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 treatment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36초

Effect of Replacing Soybean Meal with Soya Waste and Fish Meal with Ensiled Shrimp Waste on the Performance of Growing Crossbred Ducks

  • Dong, Nguyen Thi Kim;Elwinger, K.;Lindberg, J.E.;Ogle, R. Br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6호
    • /
    • pp.825-834
    • /
    • 2005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growing crossbred Super-Meat ducks at the experimental duck farm of Cantho University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ucing the proportion of soybean meal (SBM) in a broken rice (BR)-SBM mixture and providing soya waste (SW) ad libitum (Expt. 1), and reducing the proportion of fish meal (FM) in a BR-FM mixture and supplying ensiled shrimp waste (ESW) ad libitum (Expt.2). Both experiments included five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es and ten growing ducks per replicate. In Expt.1, the five diets were based on BR and five levels of SBM, with SW offered ad libitum. The control diet (SBM25) consisted of 75% BR and 25% SBM, and the other four treatments included SBM levels of 20% (SBM20), 14% (SBM14), 8% (SBM8) and 0% (SBM0) mixed with BR to 100%, and with SW ad libitum. In Expt. 2, the control diet consisted of 86% BR and 14% FM, and the other dietary treatments had FM levels of 11% (FM11), 8% (FM8), 4% (FM4) and 0% (FM0) mixed with BR, and with ESW ad libitum. In Expt. 1, total intakes of dry matter (D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metabolizable energy (ME) were higher for birds given SW (p<0.001). Total CP intake was highest on the SBM20 diet, and lowest on the SBM0 diet (p<0.001). Lower daily gain (DG) was found for the SBM0 diet (p<0.01). Carcass weights were higher on the control treatment, with the lowest values on the SBM0 diet (p<0.001). Gizzard weights were higher on diets with high intakes of SW (p<0.05). In Expt. 2, birds with high intakes of ESW (FM4 and FM0) had lower (p<0.01) daily intakes of DM. The total CP intakes declined (p<0.001) with higher intakes of ESW. The highest DG were for the control and FM11 diets, while the lowest value was for diet FM0 (p<0.001). The poorest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for the FM0 treatment (p<0.01). Lower weights of carcass and breast muscle were found on the FM0 diet (p<0.001). Feed costs per kg gain were only slightly different between diets. However, the lowest feed cost was for ducks on the SBM0 and FM11 diets in Expt.1 and Expt. 2, respectively.

Shewanella algae BrY를 이용한 영가철 칼럼의 TCE 처리 수명연장 (Durability Extension of Fe(0) Column with Shewanella Algae BrY on TCE Treatment)

  • 채희훈;배연욱;박재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41-48
    • /
    • 2007
  • 영가철은 trichloroethylene(TCE)과 같은 염소계 유기오염물질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반응벽체를 이용한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현장처리에 반응매질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영가철의 빠른 반응성으로 인하여 반응벽체의 수명이 다하고, 탈염소화 과정 중 생성된 산화철이 영가철 표면에 침적 되어 반응표면적을 줄임으로써 반응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영가철 반응벽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고, 그 중 철환원균을 이용한 연구가 본 연구에서 시도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Shewanella algae BrY는 철환원균의 일종으로서 Dissimilatory Iron Reducing Bacteria(DIRB)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배치실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칼럼실험을 통해 TCE의 농도를 30mg/L과 67.5mg/L의 두 가지로 비교하고, 유량을 8mL/hr, 16mL/hr의 두 가지로 비교하여 세 개의 칼럼 실험을 실시하여 영가철 반응벽체의 TCE의 제거 및 산화된 철의 철환원균을 이용한 환원과정을 칼럼실험을 통해 측정했다. 그 결과 철환원균에 의한 산화철의 환원은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 경우 처리량의 증가로 인하여 반응벽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유량의 증가 역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증가로 인하여 수명의 단축을 가져왔다. 그러나 유량증가의 경우 유속의 증가를 가져와서 Shewanella algae BrY가 매질표면에 작용하여 산화철을 환원시킬 수 있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착상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농도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여준다. 칼럼실험결과 Shewanella algae BrY에 의한 산화철의 환원은 TCE의 탈염소화 후 생성된 산화철의 침적에 의하여 발생되는 반응벽체의 수명감소를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Effect of Route of Trihalomethanes (THM) Administration on Renal Toxicity in Male Rat

  • Chung, Jin-Ho;Lee, Soo-Hw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88-192
    • /
    • 1991
  • Single non-lethal doses of chloroform $(CHCL_3)$ dichlorobromomethane $(CHCL_2Br)$, dibromochloromethane $(CHCIBr_2)$, or bromoform $(CHBr_3)$ were administered to male rats. Routes of exposure including single intraperitional (ip) and subcutaneous (sc) injection were used in order to permit comparison of severity of THM effects and renal toxicity was assessed at varied times following treatment. On an equimolar basis, sc administration of $CHBr_3$ (either 12 or 3 mmoles/kg) is more effective at increasing KW/BW than ip $CHCI_3$ treatment. Plasma urea nitrogen (BUN) following ip THM injections are markedly increased with all four THM at 24 hours post treatment. BUN response to $CHCL_2Br$ and $CHCIBr_3$-effected BUN levels have essentially return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THM sc treatment results in a BUN response similar to that seen following ip treatment, with only the time course being different. With the exception of $CHCL_3$, sc and ip-treatments appear to be equally effective in evoking absolute BUN elev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M administration induce renal toxicity dependent upon the route or exposure.

  • PDF

환자교육을 위한 유방암 환자의 지식측정 도구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nowledge Scal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S-Br))

  • 이건숙;이란;김수현
    • 종양간호연구
    • /
    • 제10권1호
    • /
    • pp.59-67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nowledge scal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S-Br) in Korea. Methods: The process included the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preliminary items, and the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Thirty-seven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n evaluation process by 10 experts and 24 items were finally confirmed through item analysis. Psychometric testing was performed with a convenient sample of 303 women with breast cance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calculation of KR-20. Results: Participants averaged 70.8% correct on the test. The KS-Br has 24 items consisting of 5 categories: incidence of breast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symptom management, sexuality, and maintenance of daily life. Validity was supported by the use of content validity, known-group technique,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omen who had undergone education interventio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who had not (p<.001). KS-Br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Mishel's Illness Uncertainty Scale (r=-.214, p<.001).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S-Br was appropriate (KR20=.805).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KS-Br is reliable and valid scale to measure the knowledge of breast cancer. Therefore, this scal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to assess the knowledge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regarding their disease.

Bradykinin Receptor의 발현에 미치는 녹농균유래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및 Flagellin의 효과 (Upregulaton of Bradykinin Receptor Mediated by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and Flagellin from Pseudomonas aeruginosa)

  • 김용재;신희성;;하운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1-284
    • /
    • 2014
  • 병원성 균주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감염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면역반응은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하다. 선행 연구에서 녹농균의 감염에 대응하여 bradykinin receptor (BR)의 발현이 증가됨을 보고하였지만, 발현유도에 관여하는 녹농균 유래인자에 대해서는 보고한 바가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녹농균에 의한 BR의 발현은 Type III secretion system (T3SS)이 관여하지만, 기존에 알려진 T3SS인자가 아닌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Ndk)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pDNNDK를 이용한 transfection 실험 결과, Ndk 만으로는 BR의 발현이 유도되지 않았으며, Ndk와 함께 flagella가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보고된 주요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인 flagella와 더불어 감염대응에 관여하는 Ndk를 발굴한 의미가 있으며, 녹농균에 의한 질병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ynthesis of Alkylidyne Complexes of Br$(CO)_2(tmeda)M{\equiv}CC_{6}H_{4}Me$ (M = Cr, Mo, W). Crystal Structure of Br$(CO)_2(tmeda)M{\equiv}CC_{6}H_{4}Me$

  • Park, Joon T.;Cho, Jeong-Ju;Suh, Il-Hwan;Lee, Jin-Ho;Lim, Sung-Su;Ryu, Bo-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2호
    • /
    • pp.266-271
    • /
    • 1993
  • The reaction of $(CO_5$)M=C(OMe)Tol (M=Cr, Mo, W and $Tol=p-C_6H_4Me)$ and $BBr_3$ followed by treatment with tetramethylethylenediamine (TMEDA) yields a mixture of two diastereomers, trans, $cis-Br(CO)_2(tmeda)M{\equiv}$CTol [M=Cr(1a), Mo(2a), W(3a)] and cis, $trans-Br(CO)_2(tmeda)M{\equiv}$CTol [M=Cr(1b), Mo(2b), W(3b)],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as crystalline solids and characterized by spectroscopic (infrared, mass, $^1H$ and $^{13}C-NMR)$ data. The trans, cis-Br(CO)2(tmeda)Cr${\equiv}$CTol (1a), has been examine via a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study : $BrCrO_2N_2C_{16}H_{23}$, Mr=407.27, triclinic, $P{\bar{1}},\;a=12.792(2),\;b=13.400(5),\;c= 11.645(4)\;{\AA},\;{\alpha}=101.26(2)^{\circ},\;{\beta}=103.04(2)^{\circ},\;{\gamma}=91.88(2)^{\circ},\;{\nu}=1907(1){\AA}^3,\;Z=2,\;{\rho}(calcd)=1.418\;gcm^{-3},\;{\lambda}(MoK{\alpha})=0.71069\;{\AA},\;{\mu}=26.25 cm^{-1},\;F(000)=831.97,\;T=295K,\;R=0.0977$ for 1332 significant reflections $[F_0>5{\sigma}(F_0)]$. There are two essentially equivalent molecules in the crystallographic asymmetric unit. Each molecule is octahedral with the bromide ligand trans to the alkylidyne carbon, the two cis-carbonyl ligands, and the bidentate TMEDA ligand.

Macrophage inhibitory cytokine-1 transactivates ErbB family receptors via the activation of Src i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s

  • Park, Yun-Jung;Lee, Han-Soo;Lee, Jeong-Hyung
    • BMB Reports
    • /
    • 제43권2호
    • /
    • pp.91-96
    • /
    • 2010
  • The function of macrophage inhibitory cytokine-1 (MIC-1) in cancer remains controversial, and its signaling pathways remain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MIC-1 induces the transactivation of EGFR, ErbB2, and ErbB3 through the activation of c-Src in SK-BR-3 breast cells. MIC-1 induced significant phosphorylation of EGFR at Tyr845, ErbB2 at Tyr877, and ErbB3 at Tyr1289 as well as Akt and p38, Erk1/2, and JN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Treatment of SK-BR-3 cells with MIC-1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Src at Tyr416, and induced invasiveness of those cells. Inhibition of c-Src activity resulted in the complete abolition of MIC-1-induced phosphorylation of the EGFR, ErbB2, and ErbB3, as well as invasivenes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expression in SK-BR-3 cel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MIC-1 may participate in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certain cancer cells through the activation of c-Src, which in turn may transactivate ErbB-family receptors.

이중주입 초음파분무법에 의한 메틸암모늄 할로젠화 납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제조 (Preparation of methylammonium lead halide perovskite thin films by dual feed ultrasonic spray method)

  • 김록윤;김태희;박경봉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1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흡수체로 사용되는 메틸암모늄 할로젠화 납(methylammonium lead halide, $MAPbX_3$, X = I, Br)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박막을 이중주입 초음파분무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중주입 초음파 분무법을 통해 $60^{\circ}C$ 이하의 기판온도에서 분무한 후, $75^{\circ}C$에서 5분간 최종열처리 후 $MAPbI_3$ 단일상을 제조할 수 있었다. $8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분무 증착 시에는 페로브스카이트 상의 분해로 인해 구형의 결정립이 막대형태의 프렉탈(fractal) 구조로 변화되었다. $MAPbI_3$ 용액과 $MAPbIBr_2$ 용액의 이중주입을 통해, $MAPbI_3$ 박막에 비해 높은 $100^{\circ}C$의 열처리로 $MAPbI_{3-x}Br_x$ 박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제올라이트 베타 상에서 프로펜과 이소프로판올에 의한 벤젠의 알킬화 반응 (Alkylation of Benzene with Propene and Isopropanol on the β-zeolites)

  • 최고열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95-901
    • /
    • 1999
  • 베타 제올라이트 내의 template를 제거하기 위한 소성처리 조건을 달리하고, 암모늄 이온 교환 및 염산 처리 등의 후처리를 통하여 베타 제올라이트의 산특성을 변형시키고, 이들 촉매 상에서 프로펜 및 이소프로판올에 의한 벤젠의 알킬화 반응을 실시하여 산특성이 이 반응에서 큐멘의 선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Deep bed에서 소성시킨 촉매는 shallow bed에서 소성시킨 촉매에 비하여 브뢴스테드 산점($Br{\ddot{o}}nsted$ acidity, IR $3610cm^{-1}$ band)이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eep bed 소성 시에는 구조 내의 알루미늄 추출에 의해 산성을 나타내지 않는 extraframework aluminum species가 생성되었다. Deep bed에서 처리한 촉매도 암모늄 용액으로 이온교환 시키면 브뢴스테드 산점이 다시 회복되며, 약한 염산 용액으로 처리하면 약간의 브뢴스테드 산점이 나타났다. 그러나 강한 염산으로 처리하면 브뢴스테드 산점뿐만 아니라 구조내의 알루미늄도 추출되었다. Shallow bed에서 처리한 촉매는 큐멘의 선택성이 약 95%로 높으나 deep bed에서 처리한 촉매는 약 90%로 감소하였다. deep bed에서 소성한 경우에도 암모늄 용액이나 약한 염산으로 후처리하면 산성도가 회복되어 큐멘의 선택성이 93%까지 증가하였다. 알킬화제로는 큐멘의 선택성 면에서 프로펜이 이소프로판올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오존처리에 의한 천연유기물질 변화 및 염소 소독부산물 전구물질 제어 (The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and Disinfection By-Product Precursor by Ozone)

  • 손희종;노재순;김상구;강임석;이용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99-1107
    • /
    • 2005
  • 오존 투입농도 $0.5{\sim}3\;mgO_3/mgDOC$에서 $UV_{254}$와 DOC가 각각 $23%{\sim}65%$, $2%{\sim}15%$의 제거율을 나타내었고, THMFP와 HAAFP의 제거율은 오존 투입농도 $0.5{\sim}3\;mgO_3/mgDOC$에서 각각 $17%{\sim}52%$, $9%{\sim}29%$로 나타났다. 오존 투입농도에 따른 수중 천연유기물질의 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 소수성 및 반친수성 유기물질은 오존 투입농도 $0.5{\sim}3\;mgO_3/mgDOC$에서 각각 $37%{\sim}68%$, $35%{\sim}64%$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친수성 유기물질은 $40%{\sim}49%$의 증가율을 보였다. 오존처리에 의한 천연유기물질 특성변화에 따른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능 변화를 조사한 결과, 소수성 및 반친수성 유기물질에서 생성되는 THMFP와 HAAFP는 오존 투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친수성 유기물질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존처리에 의한 단위 DOC당 THMFP와 HAAFP의 변화에서 두 물질 모두 오존처리에 의해 단위 DOC당 생성능의 감소를 보였고, 오존 투입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단위 DOC당 HAAFP 보다는 THMFP의 경우가 오존처리에 따른 제거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존 투입농도별 천연유기물질 특성변화에 따른 단위 DOC당 THMFP 및 HAAFP 변화를 조사한 결과, 소수성, 반친수성 및 친수성 유기물질에서의 단위 DOC당 THMFP 및 HAAFP 모두 반응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THMFP와 chloroformFP에 대한 오존 투입농도별 제거특성은 Br-THMFP의 경우 오존 투입농도에 따라 제거율 및 단위 DOC당 THMFP 제거율이 chloroformFP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r-HAAFP와 DCAAFP와 TCAAFP에 대한 오존 투입농도별 제거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 TCAAFP는 오존 투입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 및 단위 DOC와의 반응성 감소율도 증가하였으나, DCAAFP는 오존처리 전 후로 제거율 및 단위 DOC와의 반응성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Br-HAAFP의 경우는 $1\;mgO_3/mgDOC$ 이상의 오존 투입농도에서는 제거율의 상승은 나타나지 않았고, Br-THMFP에 비하여 오존처리에 의해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에서 소독부산물 생성능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오존 투입농도를 결정한다면 $1\;mgO_3/mgDOC$가 적정 오존 투입농도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