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S

검색결과 3,005건 처리시간 0.038초

새로운 질소-산소계 여러 자리 리간드의 합성 및 전이금속(Ⅱ)이온 착물의 안정도상수 (Syntheses of New Nitrogen-Oxygen Multidentate Ligands and Their Stability Constants of Transition Metal(Ⅱ) Ions)

  • 김선덕;장기호;김준광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9-548
    • /
    • 1998
  • 여러자리 산소-질소계 리간드들은 시프염기 리간드인 Bis(salicylidene)-ethylendiamine(BSED), Bis(salicylidene)-propylenediamine(BSPD), Bis(salicylidene)-diethylenetriamine(BSDT), Bis(salicylidene)-triethylenetetraamine(BSTT) 및 Bis(salicylidene)-tetraethylenepentaamine(BSTP)의 이민기를 수소환원장치에서 백금촉매를 이용하여 네자리 리간드인 N,N'-bis(2-hydroxybenzyl)-ethylenediamine(BHED)과 N,N'-bis(2-hydroxybenzyl)-propylenediamine(BHPD), 다섯자리 N,N'-bis(2-hydroxybenzyl)-diethylenetriamine(BHDT), 여섯자리 N,N'-bis(2-hydroxybenzyl)-triethylenetriamine(BHTT), 일곱자리 N,N'-bis(2-hydroxybenzyl)-tetraethylenepentaamine(BHTP) 리간드들을 합성하였다. 리간드들의 양성자 해리상수와 전이금속(Ⅱ)과 착물의 안정도상수는 전위차 적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리간드별 전이금속(Ⅱ)이온에 대한 착물 안정도상수값$(logK_{ML})$의 크기는 BHED아연(Ⅱ)의 순서로 이 결과는 Irving-Williams 서열과 잘 일치하여 증가하였다.

  • PDF

저점도 Bis-GMA 유도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계 치과 수복용 복합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ymeric Dental Restorative Composites Fabricated from Bis-GMA Derivatives Having Low Viscosity)

  • 전미영;송정오;김창근
    • 폴리머
    • /
    • 제31권6호
    • /
    • pp.491-496
    • /
    • 2007
  • 고분자계 치아 수복용 복합재에서 2,2-bis[4-(2-hydroxy-3-methacryloyloxy propoxy) phenyl] propane(Bis-GMA) 70 wt%와 희석제인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TEGDMA)가 30 wt% 포함된 혼합물이 레진 기질로 사용되고 있다. Bis-GMA의 높은 점도로 인해 첨가되는 TEGDMA는 수복재의 높은 경화 수축과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TEGDMA 첨가량을 감소시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수복재를 제조하기 위해 저점도 Bis-GMA 유도체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하였다. 히드록실기를 포함하지 않는 Bis-GMA 유도체들의 경화 특성은 Bis-GMA와 비슷하였지만 이들의 흡습성과 점도는 Bis-GMA에 비해 크게 낮았다. Bis-GMA 유도체를 포함한 수복재를 제조하여 경화 수축률, 흡습성, 기계적 물성을 실험한 결과 기존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수복재보다 낮은 흡습성과 탁월한 물성을 나타내었고, 경화 수축률도 약 25% 감소하였다.

Effect of BIS depletion on HSF1-dependent transcriptional activation in A549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Yun, Hye Hyeon;Baek, Ji-Ye;Seo, Gwanwoo;Kim, Yong Sam;Ko, Jeong-Heon;Lee, Jeong-Hwa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4호
    • /
    • pp.457-465
    • /
    • 2018
  • The expression of BCL-2 interacting cell death suppressor (BIS), an anti-stress or anti-apoptotic protein, has been shown to be regulat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by heat shock factor 1 (HSF1) upon various stresses. Recently, HSF1 was also shown to bind to BIS, but the significance of these protein-protein interactions on HSF1 activity has not been fully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that complete depletion of BIS using a CRISPR/Cas9 system in A549 non-small cell lung cancer did not affect the induction of heat shock protein (HSP) 70 and HSP27 mRNAs under various stress conditions such as heat shock, proteotoxic stress, and oxidative stress. The lack of a functional association of BIS with HSF1 activity was also demonstrated by transient downregulation of BIS by siRNA in A549 and U87 glioblastoma cells. Endogenous BIS mRNA levels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in BIS knockout (KO) A549 cells compared to BIS wild type (WT) A549 cells at the constitutive and inducible levels. The promoter activities of BIS and HSP70 as well as the degradation rate of BIS mRNA were not influenced by depletion of BIS.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mutant BIS construct, in which 14 bp were deleted as in BIS-KO A549 cell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T BIS construct, indicating that mRNA stability was not the mechanism for autoregulation of BIS. Our results suggested that BIS was not required for HSF1 activity, but was required for its own expression, which involved an HSF1-independent pathway.

2,2-Bis[4-(2-methoxy-3-methacryloyloxy propoxy) phenyl] propane을 함유한 상아질 접착레진의 물성이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trength and wetting characteristics of Bis-GMA/TEGDMA-based adhesives on the bond strength to dentin)

  • 박은숙;김창근;배지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2호
    • /
    • pp.139-148
    • /
    • 2011
  • 연구목적: 치과용 접착제에서 기저단량체로 사용되는 Bis-GMA를 Bis-M-GMA로 대체한 접착레진이, Bis-GMA/TEGDMA 를 사용한 접착제와 비교할 만한 물성과 접착강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다양한 구성비의 Bis-GMA, Bis-M-GMA 및 TEGDMA 를 함유한 접착레진을 제작하여, 점도(${\eta}$), 중합률(DC) 및 굴곡강도(FS)를 측정하고, 상아질에 대한 미세인장접착강도(MTBS)를 측정하였다. 해석을 위해 각 단량체들의 용해도 상수(${\delta}_t$)를 비교하였고, 접착계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Bis-M-GMA의 점도는 3.65 Pa s로 크게 감소하였다. Bis-GMA를 함유하지 않는 접착레진은 Bis-GMA를 함유한 접착레진에 비해 낮은 굴곡강도를 보였다(p < 0.05). TEGDMA 함량이 낮은 접착레진은 TEGDMA 함량이 높은 접착레진에 비해 낮은 미세인장접착강도를 보였으며(p < 0.05),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에서 균열이나 틈이 관찰되었다. 결론: 높은 접착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접착레진의 높은 굴곡강도와 초기 중합률 뿐 아니라, 접착레진과 primer 처리 된 상아질 사이의 용해도 상수의 적합성도 요구되었다.

치과 수복재용 복합레진의 기계적 물성에 대한 연구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s for dental restorative)

  • 류호남;이광래
    • 산업기술연구
    • /
    • 제35권
    • /
    • pp.31-34
    • /
    • 201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diametral tensile strength,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Vickers hardness) of 4 kinds of composit resins; Bis-GMA based composit, Bis-EMA based composit, Bis-GMA/UDMA based composit, and Bis-EMA/UDMA based composit, The composit resin based Bis-GMA showed strong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Bis-EMA.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UDMA to both Bis-GMA based composit and Bis-EMA based composit highly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 resins prepared in this study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mmercialized products in market(Charmfil flow(Denkist), Quadrant flow(CAVEX)), since the composit resins prepared in this study has much lower inorganic filler content of 43wt% comparing with 50~70wt% inorganic filler content of the commercialized products.

  • PDF

버스정보시스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us Information System's Efficiency)

  • 이정근;최석우;황병옥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12
    • /
    • 2006
  • 현재 각 지자체별로 ITS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며 대시민 서비스차원에서 버스정보시스템(BIS)이 우선적으로 도입,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버스정보시스템의 대표적인 위치추적 및 무선통신방식으로 DSRC+DSRC방식, GPS+무선통신망, Beacon+Beacon이 각 지자체별 특성에 맞게 구축, 운영중에 있다. 지금까지 BIS 시스템에 대한 평가는 각 지자체별로 사전, 사후분석의 설문조사항목을 통해 정성적 평가만 수행되었으며 시스템의 성능에 대한 평가는 실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까지의 시행하였던 BIS 시스템에 대한 평가방안을 기초로 성능평가를 포함한 새로운 평가방안을 수립하여 각 BIS 방식별 대표시스템을 선정, 도착정보 신뢰도와 무선통신성공율의 효과척도를 적용하여 해당 시스템의 신뢰도나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1,4-Bis(silyl)benzene의 고리화반응에 의한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s 리간드의 합성 (Synthesis of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s)

  • 공영건;안영만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2-87
    • /
    • 1997
  • 다양한 bis(silacyclopentadienyl)aromatic 화합물 합성에 필요한 전구체인 1,4-bis(alkyldichlorosilyl)benzene을 합성하였다. 이 전구체에 1,4-dilithio-1,2,3,4-tetraphenyl-1,3-butadiene을 첨가하여 고리화반응을 시킴으로써 리간드로 또는 안정한 silacyclopentadienyl anion 전구체로 사용될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을 합성하였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ar-shaped imide compounds

  • Jeon, Eunju;Yoon, Tae-Ho
    • Rapid Communication in Photoscience
    • /
    • 제1권1호
    • /
    • pp.19-20
    • /
    • 2012
  • Novel star-shaped imide compounds containing electron-donating triphenylamine and/or electron-withdrawing bis(trifluoromethyl)phenyl side groups were synthesized via a two-step process. First, 3,6-dibromo-benzene-1,2,4,5-tetracarboxylic acid (2B4BA) was reacted with 4-aminophenyl (diphenylamine) (ATPA) or 3,5-bis(trifluoromethyl)aniline (6FA) by imide reaction. Then, Suzuki coupling reaction was carried out on these compounds with 4-(N,N-diphenylamino)-1-phenyl boronic acid (BTPA) or 3,5-bis(trifluoromethyl)phenyl boronic acid (6FBB), resulting in 3,6-bis[4-(diphenylamino)phenyl]-N,N'-bis[4-(diphenylamino) phenyl]-pyromellitimide (TPTPPI), 3,6-bis[3,5-bis(trifluoro methyl) phenyl]-N,N'-bis[3,5-bis(trifluoromethyl) phenyl]-pyro mellitimide (6F6FPI) or 3,6-bis[4-(diphenylamino)phenyl]-N,N'-bis[3,5-bistrifluoromethyl)phenyl]-pyromellitimide (6FTPPI). The imide compounds obtained were characterized by NMR, FT-IR, DSC, TGA, melting point analyzer, EA, and solubility measurements. In addition, their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fluorescence spectroscopy, UV-vis spectroscopy, and cyclic voltammetry (CV). 6F6FPI exhibited deep blue emission (443 nm), along with high $T_m$ ($382^{\circ}C$) and relatively high $T_g$ ($148^{\circ}C$).

상호저축은행의 BIS자기자본비율 조정 실태분석 (BIS Capital Adequacy Ratio Management by Mutual Savings Banks)

  • 김대범;이종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03-218
    • /
    • 2019
  • 본 연구는 2011년 6월말 현재 금융감독원의 감독대상이 되는 104개의 상호저축은행을 표본으로 하여, 상호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된 2011년 전 후의 BIS자기자본비율 비교를 통하여 상호저축은행이 인위적으로 BIS자기자본비율을 유지 조정하기 위하여 어떤 수단을 사용하여 왔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상호저축은행은 BIS자기자본비율 조정을 위해 주로 대손충당금을 사용하여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손충당금을 이용한 상호저축은행의 BIS자기자본비율 조정은 특히 2011년 6월말 현재 영업정지 중인 상호저축은행에서 좀 더 유의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외부감사인의 역할과 관련하여 예상과는 달리 Non-Big 4 감사인 뿐만 아니라 Big 4 감사인도 상호저축은행의 인위적인 BIS자기자본비율 조정을 효과적으로 감시하지 못하였음을 발견하였다.

Bis(trichlorophenoxy) ethane(BTPE)의 합성 및 살충효력에 관한 연구(I) (Studies on insecticidal activity and synthesis of Bis (trichlorophenoxy) ethane)

  • 김종석;김화웅;김명화;강신완;이대수;이의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47-50
    • /
    • 1965
  • Chlorophenol 유도체들이 농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저자들은 Trichlorophenol과 Dibromoethane으로 Bis(2,4,5-trichlorophenoxy) ethane 과 Bis(2,4,6-trichlorophenoxy) ethane을 합성하고 mice에 대한 독성 및 Bis(2,4,5-trichlorophenoxy) ethane의 귤응애, 누에 및 무우잎별레에 대한 살충작용을 Phenkapton, Tedion V-18. BHC 및 DBT 등과 비교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Bis(2,4,5-trichlorophenory) ethane의 yield 는 8.0g $(50.06\%)\;(m.p. 157-159^{\circ}C)$이며 Bis(2,4,6-trichlorophenoxy) ethane 의 yield는 5.2g $(32.60\%)\;(m.p. 162-163^{\circ}C}$였다. (2) Bis(2,4,6-trichlophenoxy) ethane의 귤응애(Citrusred mite)에 대한 살충작용은 Tedion V-18 보다 강하고 Phenkapton에 비해서는 약하다. (3) 누에 (Bombix mori)에 대한 살충작용은 BHC 및 DDT보다 약하다. (4) 무잎별레(Daikon leaf beetle)에 대해서는 살충력이 없였다. (5) 2,4,5-BTPE 및 2,4,6-BTPE는 체중 k9당 5g씩 mice에 경구투여한 바 72시간동안 한 마리도 죽지 않아 독성은 적은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