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MI (Body Mass Index)

검색결과 1,777건 처리시간 0.023초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비만 지표 평가 (Assessment of Obesity Indices in Consideration of Gender and Age)

  • 민경훈;이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46-4053
    • /
    • 2011
  • 종합검진센터에 방문한 성인 남녀 3281명을 대상으로 병원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만을 효율적이며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별 다른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의 절단값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 3281명 중 남성은 1505명(45.9%), 여성은 1776명(54.1%)이었다. 평균 체지방량은 남성이 22.2%, 여성이 29.9%, 평균 체질량지수는 남성이 24.4kg/$m^2$, 여성이 22.9kg/$m^2$였으며, 평균 허리둘레는 남성이 86.2cm, 여성이 76.9cm이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획일적인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기준치는 성별, 연령별 달라지는 실제 체지방량을 잘반영한다고 볼 수 없으며, 향후 출장검진 시 신체계측만으로 비만을 진단할 때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 체지방량을 고려한 새로운 기준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식이 섬유소 및 실크 펩타이드 보충이 영양소 섭취상태 , 체적지수 및 복부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sequent Nutrient Intake Status , Body Mass Index , and Fat Distribution after Silk Amino Peptide and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 이성희;최애진;송수진;류정민;노숙령;황영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2호
    • /
    • pp.175-184
    • /
    • 2002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equent nutrient intake status, influence of body mass index(BMI), and fat distribution on the silk amino peptide(SAP) and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During 2 months of this research (January to March, 2002), 45 women aged 20yr – 30yr (average age 24.6yr) were selected as subjects. Nutrient intak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24-hr recall method. Antropometric assessment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by SBIA method(Segmental bioimpedance assay, In body 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an body weight 57.7kg, mean body height 161.9cm mean BMI 22.0, and mean food habit score was 8.47. Defecation frequency was increased by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Frequency of pain during defec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p<0.01). Feeling of residual fec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p<0.001). Status of energy and carbohydrate intake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P<0.05). Body fat and WHR(waist hip ratio)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P<0.001), and percent body fat was decreased by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P<0.05). Abov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etary fiber-added routine diet improves defecation condition, and lessens body fat, percent body fat without losing body muscle. Especially, declination of abdominal fat and WHR were notable. That meant decreased risk factor.

  • PDF

복부 CT 검사에서 ASIR의 적용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Ratio of ASIR in Abdominal CT)

  • 김현진;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5-101
    • /
    • 2019
  • 본 연구는 AEC를 이용하여 복부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ASIR의 적용을 달리하여 노이즈의 변화와 이에 따른 영상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표준체격에서 가장 적합한 ASIR의 적용 값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체질량 지수가 25 이하인 환자 군에서는 ASIR의 적용을 50%로 증가하면 FBP만 적용하여 검사하는 것과 비교하였을 때 CTDIvol 58.17%, DLP 60.49%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BMI에 따른 노이즈와 SNR값의 비교분석 결과 BMI가 증가할수록 노이즈는 증가하였으나 ASIR의 적용으로 인하여 FBP만 적용한 경우보다 노이즈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하여 ASIR의 적용을 증가시킬수록 SNR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웹 기반 신체 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Web based Body Change Monitoring System)

  • 이종원;고경모;강희범;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15-620
    • /
    • 2016
  • 삶의 질이 향상되어 높은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를 가진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만관리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예방을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개발이 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체질량 지수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질량 지수의 변화를 이해하고 체질량 지수를 그래프 화 한 것을 활용하여 운동을 할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와 비슷한 체질량 지수를 가지고 있는 타 사용자의 데이터를 표로 나타내 운동 계획을 세울 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 기구를 추천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만성 질환자들을 고려하여 혈당, 혈압 등 수치에 따라 운동 기구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웹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청소년에서 유용한 비만의 선별검사와 비만도, BMI 및 혈청지질과의 관계 (Effective Screening Test for Obesity in Obese Adolescents and the Correlation Among Obesity Index, Body Mass Index and Serum Lipid Profile)

  • 성태정;김달현;홍영진;손병관;장경자;박준영;김순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217-223
    • /
    • 2003
  • 목 적 :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은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아와 청소년기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비만을 진단하는 기준 중, 어떤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비만아 선별검사에 좀더 유용한가에 대해 알아보고, 이렇게 선별된 비만아에서 비만과 관련된 여러 심혈관계 성인병 발생 위험 인자 중 조기에 예측 가능한 인자를 알아내어, 어떠한 인자가 추적관찰에 유용한지 알아보았다. 방 법 : 2001년 7월부터 11월까지 한국건강관리 협회와 인천광역시 교육청 주관으로 비만도 20% 이상인 중 고등학생 2,814명(남 : 녀=2,011 : 803)을 대상으로 하여 체중, 신장, 신체측정, 혈청지질(총 콜레스테롤, 혈청지질,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결 과 : 비만도 20% 이상인 중고생에서 BMI 95 백분위수 이상은 86.6%였으며, 체지방 기준에 의한 비만은 93.2%, 피하지방 두께에 의한 비만은 45.6%였다. BMI에 따른 비만아 중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남아 21.0%, 여아 21.4%를 보였고, 비만도에 따라 나눈 남아 20.7%, 여아는 19.2%로 BMI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MI에 따라 판정된 비만아를 세분하여 제 I도 과체중(고위험군, group I), 제 II도 과체중(비만, group II), 제 III도 과체중(과비만, group III)으로 나누어 보면, 남아에서는 고중성지방의 빈도가 group I에서는 15.0%, group II에서는 23.2%, group III은 34.5%로 비만할수록 더욱 증가하였고, 여아에서는 group I에서는 11.8%, group II는 20.7%, group III은 28.2%였다. 비만도에 의하면 남아에서 경도비만은 17.2%, 중증도 비만은 29.2%, 고도비만은 39.7%였고, 여아에서는 10.0%, 19.5%, 29.8%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비만시 혈청지질 검사를 BMI만으로 하였을 경우 10.0-17.0%의 누락을 보였으므로 BMI 기준에 의한 혈중 지질의 측정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비만할수록 높아지는 고지혈증의 빈도는 비만도에 의한 것이 BMI보다 더 잘 반영하였다. 따라서 성인병 선별검사는 비만도에 의한 것이 좀더 누락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심혈관 질환발생 위험 예측인자로는 남녀 모두 비만할수록 중성지방이 증가하여 중성지방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성인남성에서 흡연, 음주, 비만지표가 심뇌혈관계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Young Men: Focusing on Obesity Indices)

  • 김철규;이시향;차선경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drinking, smoking, and obesity indices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Korean young 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234 young men, aged 20 to 39 years.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PBF), body fat mass (kg), and waist hip ratio (WHR) were measured as obesity indices.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fasting blood sugar (FBS),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were measured as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9.4.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BMI for SEP; age, degree of drinking, body fat mass for DBP; WHR for TC; WHR and age for TG; age, degree of smoking and PBF for HDL-C; WHR, age and degree of smoking for LDL-C. Conclusion: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need to be considered i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programs for young men.

건강한 노인에서 심장-발목 혈관지수로 측정한 동맥 경직도와 체질량 지수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Arterial Stiffness as Measured by the Cardio-Ankle Vascular Index with Body Mass Index in Healthy Elderly Subjects)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7-285
    • /
    • 2019
  • 비만과 혈관 경직도간에 역상관 관계가 보고되고 있으나, 고령자나 노인에서는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CAVI로 측정한 동맥 경직도와 BMI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경기지역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65세 이상 건강한 노인을 6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은 US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의 Adult Treatment Panel (ATP) III의 기준에 따랐으며, NCEP-ATP III의 기준 중 허리둘레 및 비만기준은 WHO의 기준에 따랐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생화학적 혈액검사 및 CAVI를 측정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CAVI치는 정상체중군보다 비만군에서 낮았으며, 성별(P=0.047), 연령(P<0.001), BMI (P<0.001), 허리둘레(P=0.009)는 CAV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성별, 높은 혈압, 고혈당은 CAVI치의 독립적인 정적 예측인자이지만, 비만은 부적 예측인자로 나타나 CAVI와 BMI는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CAVI와 BMI간에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BMI로 측정한 비만은 CAVI의 부적 예측인자였다.

여대생의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및 운동 습관에 따른 식사다양성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Variety by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Exercise Habit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이보경;이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70-58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ietary variety by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exercise habits in 138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Bucheon and its adjacent area. Body mass index(BMI), waist circumference (WC) and exercise habits were assessed via a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and a 3-day dietary recall surve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Dietary variety was assessed by dietary diversity score(DDS), meal balance score(MBS), and dietary variety score(DVS). The average BMI, WC, DDS, MBS, and DVS were $20.7{\pm}2.59\;kg/m^2$, $69.3{\pm}5.03\;cm$, $3.87{\pm}0.57$, $7.27{\pm}1.48$, and $12.59{\pm}3.14$, respectively. The DDS for breakfast, lunch, supper and snack were $1.80{\pm}0.92$, $2.45{\pm}0.48$, $2.49{\pm}0.55$ and $0.53{\pm}0.52$, respectively. DDS, MBS, and DV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MI, WC and exercise habits. However, DDS for breakfast and supper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and lower(p<0.05) respectivly in subjects who exercised regularly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exercise regularly. And DDS for snac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hose awareness of health status was good or somewhat compared to those whose that was bad(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utritional education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ating variety and regular exercise may be required to improved dietary variety.

직업 남성의 잦은 외식과 아침결식이 체질량지수 및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Effects of Frequent Eating-out and Breakfast Skipping on Body Mass Index and Nutrients Intake of Working Male Adults: Analysis of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 이정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89-797
    • /
    • 200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quent eating-out and breakfast skipping of working men on body mass index and nutrients intake status, working male adults aged 20 or over were selected (n = 1883) from the data of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eating-out frequency(high: once or more daily, low: less than once daily) and breakfast eating or not. Four groups were high eating-out with breakfast eating (n = 609), high eating-out with breakfast skipping (n = 192), low eating-out with breakfast eating (n = 877), and low eating-out with breakfast skipping (n = 205). High eating-out group showed higher body mass index (BMI) than low eating-out group, but the difference of BMI was disappeared when adjusted with age, residence region and family income. However high eating-out group in case of breakfast eating, compared with the low eating-out, showed higher intakes or densities of energy, fat, fat-energy% and higher ratio of energy-fat overintake, and also showed higher mean nutritional adequacy ratio and lower ratio of nutrients intake deficiency. Calcium, iron, vitamin A and C intakes were not affected by eating-out frequency, but were lowered by breakfast skipping. Breakfast skipping also decreased intake frequency of unprocessed cereals and increased those of ramyon and carbonated and alcoholic beverages. From the results frequent eating-out with breakfast eating caused increased intakes of energy and fat, but did not cause BMI increase. Breakfast skipping, but not eating-out, had negative influences on mineral and vitamin intakes. Accordingly good eating-out as well as breakfast eating should be exceedingly emphasized at nutrition education for the working m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