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broth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zation of Subtilein, a Bacteriocin from Bacillus subtilis CAU131 (KCCM 10257)

  • Park, Sung-Yong;Yang, Yong-Jae;Kim, Young-Bae;Hong, Jae-Hoon;Lee, C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228-234
    • /
    • 2002
  • Bacillus subtilis CAU131 (KCCM 10257) isolated from a fermented shrimp product produces subtilein, tentatively named as a bacteriocin, which exhibited a bactericidal effect against closely related species such as Bacillus subtilis ATCC 6633, Bacillus cereus ATCC 11778, and several other strains of Bacillus sp. The purification of the subtilein was achieved by applying a mono-Q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on FPLC and $C_18$ reverse-phase chromatography on HPLC. After purification, specific activity of subtilein was increased about 3,000-fold compared with culture broth and its molecular mass was about 5,000 Da on SDS-PAG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ubtilein was well maintained at acidic and neutral pHs between 3 and 8. Subtilein was relatively heat stable,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remained for 2 h at $80^{\circ}C$. However, the activity was reduced after heating at $100^{\circ}C$, and about $80\%$ of the activity was found after 1 h incubation at $100^{\circ}C$. The treatment of Bacillus subtilis ATCC 6633 with subtilein led to morphological changes in stationary-phase cells and most cells appeared to be lysed.

Heterologous Gene Expression of aprE2 Encoding a 29 kDa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subtilis in Bacillus licheniformis ATCC 10716

  • Kwon, Gun-Hee;Jeong, Woo-Ju;Lee, Ae-Ran;Park, Jae-Yong;Cha, Jae-Ho;Song, Young-Sun;Kim, Jeong-H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372-1375
    • /
    • 2008
  • The aprE2 gene from Bacillus subtilis CH3-5 was expressed in Bacillus licheniformis ATCC 10716 using a Bacillus-Escherichai coli shuttle vector, pHY300PLK.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transformant (TF)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 licheniformis 10716 control cell. During the 100 hr incubation in Luria-Bertaini broth at $37^{\circ}C$, fibrinolytic activity of B. licheniformis TF increased rapidly at the late growth stage, after 52 hr of incubation, which was confirmed by zymography using a fibrin gel. pHY3-5 was stably maintained in B. licheniformis without tetracycline (Tc) in the media, 60.9% of cells still maintained pHY3-5 after 100 hr of cultivation.

소나무재선충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Bacillus licheniformis MH48의 선발 및 특성 규명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MH48 for the Biocontrol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정민해;양서영;이용성;안영상;박윤석;한혜림;김길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512-518
    • /
    • 2015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소나무재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뛰어난 미생물을 선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나무재선충에 대하여 살선충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해 5종 미생물의 배양액 처리를 통해 살선충 활성이 뛰어난 Bacillus licheniformis MH48을 선발하였다. B. licheniformis MH48의 살선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세포 생육과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도를 분석하였는데, 세포 생육은 배양 3일째 가장 높았고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은 7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B. licheniformis MH48의 배양액 농도에 따른 소나무재선충의 살선충 활성을 조사한 결과, 키틴-젤라틴(CG) 배지와 키틴-선충(CN) 배지 모두 20% 배양액 처리시 치사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B. licheniformis MH48 배양액 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나무재선충의 표피가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B. licheniformis MH48은 소나무재선충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제로서 가능성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선식에서 Bacillus cereus의 분리 및 특성 조사와 열에 대한 사멸률 연구 (Surviv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Sunshik)

  • 조용선;정은영;이명기;양철영;신동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3-347
    • /
    • 2008
  • 최근 식사대용으로 각광을 받는 선식은 포장 후 더 이상 가열 처리 과정 없이 섭취하는 식품으로 포자를 형성하여 열처리 과정에서 완전히 사멸되지 않으며 생존하는 B. cereus에 의한 위해성이 문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선식에 대한 B. cereus정량을 통해 오염 수준을 파악한 결과 선식 161점 중 57점 (35.4%)에서 B. cereur가 검출되었고 검출된 시료 57점 중에 100 FU/g 미만은 21점, 100-1000 CFU/g 미만은 33점, 1,000 CFU/g 이상은 3점이 검출되었다. 선식에서 분리한 B. cereus의 생화학적 특성을 통해 독소 형태를 알아본 결과는 enterotoxin 양성이 93%이며 emetic toxin 의심 균주는 5.3%였다. 이러한 B. cereus의 저감화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선식의 제조 과정에서 B. cereus의 열처리 과정에 대한 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tryptic soy broth에 포자를 접종한 결과는 75, 80, 85, 90에서 40.3분, 8.8분, 3.3분, 1.1분이였다. 용질에 따라 수분 활성도가 낮아지면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지므로 선식에 시료에 대한 D-value를 시험한 결과 $75^{\circ}C$, $80^{\circ}C$, $85^{\circ}C$, $90^{\circ}C$에서 37.1분, 22.5분, 4.9분, 3.1분이였다. Z-value는 tryptic soy broth에서는 $9.8^{\circ}C$이며 선식 시료에서는 $12.8^{\circ}C$였다. 따라서 선식에서 B. cereis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즉석조리식품에서의 Bacillus cereus오염실태조사 및 생육 pattern 분석 (Isolation and Growth Pattern of Bacillus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 김순한;김미경;강민철;손영욱;이창희;김인복;이영자;최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64-669
    • /
    • 2004
  • 국민 다소비 식품인 생선회, 패류 등의 횟감류 118건, 김밥, 햄버거 등의 도시락류 82건 및 기타 ready-to-eat(RTE) 식품 40건, 총 240건을 대상으로 Bacillus cereus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횟감류 16건(13.6%), 도시락류 17건(20.7%), 기타 RTE 식품에서 3건(7.5%), 총 36건(15.0%)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B. cereus의 검출은 polymyxin B를 첨가한 TSB배지를 사용한 증균배양 후, MYP agar에서 전형적인 집락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균주들을 대상으로 그람염색, oxidase test, 혈액한천배지에서의 rhizoid growth, $\beta$-용혈성 유ㆍ무등을 통해 추정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API 50CHB/20E system을 통한 생화학적 분석과 motility시험 등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B. cereus로서 동정ㆍ확인하였다. 확인된 36균주 중 28균주(77.8%)가 BCET-RPLA 시험을 통해 BHI broth에서 설사형 독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 분리균들은 ampicillin (100%), penicillin G (100%) 및 rifampicin (69.5%)에 내성을 보였으며, gentamicin (100%), vancomycin (100%), bacitracin (86.1%), chloram-phenicol (97.2%), erythromycin (69.4%), kanamycin (86.1%) 및 streptomycin (97.2%)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B. cereus의 생육은 온도와 시간에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냉장온도인 1$0^{\circ}C$이하에서는 균의 생육이 상당히 저해된 반면, 2$0^{\circ}C$ 및 3$0^{\circ}C$에 보관시에는 급격한 증식을 보여 기온이 상승하는 하절기에 특히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역미셀을 이용한 Bacillus licheniformis 발효액으로 부터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의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Alkaline Prote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Fermentation Broth using Reverse Micelle)

  • 권성필;구윤모홍성안
    • KSBB Journal
    • /
    • 제6권1호
    • /
    • pp.105-109
    • /
    • 1991
  • 역미셀을 이용하여 박테리아 (Bacillus licheniformis)의 발효액으로부터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리할 때 여러가지 인자들, 즉 이온강도, pH, 계면활성제의 농도 등이 분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온강도를 높여 주기 위하여 KCI을 사용하여 조절하였으며, 발효액의 이온강도를 높여줄수록 추출되는 효소의 양은 감소하였으며, 역추출 용액의 이온강도를 높여줄수록 역추출되는 효소의 양은 증가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sodium-di-2-ethylhexyt sulfosuce-inate (Aerosol-OT또는 AOT)를 사용하였으며, 유기상내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높여줄수록 더 많은 양의 효소가 추출됨을 알 수 있다. pH는 IN HCI과 0.1N NaOH를 사용하여 조절하였고, 발효액의 pH가 5.3이었을 때 가장 많은 양의 변성되지 않은 효소가 추출되었으며, 역추출 용액의 pH가 7.5일 때 가장 많은 양의 변성되지 않은 효소가 역추출됨을 알 수 있다.

  • PDF

고초균에서 흰이빨참갯지렁이 페리틴 단백질의 분비 및 사료 효율성 (Secretion of Ferritin Protein of Periserrula leucophyryna in Bacillus subtilis and Its Feed Efficiency)

  • 최장원
    • KSBB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05-112
    • /
    • 2016
  • Ferritin is known to regulate iron metabolism and maintain iron in a variety of the eukaryotic organisms. The region encoding the mature ferritin (0.47 kb, H-type) of Periserrula leucophryna was amplified using the designed primers including restriction enzyme site and termination codon and subcloned in frame to the pRBAS secretion vector containing the signal sequence, RBS, and promoter of amylase gene (E. coli-Bacillus shuttle vector), resulting in recombinant pRBAS-PLF vector. Recombinant ferritin (18 kDa) was correctly processed and secreted from Bacillus subtilis LKS strain harboring the pRBAS-PLF vector and quantitatively analyz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 respectively. Secretion of the ferritin was optimized by culture conditions (host, medium, temperature, nitrogen source) in 3 L batch culture and 5 L jar fermenter. Finally. the ferritin was largely produced using 50 L fermenter as the following conditions; at $30^{\circ}C$, 150 rpm, 1 vvm in Bacillus subtilis LKS using PY medium. The secreted ferritin was maximally measured (approximately 177.6 ug/ml) when the cell density reached to 14.4 at $OD_{600}$ (20 h incubation). The iron binding activity was confirmed by Perls' staining in 7.5% non-denaturing gel, indicating that the multimeric ferritin (composed of 24 subunits) was formed in the culture broth after secretion. Biologically, the culture broth and powder type containing ferritin were tested for possibility as feed additive in chicken broiler. As a result, the ferritin stimulated the growth of chick broil and improved feed efficiency and production index.

미생물에 의한 핵산관련물질의 생산에 관한 연구(제3보)-Bacillus subtilis의 영양요구변이주에 의한 Hypoxanthine의 축적- (Studies on Production of Nucleic Acid Derivatives by Microorganisms (III) -Accumulation of Hypoxanthine by Adenineless Mutant of Bacillus subtilis-)

  • 배무;윤애숙;이계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18
    • /
    • 1973
  • Bacillus subtilis의 생균 및 포자액을 자외선 조사와 diethylsulfate 처리로서 adenine 요구변이주 총 62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변이주는 발효배지에 자외선흡수 물질을 축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축적물은 thin-layer chromatogram 자외선흡수 곡선등으로 hypozanthine, uracil 임을 동정하였다. 이 중에서 hypoxanthine만을 축적하는 변이주 BS-137의 배지성분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소로서는 glucose가 좋았으며 질소원으로서는 yeastext와 NaNO$_3$ 가 적당하였다. 아울러 배양액으로부터 hypoxanthine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 PDF

숙주나물과 콩나물에 대한 부패성 미생물의 증식 양상 비교 (Comparative Study on Growth of Spoilage Microorganisms in Mungbean and Soybean Sprout)

  • 유미지;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0
    • /
    • 2004
  • 숙주나물과 콩나물은 blanching후 변질 속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바 이들이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Pseudomonas fluorescens, Listeria monocytogenes등 4종의 부패성 및 식중독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숙주나물과 콩나물의 조리과정 중 blanching조건이 달라 각각의 조건에서 두 시료 모두 blanching하여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blanching 한 후 미생물 수는 저장시간에 따라 증가하나 그 차이가 없었다. 최소배지에 숙주나물과 콩나물 농축물 및 부패성 미생물을 접종한 후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숙주나물에 접종한 모든 균들의 초기 균수가 높았으나 24시간 이후 비슷한 증식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숙주나물과 콩나물의 여액을 배지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미생물의 증식 양상은 균주 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색도를 측정한 결과 숙주나물의 경우 24시간에는 색차가 거의 없다가 48시간 이후 현저한 차이를 보였고, 콩나물의 경우 24시간에 다른 계통의 색으로 변하다가 48시간 이후 현저하게 많은 차이를 보여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Encapsulation of Whole Cell CGTase from Concentrated Broth Solution

  • Park, Joong-Kon;Sohn, Joon-Hyuk;Park, Hyung-Woo;Lee, Yong-Hy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1호
    • /
    • pp.67-71
    • /
    • 2001
  • Most of the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Gtases) which have been produced from B. subtilis were found to be excreted from the cells during cultivation. Immobilized whole cell CGTase from B. subtilis was prepared by encapsulating the broth solution which had been concentrated ten times with a rotary vacuum evaporator. Cyclization activity of CGTase was reduced by about 10% during the concentrating process, however, its transglycosylation activity, to convert xylitol to glucosyl-xylitol, using dextrin as glucosyl donor, increased by a factor of 3 or 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