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by Boomer generat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7초

베이비부머 세대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Self-efficacy on Preparations Toward Retirement for Baby Boomer Generation)

  • 윤성원;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27-3435
    • /
    • 2012
  • 2010년 베이비부머(baby boomer)의 맏형격인 1955년생이 정년퇴직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현직에서 물러나고 있다. 베이비부머의 퇴직은 발달된 의학기술과 향상된 생활수준 그리고 주변 생활환경의 개선 등으로 인하여 곧 기대수명이 길어진 노인계층으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매년 낮아지는 출산율과 맞물려 고령 사회로의 진입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고 있다. 이에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진로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은퇴준비를 알아보고자 첫째, 월 평균소득과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준비의 차이분석 둘째,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2. 1. 17.~2. 16까지 1개월 동안 서울, 경기, 강원, 충남, 경남, 전남, 제주도 등에 직접방문 및 우편발송으로 베이비부머 세대를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43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유효한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월 평균소득에 따른 은퇴준비는 경제적, 신체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준비는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결과값이 보여졌다.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경제적 요인이 가장 높은 58%의 영향력을 보이며 자기평가, 목표설정, 직업정보, 문제해결의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Generation Types on Prosocial Consumption Behavior

  • Oh, Min-Jung;Hwnag, Yoon-Yong;Quan, Zhi Xuan;Jung, Jin-Chul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55-63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fferences in donation behavior as surrogates of prosocial consumption behavior among three generation types. Further, it attempts to examine the moderator roles that affect donation behavior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in gener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used the statistical ANOVA technique to examine generational difference. Surveys were structured differently by ages, as 20th, 30th, 40th, 50th, 60th, and 70th to classify generations into each group. A survey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distance was performed to identify whether the respondents intended to donate to a domestic or overseas target. Results - First, subjective judgment of psychological distance has no effect on objective donation behavior. Second, though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with moral identit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provides evidence that a higher moral identity level possesses more donation behavior. Further, groups with higher symbolization tend to donate more than the others. This was especially evident among the young and baby boomer generation. Conclusion - This empirical study suggests that marketers need to differentiate the market segment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with high purchasing power of prosocial consumption.

The Analysis by Postretirement of baby boom generation

  • Kim, Pan-Jin
    • 융합경영연구
    • /
    • 제5권2호
    • /
    • pp.33-39
    • /
    • 2017
  • As the aging population geworsened by the a of the low fertility rate in the wake of the birth of the low birth rate, the rapid increase in the retirement age of the baby boomers in the wake of the birth of the Korean War is a significant indication of the separation of the aged and the role of the economically rich and the role of the role of the economically ri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ddress issues and countermeasures.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life of the baby boom generation by examining the problems and responses to the economic activity after the retirement activity of the baby boomers.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limit was limited to the retirement age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order to boost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Due to the lack of exploration of the exploratory research, the lack of analysis of exploratory facts is the biggest limitation of the analysis. So, further analysis of this will lead to meaningful studies. Looking at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includ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focus on the point was 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activity and analyses and analys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In conclusion, the issue was drawn up and the alternatives were sought.

베이비 부머세대의 노후생애설계 교육에 관한 연구 (Life design education, the aging of the baby boomers Study)

  • 최용호;전성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01-110
    • /
    • 2013
  • 베이비부머세대는 생애주기상 중년기에 해당한다. 이들은 안정된 고용과 소득기반을 상실한채 부모부양은 물론 자녀의 교육, 그리고 자신의 노후를 동시에 준비해야 하는 이중, 삼중의 경제적 부담을 안고 있다. 최근에 이들의 준비되지 않은 퇴직과 은퇴가 주요관심사이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의 특성, 노후생애설계 교육에 대한 현황, 우리나라와 외국의 노후 생애설계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베이비부머세대의 노후생애설계교육 활성화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베이비부머 생애설계교육에서 노후생애설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에 대한 미시적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과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대한 인과모형분석 - 대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 (A Causal Model Analysis of the Family Health of Baby Boomer Parents and the Marital Preparation Skill of Eco-Boomer Children - Focusing on College-Aged Students -)

  • 이성훈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9-111
    • /
    • 2013
  • 본 연구는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이 원인변인임을 밝혀내어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의 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사전예방 차원에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결혼생활준비기술을 높이기 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세대가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하였으며, 대학생인 자녀세대가 1992년 이전 출생에 해당하는 475부를 SPSSWIN 18.0 프로그램과 LISREL 8.5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 중 저축, 소비하는 재정관리기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세대가 지각한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은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대한 원인변수임이 밝혀졌다. 특히 가족건강성은 결혼생활준비기술 중 부모역할기술과 갈등해결기술, 부모준비기술에 대한 영향이 컸으며 상대적으로 재정관리기술에 대한 영향은 낮게 나타났다.

  • PDF

베이비부머 세대 여성의 챗봇 활용에 따른 건강변화 (The Impact of Chatbot Usage on Health Changes Among the Baby Boomer Generation Women)

  • 김상미;최휘철;안무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349-356
    • /
    • 2024
  • 2025년, 우리나라는 노인 20.6%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위하여 디지털 기술과 높은 교육 수준을 지닌 베이비 붐 세대를 대상으로 '인지·정서 향상 챗봇 융합제품'의 사용에 따른 전후 건강상태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건강공동체 23개소 중에서 서울지역의 중·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으로, 스마트기기 사용에 능숙하며, 자발적 사용 경험에 따른 데이터 제공 의지가 있는 대상자 50명을 선별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7월 24일부터 10월 5일까지이다. 50명의 신청자 중 탈락자와 소수의 남자를 제외한 43명의 베이비 부머 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챗봇 사용 후 신체활동은 43.5.21(±1310.39) MET, 우울 정도는 6.84(±3.53)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챗봇 사용 전후로 두 변수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신체활동과 우울척도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나타난 것은 챗봇이 특정 건강 측면에 미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음과 각각에 다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변수와 더 다양한 건강 지표를 고려하여 챗봇의 효과를 더 깊이 분석할 필요가 있다.

베이비 부머 은퇴자들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회복 탄력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Resilience and Depression of Baby Boomer Retirees)

  • 심남섭;신창섭;신민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24-434
    • /
    • 2021
  • 고령화 시대에 퇴직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우울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한국 사회의 경제사회분야에서 중심적 역할을 주도해 온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이 시작되면서 이들의 퇴직 이후의 삶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의 회복탄력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베이비부머 세대 58명을 대상으로 3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 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그룹(FHPG)은 자율적인 숲 활동 그룹(FHNG)과 일상생활 그룹(DLG)에 비하여 회복탄력성이 매우 유의미하게 증가되었고, 우울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은퇴자들의 자율적인 숲 활동 보다도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은퇴자들의 회복탄력성과 우울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베이비붐세대가 65세 노인인구로 전환 시의 만성질환 환자수와 진료비 예측 (Estimate over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at the Time of Transition of Baby Boomer into 65 Years Old Aging Population)

  • 이선영;김영훈;김한성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6-38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is to estimat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at the time baby-boomers belong to 65 years old aging population, and compare with current 65 year-old aging population. Methods: Analysis method used an estimating formula devised by the researcher and estimate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of each generation. Results: When comparing the estimated number of chronic diseases patients of each generation, 40.6% of the first generation, 76.4% of the second generation, 95.2% of third generation are expected to get chronic disease. When comparing each generation's total medical care expenditure, based on the estimated number of chronic diseases patients of each generation, the second generation( 1,206,251,224 thousand won) showed higher than other gener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between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elderly and current elder generation. As a result, the second generation patients was higher than the fourth generation in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isorder, and neurological diseases whereas the fourth generation is only high the number of patients in heart disease. As for total medical care expenditure, the second generation paid more in high blood pressur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isorder while the fourth generation in neurological disease and heart disease. Conclusion: It is desired that considering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of baby boomers accounting for 14.6% of total population, in-depth follow-up study is carried out that inquires into what are issues with a current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ject, what business is needed in order to manage these issues, and how to fund to cover increasing medical care expenditure.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주관적 기대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Level on Life Satisfaction in Baby-Boom Generation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xpectation-)

  • 박서영;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66-674
    • /
    • 2016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주관적 기대감(생활수준 및 정부정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12년 제4차 고령화연구패널 조사이며,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생부터 1961년생 1,7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소비수준이 미치는 효과는 주관적 기대감에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주관적 기대감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186-18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0차년(2015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성별, 교육수준, 건강상태 등의 인구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가구소득, 심리적 요인으로 우울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요인으로 신뢰와 상호호혜성, 가구수준과 종사상 지위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에 대해 건강상태(B=.236, t=9.914, p<.001), 가구소득(B=.131, t=4.535, p<.001), 우울(B=-.186, t=-7.568, p<.001), 자아존중감(B=.286, t=11.080, p<.001), 신뢰(B=.049, t=2.128, p<.05), 종사상 지위(B=.081, t=3.284, p<.01)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