는 75, 80, 85, 90에서 40.3분, 8.8분, 3.3분, 1.1분이였다. 용질에 따라 수분 활성도가 낮아지면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지므로 선식에 시료에 대한 D-value를 시험한 결과 $75^{\circ}C$, $80^{\circ}C$, $85^{\circ}C$, $90^{\circ}C$에서 37.1분, 22.5분, 4.9분, 3.1분이였다. Z-value는 tryptic soy broth에서는 $9.8^{\circ}C$이며 선식 시료에서는 $12.8^{\circ}C$였다. 따라서 선식에서 B. cereis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초고압과 식품첨가물 병용을 이용한 세균 포자의 살균 (Inactivation of Bacterial Spores by High Pressure and Food Additive Combination)

  • 정윤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094-1099
    • /
    • 2011
  • 초고압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는 다른 제어 방법을 더 적용함으로써 증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산업에서 중요한 세균 포자들을 tert-butylhydroquinone (TBHQ)를 처리하여 초고압 살균효과를 증진시킴을 알아보고자 한다. Clostridium sporogenes,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의 포자를 준비하였다. Dimetylsulfoxide(DMSO)에 용해시킨 TBHQ 200 ppm을 함유한 포자액을 650 또는 700 MPa로, 54-72$^{\circ}C$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세균 포자의 사멸은 초고압 처리 이후에만 일어났다. Bacillus subtilis 포자가 B. cereus나 C. sporogenes 포자보다 초고압에 의해 더 많이 사멸되었다. C. sporogenes 포자의 사멸은 Bacillus 포자에 비해서 초고압에 의한 germination이 더 일어나면서 이루어 졌다. Bacillus 포자는 54$^{\circ}C$에서 초고압 처리 때 보다 72$^{\circ}C$에서 처리했을 때 더 많이 사멸되었다. 하지만 germination에 의한 사멸은 70$^{\circ}C$에서 감소되었다. 포자를 DMSO와 초고압, TBHQ와 초고압의 병용 처리를 했을 때, 특히 54$^{\circ}C$에서는 포자 사멸이 덜 일어났다. 세균 포자의 사멸에 대한 좀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초고압에 의한 germination 과 다른 포자 억제 물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들이 필요하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우육오염 포자세균의 제거 (Elimination of Spore Bacteria in Beef by Gamma Irradiation)

  • 김성;육홍선;최청;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4-298
    • /
    • 1998
  • 포자형성 세균인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및 Clostridium perfrigens의 $-18^{\circ}C$동결균체와 우육에 접종한 균체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방사선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동결균체의 $D_{10}과\;12D_{10}$ 값으로 나타낸 방사선 감수성 Bacillus subtilis가 0.29kGy 와 3.48kGy, Bacillus cereus가 0.39kGy와 4.68kGy, Clostridium perfrigens가 0.46kGy와 5.52 kGy를 나타내었으며, 3kGy 와 5kGy에서의 불황성화계수는 6.52~10.34 및 10.87과 17.24였다. 이에 반해 우육에 접종 시킨 균체는 $D_{10}$값이 0.59~0.76kGy, $12D_{10}$값은 7.08~9.12kGy, 불활성화 계수는 3.95~8.47 범위로 동결균체에 비해 방사선 감수성 낮음을 알 수 있다.

  • PDF

Genome Sequence of Bacillus cereus FORC_021, a Food-Borne Pathogen Isolated from a Knife at a Sashimi Restaurant

  • Chung, Han Young;Lee, Kyu-Ho;Ryu, Sangryeol;Yoon, Hyunjin;Lee, Ju-Hoon;Kim, Hyeun Bum;Kim, Heebal;Jeong, Hee Gon;Choi, Sang Ho;Kim, Bo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2호
    • /
    • pp.2030-2035
    • /
    • 2016
  • Bacillus cereus causes food-borne illness through contaminated foods; therefore, its pathogenicity and genome sequences have been analyzed in several studies. We sequenced and analyzed B. cereus strain FORC_021 isolated from a sashimi restaurant. The genome sequence consists of 5,373,294 bp with 35.36% GC contents, 5,350 predicted CDSs, 42 rRNA genes, and 107 tRNA genes. Based on in silico DNA-DNA hybridization values, B. cereus ATCC $14579^T$ was closest to FORC_021 among the complete genome-sequenced strains. Three major enterotoxins were detected in FORC_021.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FORC_021 with ATCC $14579^T$ revealed that FORC_021 harbored an additional genomic region encoding virulence factors, such as putative ADP-ribosylating toxin, spore germination protein, internalin, and sortase. Furthermore, in vitro cytotoxicity testing showed that FORC_021 exhibited a high level of cytotoxicity toward INT-407 human epithelial cells. This genomic information of FORC_021 will help us to understand its pathogenesis and assist in managing food contamination.

미반류에 있어서 Bacillus cereus균의 분포와 생리적특성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IN RICE AND RICE PRODUCTS)

  • 이명숙;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63-171
    • /
    • 1980
  • 최근 식중독 원인균으로 많이 보고되고 있는 Bacillus cereus균의 분포상태와 그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0년 5월부터 11월사이에 밥 32개, 김밥 20개, 떡 23개, 쌀 13개, 보리 13개 등 5종 총 101개 시료를 대상으로 B. cereus균의 분포상태와 그 생리화학상태, 용혈성과 증식속도 그리고 포자의 내열성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반류 75개 시료중에서 약 $35\%$에 상당하는 26개 시료와, 그 원료 26개 시료중 약 $54\%$에 상당하는 14개 시료에서 B. cereus균이 검출되었다. 또한 미반류에서는 B. cereus균의 검출율은 낮았으나 균주는 $10^{5-6}/g$으로 많았으며 쌀과 보리에서는 검출율은 높았으나 균주는 $10^3/g$ 정도로 적었다. 2. 총 40균주에 대한 생화학 실험결과 catalase, egg yolk reaction, gelatin hydrolysis, gucose fermentation 시험은 $100\%$ 양성반응을, 그리고 xylose, arabinose, mannitol oxidation 시험결과는 $100\%$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밖에 Voges-Proskauer, citrate utilization, nitrate reduction, starch hydrolyis 시험결과는 균주에 따라 양성 또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3. 용혈성 양성균주는 40균주중 $70.0\%$에 상당하는 28균주였으며, 식중독 발생과 관계있는 용혈성 양성, 미분액화능 음성인 균주는 $38\%$에 상당하는 15균주이었다. 4. B. cereus균은 $10^{\circ}C$$50^{\circ}C$에서는 증식하지 않았으며 그 외 배양온도별 비증식속도와 평균 세대시간은 $20^{\circ}C$에서는 각각 $0.34hr^{-1},\;2.02hr$ 이었고, $30^{\circ}C$에서는 $0.73hr^{-2},\;0.95hr,\;35^{\circ}C$에서는 $0.79hr^{-1},\;0.88hr$, 그리고 $40^{\circ}C$에서는 $0.49hr^{01},\;1.44hr$이었다. 5. 포자의 내열성은 $D_{90}=29min,\;D_{95}=8.7min,\;D_{98}=3.7min$ 그리고 $D_{101}=2.3min$ 이었으며, z-value는 약 $10.5^{\circ}C$이었다.

  • PDF

여러 조건에 따른 Bacillus cereus 포자 형성과 포자의 열저항성 평가 (Effect of Factors on the Sporulation of Bacillus cereus and Their Thermal Resistance)

  • 김승주;정진호;탁홍민;백승엽;이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6-261
    • /
    • 2009
  • 본 연구는 식품이나 식품 가공 중 B. cereus의 포자를 제어하는 연구에 기초방법으로 저항성이 강한 포자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온도, 배지, 배양시간)에서 포자의 형성을 살펴보고 수집된 포자의 열 저항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25^{\circ}C$에서 많은 포자가 형성 되었으며 $43^{\circ}C$에서 형성된 포자가 강한 열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from Soybean Sprouts

  • Kim, Hye-Jung;Koo, Kyoung-Mo;Kim, Gi-Nahm;Lee, Dong-Sun;Paik, Hyun-D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305-309
    • /
    • 2002
  • Raw soybean sprouts were tested for contamination with the following bacteria which have potential for pathogenesis or food spoilage :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Yersinia enterocolitica, Vibrio parahae-molyticus, Aeromonas hydrophila, Plesidomonas shigeloide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Campylobacter jejuni, Erwinia spp., and Fusarium spp. Three of the above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sprouts, and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methods including an API kit and ATB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The isolate cultured in Cereus selective agar, a selective medium, was a Gram-positive, rod shaped, anaerobic spore former. The biochemical and culture tests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atalase-positive, no growth on Simmon's citrate, NO₂ production and requirement of arginine for growth; the ATB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gave 99.8 % agree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Bacillus cereus to the species level. The isolate cultured in Macconkey agar selective medium was Gram-negative, rod shaped and a gas former; the ATB-system gave 99.9% agree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Aeromonas hydrophila to the species level. The isolate found in Pseudomonas isolation agar was Gram-negative, rod shaped, cytochrome oxidase-positive, a reducer of nitrates to nitrogen, and pyocyanin producer; the ATB-system gave 99.9 % agree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to the species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hree bacteria species present in the soybean sprouts were Bacillus cereus, Aero-monas hydrophila, and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and Yersinia enter-ocolitica, which are associated with serious disease in humans, were not isolated from soybean sprouts examin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