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Ti molar ratio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졸-겔 법에 의한 구형 미분체 Barium Titanate의 제조 (Synthesis of Barium Titanate Spherical Particles by Sol-Gel Method)

  • 김용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6-252
    • /
    • 2007
  • $BaTiO_3$ powders were prepared by sol-gel method from different concentration of KOH aqueous solution and Ba/Ti molar ratio. Particle shape, size and crystal structure of prepared $BaTiO_3$ powders were analyzed by SEM, XRD, and FT-IR. As the result of KOH concentration changing, spherical particles were obtained by condition more than 3 M and particle size decreased as concentration increasing. Different appearance showed between dried and sintered powders against changing of Ba/Ti molar ratio. In case of dried powders, the crystallinity decreased as molar ratio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increased as molar ratio increasing in case of sintered powders.

Glycine-Nitrate 법에 의한 $\textrm{BaTiO}_3$ 분말합성 및 소결특성 (Synthesis of the $\textrm{BaTiO}_3$ Powders by the Glycine-Nitrate Process and Sintering Characteristics)

  • 김구대;박지애;이홍림;송휴섭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56
    • /
    • 1999
  • The $BaTiO_3$ powders were synthesized by GNP (Glycine-Nitrate process). The powders were prepared using carbonate and alkoxide as starting materials and nitric acid was used as a solvent for starting materials as well as an oxidant for combustion. the effects of aggregates in $BaTiO_3$ powders on green densities, sintering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hen the glycine/cation molar ratio was 1.2, reactivity of self-combustion was most intensive and the degree of aggregates after calcination was low. On sintering at $1400^{\circ}C$, maximum theoretical relative density(94.99%%0 was obtained in case of 1.2 molar ratio of glycine/catio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is sintered $BaTiO_3$ was 1919.

  • PDF

BaTiO3 미세 분말의 수열합성 및 특성분석 (Hydrotherm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aTiO3 Fine Powders)

  • 박정훈;박상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5호
    • /
    • pp.448-454
    • /
    • 2007
  • 미세 $BaTiO_3$ 분말의 합성을 위해 함수 티타니아와 수산화바륨을 원료로 수열합성 실험을 수행하여, 반응시간, 온도, 농도 변화에 따른 전화율, 결정구조 및 생성 분말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전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 < 온도 < 농도 순이었으며, 2.0 M의 원료를 $180^{\circ}C$에서 2 h 수열합성 시킬 때 최대 전화율을 99.5%를 얻을 수 있었다. 낮은 농도(0.25 M)에서는 고온에서도 미반응 $BaCO_3$와 미반응 $TiO_2$ 생성을 피할 수 없었으며, 이 미반응 물질들은 고온에서 $BaTi_2O_5$를 생성시켜 불순물로 존재하였다. 농도를 높일수록 합성 $BaTiO_3$ 분말의 크기는 작아졌으며, 분말의 Ba/Ti 비도 1에 접근하였다. 2.0M 이상의 농도에서는 $180^{\circ}C$, 2 h 반응에서 Ba/Ti 비는 $1{\pm}0.005$ 이였다.

Glycothermal법에 의해 제조된 $BaTiO_3$ glycolate의 특성 (Glycotherm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aTiO_3$ glycolate)

  • 길현식;;임대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286-287
    • /
    • 2006
  • Barium titanate ($BaTiO_3$) glycolate particles were synthesized at temperature as low as $100^{\circ}C$ through glycothermal reaction by using $Ba(OH)_2{\cdot}8H_2O$ and amorphous titanium hydrous gel as precursors and ethylene glycol as solvent. The particle size and morphology of $BaTiO_3$ glycolate powders can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reaction conditions such as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Ba:Ti molar ratio of starting precursors. After glycothermal treatment at $220^{\circ}C$ for 24 h in 1.25:1(Ba:Ti),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aTiO_3$ glycolate powder was about 200-400 nm and low agglomeration. $BaTiO_3$ powders were formed by heat-treating the glycolate powder in air at $500-1000^{\circ}C$. As a result, the size of $BaTiO_3$ crystallites changed from around 50-300 nm.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the size and shape of $BaTiO_3$ particle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calcination temperature. The $BaTiO_3$ particles obtained from optimum synthesis condition were pressed, sintered and measured for the dielectric property. The $BaTiO_3$ ceramics sintered at $1250^{\circ}C$ for 2 h had 98 % of theoretical density. The ceramics have an average grain size of about $1\;{\mu}m$ and displays the high dielectric constant (~3100) and low dielectric loss (<0.1) at room temperature.

  • PDF

방사능 계측법에 의한 티탄산 바륨의 특성화 연구 (I). 옥살산염법에 의한 티탄산 바륨의 합성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Barium Titanate by a Radiometric Method (I). Synthesis of Barium Titanate by an Oxalate Method)

  • 이철;신용균;정구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5-69
    • /
    • 1989
  • 방사성 바륨 또는 방사성 란탄 추적자를 함유하고 있는 Ba(NO$_3)_2$ 와 TiO(NO$-3)_2$의 무기혼합용액을 옥살산의 에탄올 용액으로 적정하므로써 바륨티탄닐의 옥살산 염을 합성하였고, 이를 1000$^{\circ}$C에서 하소시켜 BaTiO$_3$를 만들었다. 옥살산염의 분석결과는 BaTiO(C$_2O_4)_2{\cdot}4H_2O$이며, 무기혼합용액중 Ba/Ti의 몰비가 0.950∼1.05 범위 내에서 화학양론적 결합으로 합성됨을 방사성 바륨 추적자의 도움으로 쉽게 확인하였고, Perovskite형의 구조임을 XRD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란탄 첨가제가 침전에 화학적으로 균일하게 혼입됨은 방사성 란탄의 추적자 실험으로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적 사실로부터 침전물의 구성 성분의 결합이 분자준위에서 일어나고 또 티탄산바륨이 단일상의 결정임을 설명하였다.

  • PDF

Glycine-Nitrate 법에 의한 BaTiO$_3$ 분말의 합성 및 그 특성(Part I) (Synthesis of the BaTiO$_3$ Powders by the Glyscine-Nitrate Process and Its Properties (Part I))

  • 박지애;김구대;이홍림;이동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857-863
    • /
    • 1998
  •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 등의 전자 세라믹스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는 BaTiO3 분말 제조를 위해 GNP(Glycine-Nitrate process)법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GNP법과는 달리 출발물질로 카보네이트와 알콕사이드를 도입했고, 연소반응의 산화제 및 출발물질의 용매로써 질산을 사용하였으며, 연소합성시의 연료인 글리신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을 합성하였다. 연소합성된 분말의 특성은 helium pycnometer, XRD, N2 흡착을 이용한 BET, 주사전자현미경 등으로 분석하였다. 제조된 전구체 분말은 100$0^{\circ}C$로 하소시에 단일상의 BaTiO3 상으로 전이되었으며, 조성이 1.2인 경우 24m2/g의 높은 비표면적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제주도 해안가에서 측정된 에어로졸의 성분별 입경분포 특성 (Size Distribution of Ambient Aerosol Measured at a Coastal Site in Jeju Island)

  • 이기호;양희준;허철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0호
    • /
    • pp.1043-1054
    • /
    • 2003
  •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September 2002, the size distributions of ambient aerosol were measured at the coastal site at Hamduk in Jeju Island. Na$\^$+/, K$\^$+/, Mg$\^$2+/, Ca$\^$2+/and Cl$\^$-/ exhibited mostly a bimodal coarse mode size distribution, while ammonium and sulfate were mainly in the fine size range, with maximum at around 0.54$\mu\textrm{m}$. The averag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ammonium to sulfate for fine particles was equal to 2.0${\pm}$0.9. Nitrate was evenly found in both the coarse and fine modes. Elements like Al, Fe, Cu, Mg, Na, Ti, Sr and Mn were dominant in coarse particles, with the maximum at around 5.25$\mu\textrm{m}$. S and Pb were mainly in the submicrometer size range. Other elements with a fine and coarse modes were V, Ni, Cu, Ba and Mo. The patterns of the size distributions of trace elements measured at the downtown in Jeju City were very similar to those at the coastal site in Hamduk. However, the amplitude of size fractional concentrations at Jeju City was narrower than that at Hamduk. While the mass median diameters for the chemical species originated from the natural origin such as marine and crust were relatively large, those for ammonium, sulfate, S and Pb were very small.

예천전단대 북동부 명호지역 엽리상 화강암류와 압쇄 편마암류에 대한 지구화학 및 Nd-Sr 동위원소 연구 (Geochemical and Nd-Sr Isotope Studies for Foliated Granitoids and Mylonitized Gneisses from the Myeongho Area in Northeast Yecheon Shear Zone)

  • 김성원;이창윤;유인창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3호
    • /
    • pp.299-314
    • /
    • 2008
  • 북동 방향의 호남전단대는 한국의 옥천대 남쪽 경계와 선캠브리아기 영남육괴 사이를 지나는 광역적인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대로 동아시아의 두드러진 지나 변형의 방향과 평행하다. 이 논문에서는 호남전단대의 한 지류인 예천전단대 명호지역의 선캠브리아기 압쇄 석영-백운모 편마암과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의 지화학 및 Nd-Sr 동위원소자료를 보고하고자 한다.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를 $SiO_2$$Na_2O+K_2O$의 분별도에 도시하면 $SiO_2$의 함량은 61.9-67.lwt% 그리고 $Na_2O+K_2O$의 함량은 5.21-6.99wt%로 화강섬록암 영역에 대부분이 점시된다. 선캠브리아기 압쇄 석영-백운모 편마암은 화강암의 영역에 점시된다. $SiO_2$에 대한 수정된 알칼리-라임 지수 및 Fe#($FeO_{total}/(FeO_{total}+MgO)$)에 의한 관계도에서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는 캘크-알카리 계열의 마크네슘 성분이 우세한 코딜러리안(Cordilleran)형 중생대 화강암류의 지화학 특징과 잘 부합된다. 또한 이들 암석들은 $Al_2O_3/(CaO+Na_2O+K_2O)$$0.89{\sim}1.10$로 중알루미나에서 약한 고알루미나질의 I형에 해당한다 하지만, 원남층의 압쇄 편마암은 $1.11{\sim}1.22$의 과알루미나질을 보여준다. 연구지역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 및 압쇄 편마암류의 미량원소 성분을 초생맨틀(Primitive mantle) 값으로 규격화한 거미 성분도상에서는 저장력 원소(large ion lithophile element)이며 불호정성 원소인 Rb, Ba, Th 및 U이 부화되어 있고 Ta, Nb, P, Ti 가 상대적으로 다른 원소보다 결핍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화학적 특징은 호상형(Arc-type) 화강암류와 전형적인 활동성 대륙연변부의 지각물질로부터 유래한 화강암류와 유사하다. ${\varepsilon}_{Nd}(T)$와 Sr 초생값은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가 상부지각의 기원물질로부터 형성된 마그마로부터 생성되었음을 지시해 주고 있다. 연구지역을 포함한 영주저반의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는 전단대에서 멀어지면서 변형에 의한 특정 원소들(Ti, P, Zr, V 및 Y)의 변화경향이 관찰되지 않는다. 이러한 원인으로, 많은 유체를 가지고 있는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에서는 전단운동 변형동안 전단대 내와 외부의 유체의 흐름에 의한 질량 전달이 동일하게 일어나 암석 내의 부피변화 및 지화학 변질들을 야기 시키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포천 - 기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쥬라기 대보화강암류의 암석 및 암석화학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the Jurassic Daebo granites in the Pocheon-Gisanri area)

  • 윤현수;홍세선;이윤수
    • 암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6
    • /
    • 2002
  • 1/5만 포천-기산리도폭에 넓게 분포하는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 복합체를 관입한다. 이들은 모우드 분석결과 거의가 몬조화강암에 해당하며, 구성광물특성상 흑운모화강암(Gb), 석류석흑운모화강암(Ggb) 그리고 복운모화강암(Gtm)으로 구분된다. 주변지역의 야외조사와 K-Ar 운모류 연령해석에 의하면 Ggb가 Gb를 관입하였으며 Gtm은 가장 후기로 해석된다. 연구대상인 Gb와 Ggb는 서브알카린과 캘크알칼린 계열의 산성암류이다. $SiO_2$ 증가에 따라 주 원소의 대부분이 완만한 부의 경향을 뚜렷히 가지나, $TiO_2$, MgO 및 CaO등은 두 개의 다소 다른 선상분포를 이룬다. 이와 더불어 선상의 분포경향을 이룬 AMF, Sr대 Ba 그리고 Rb-Ba-Sr 관계 등으로 미루어, 이들은 동일마그마에서 기원되었으며 Ggb가 Gb보다 분화후기의 산물로 해석된다. Sr 대 CaO와 Sr 대 $K_2O$는 모두 정의 관계를 이루나, Sr이 알칼리장석보다 사장석의 분별결정작용에 보다 더 관여한 경향을 이룬다. 콘드라이트 값으로 표준화한 변화도에서 이들은 LREE에서 HREE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뚜렷이 결핍된다. 그러나 Ggb의 한 개 시료는 HREE가 점이적 증가경향을 이루며, 이는 석류석의 수반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Eu 부의 이상으로 미루어 Gb에 비해 Ggb에서 사장석의 분별결정작용이 매우 강하게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Qz+Af) 대 Op의 모우드 상관도에서 Gb는 거의가 자철석 계열에, Ggb는 모두 티탄철석 계열에 속한다. 모우드 분석과 대자율 역산에서 Gb와 Ggb의 대자율은 각각 339.3 ${\mu}SI$와 2.3 ${\mu}SI$로써 뚜렷이 구분되며, 이는 각각 자철석과 흑운모가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Gb와 Ggb의 $SiO_2$는 각각 높은 함량과 좁은 범위값을, $K_2O/Na_2O$는 각각 1.29와 1.27을, 그리고 A/CNK 몰비는 거의가 1.05 이상의 값을 가진다. 그 밖에 ACF도와 대자율값에서도 모두 S-형에 속하는 암석성인적 특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