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G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3초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뇌신경절 (Cerebral ganglion)의 미세구조 (A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Cerebral Ganglion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3호
    • /
    • pp.303-313
    • /
    • 1999
  •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뇌신경절내 5종류의 신경분비세포, light green (LG) cell, dark green (DG) cell, caudo-dorsal (CD) cell, blue green (BG) cell, yellow (Y) cell과 신경망(neuropils) 둥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G세포는 $60{\mu}m$정도 크기의 원형 또는 난원형의 세포로서 핵과 세포질은 전자밀도가 낮아서 밝게 보였다. 핵질내에는 굵은 과립상의 염색질들이 고르게 발달해 있었고, 둥근 인도 관찰되었다. 세포질에는 평균 $0.4{\mu}m$ 정도 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들이 밀집되어 있었다. DG세포는 비교적 드물게 관찰되는 $50{\mu}m\sim20{\mu}m$정도 크기의 난원형의 세포로서 전자밀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세포질 속에는 과립성소포체, 미토콘드리아 등 세포소기관과 평균 $0.2{\mu}m$정도 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들을 소지하고 있었다. CD세포들은 뇌신경절의 양측 미배부위 (caudo-dorsal parts)에 밀집되어 있는 타원형의 세포로서 세포질에 비해 큰 핵을 소지하고 있었다. 핵질속에는 과립상의 이질 염색질들이 발달해 있었으며 세포질 속에는 평균 $0.12{\mu}m$정도 크기의 비교적 작은 많은 둥근 과립들을 소지하고 있었다. BG세포는 뇌신경절의 신경내막 주변부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장타원형의 세포로서 전자밀도가 높아서 검게 보였다. 세포질에는 평균 $0.1{\mu}m$정도 크기의 작은 둥근 과립들이 보였다. Y세포는 신경분비세포 중 가장 작은 세포(크기 $9\times6.6{\mu}m$)로서 뇌신경절의 중배부위 (medio-dorsal parts)와 미배부위 (caudo-dorsal parts) 사이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이들의 세포질에는 평균 $0.08{\mu}m$정도 크기의 매우 작은 둥근 과립들이 집단을 이루고 있었다. 신경망은 뇌신경절의 중앙부위에 위치해 있으며 축색 종말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 (직경 $0.07\sim0.03{\mu}m$)과 투명소포(직경 $0.03{\mu}m$)들이 다수 존재하였는데 이들은 축색종말의 한계막이 함입되어 (invagination)형성된 exocytosome 상태로 배출되는 특징을 보였다.

  • PDF

잇솔질과 구취감소보조용품제가 구취감소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uxiliary Goods and Tooth Brushing for the Reduction of Oral Malodor)

  • 오혜승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9-133
    • /
    • 2007
  • 본 연구는 현재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S보건대학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위적인 구취를 발생시킨 후 실험 전, 양파즙 가글 직 후, 실험 5분, 실험 10분, 실험 20분, 실험 30분경과에 따른 구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대상을 잇솔질만 시행한 실험군 (실험군 A), 보조용품만 시행한 실험군 (실험군 B), 어떤 보조용품도 사용치 않은 상태에서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를 측정한 실험군 (실험군 C)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보조용품군을 가글액 사용군, 껌 저작군, 현미녹차 섭취군, 혀솔질군 등으로 나누어 잇솔질을 대처할 수 있는 최적의 구강보조용품이 어떤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1. 실험군 A와 실험군 BG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의 변화는 실험 30분 경과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2. 실험군 A와 실험군 BC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의 변화는 실험 20분 경과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3. 실험군 A와 실험군 BT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는 실험 20분 경과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4. 실험군 A와 실험군 BO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의 변화는 실험 전에서 실험 30분 경과까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5. 실험군 C는 실험군 A, B,군에 비하여 아주 높은 수치를 보이며 실험 30분 경과까지 구취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잇솔질을 시행하지 못한 경우 가그린, 껌 저작, 현미녹차섭취, 혀 긁겅이 중에서 가그린의 사용이 구취감소에 가장 효과적이였다.

  • PDF

Effect of Non-starch Polysaccharides and Resistant Starch on Mucin Secretion and Endogenous Amino Acid Losses in Pigs

  • Morel, Patrick C.H.;Melai, J.;Eady, S.L.;Coles, G.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634-1641
    • /
    • 2005
  • Generally, dietary fibre (DF) includes lignin, non-starch polysaccharides (NSP) and resistant starch (RS). In monogastric species, low levels of dietary fibre in the diet are associated with various diseases and high levels reduce nutrient digestibil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NSP (soluble: $\beta$-glucan, insoluble cellulose) and resistant starch on mucin secretion and endogenous nitrogen and amino acid losses in pig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25 five-week-old weaner pigs (9.5 kg${\pm}$1.5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each of five experimental diets. Different levels of purified barley $\beta$-glucan (BG) extract (5 or 10% of $Glucagel^{(R)}$ $\beta$-glucan, providing 4 or 8% of BG in the diet), and resistant starch (RS) (8.3 or 16.6% of Hi-$Maize^{TM}$, providing 5 or 10% RS in the diet) were substituted for wheat starch in a purified diet in which enzymatically-hydrolysed casein was the sole source of protein. The diets were fed for 21 day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p>0.05) was observed for growth performance and organs weights. No difference in ileal starch digestibility was observed between pigs on the cellulose or $\beta$-glucan diets. However, as the level of resistant starch in the diet increased the ileal starch digestibility decreased (p<0.05). The inclusion of resistant starch in the diet (5 or 10%) did not increase mucin production when compared with the cellulose-only diet. However, as the level of beta-glucan in the diet increased, both crude mucin in the digesta dry matter and per kg dry matter intake increased (p<0.05). Pigs fed the diet containing 8% of beta-glucan had higher endogenous loss flow than those fed the diets including 5 or 10% of resistant starch or 4% of $\beta$-glucan. In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resistant starch increased the level of starch reaching the large intestine without any effect on mucin secretion, or endogenous nitrogen or amino acid losses content in the small intestine. The addition of $\beta$-glucan to a diet containing cellulose increases both mucin secretion and endogenous amino acid and nitrogen losses in the small intestine.

여러 종류의 동해방지제를 이용한 소 체외수정란의 동결 및 일단계 융해후의 체외배양 생존율 및 수태율

  • Suzuki, T.;Takagi, M.;Yamamoto, M.;Boediono, A.;Saha, S.;Sakakibara, H.;Oe, M.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1997년도 국제학술대회 및 Workshop
    • /
    • pp.9-15
    • /
    • 1997
  • 치밀 난구세포로 둘러싸인 소 난자를 $38^{circ}C$. 5% $CO_2$ 배양기에시 5% superovulated cow serum(SCS)이 첨가된 m-TCM 199 medium 으로 $20{\sim}22$ 시간 배양하였으며, 수정능이 획득된 정자와 체외수정하였다. 7일${\sim}$8일경의 수정란을 1.3M methyl cellosolve(MC), 1.1M diethylene glycol(DEG), 1.8M ethylene glycol(EG), 1.6M propylene glycol(PG) 및 1.1M 1,3-butylene glycol(BG) 용액에서 10분간 평형시킨 후 0.25 ml 스트로내에 장전하였다. 스트로를 $0^{\circ}C$의 alcohol bath freezer에 넣고 $-6^{\circ}C$까지 $-1^{\circ}C$/분 속도로 냉각, 식빙 후 10분간 정체시켰으며, $-0.3^{\circ}C$/분 또는 $-0.5^{\circ}C$/분으로 $-30^{\circ}C$까지 냉각 후 스트로를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보관하였다. 수정란이 들어있는 스트로를 $30^{\circ}C$ 온수에서 융해하였으며, 수정란을 TCM 199 medium 으로 옮긴 후 5% SCS가 첨가된 TCM 199 medium 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수정란이 양호한 형태를 유지하며 나중의 발육단계로 진행된 것을 생존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각 종류의 동해방지제에서 동결된 수정란의 일부는 융해 후 동해방지제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비외과적으로 이식하였다. 동결-융해 후 동해방지제의 종류에 따른 탈출배반포 발달율은 EG 50.0%, MC 53.6%, DEG 56.9%, PG 58.0% 그리고 BG 11.5%였다. $-0.3^{\circ}C$/분 또는 $-0.5^{\circ}C$/분 으로 냉각한 수정란의 생존율은 두 그룹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P<0.05), 탈출배반포 발달율은 -0.5분 $^{\circ}C$/분(22.6%, 12/53)보다 $-0.3^{\circ}C$/분(64.6%, 31/48) 냉각시에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동해방지제의 종류에 따른 수정란의 수태율은 MC 48%(10/21). DEG 30%(3/10), EG 74%(20/27) 및 PG 40%(4/10) 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MC, DEG, EG 그리고 PG는 소의 체외수정란의 동결을 위한 동해방지제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PREGNANCY RATE AND SURVIVAL IN CULTURE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EMBRYOS FROZEN IN VARIOUS CRYYOPROTECTANTS AND THAWED USING A ONE-STEP SYSTEM

  • Suzuki, T.;Takagi, M.;Yamamoto, M.;Boediono, A.;Saha, S.;Sakakibara, H.;Oe, M.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1997년도 국제학술대회 및 Workshop
    • /
    • pp.27-34
    • /
    • 1997
  • Bovine oocytes surrounded with compact cumulus cells were cultured for 20 to 22 hours($38^{\circ}C$, 5% $CO_2$) in modified TCM-199 medium supplemented with 5% superovulated cow serum(SCS) and inseminated by in vitro capacitated spermatozoa. Day 7 to 8 embryos were equilibrated for 10 minutes in 1.3M methyl cellosolve(MC) <1.1M diethylene glycol(DEG), 1.8M ethylene glycol(EG), 1.6M propylene glycol(PG) and 1.1 M 1,3-butylene glycol(BG) solutions. They were then loaded into 0.25ml straws, placed into an alcohol bath freezer at $0^{\circ}C$, cooled from $0^{\circ}C$ to $-6^{\circ}C$ at $-1^{\circ}C$/minute, seeded, held for 10 minutes, and stored in liquid nitrogen. After thawing in $30^{\circ}C$ water, the embryos wee rehydrated in TCM-199 medium and then cultured for 48 hours in TCM-199 plus 5% SCS. Embryos were considered viable if they progressed to later developmental stages with a good morphology. Some of the embryos frozen in each cryoprotectant were thawed and transferred non-surgically without removing the cryoprotectant. Hatched embryos survived freezing and one-step dilution as follows : EG(50.0%), MC(53.6%), DEG(56.9%), PG(58.0%) and BG(11.5%). The survival rate of embryos cooled at -0.3^{\circ}C$ vs. $-0.5^{\circ}C$/minu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however, blastocysts hatched most often (P<0.01) in vitro when cooled at a rate of $0.3^{\circ}C$/minute(64.6%), 31/48) than at $-0.5^{\circ}C$/minute(22.6%, 12/53). Pregnancy rates resulting from embryos frozen in the different cryoprotectants were as follows : MC(48%, 10/21); DEG(30%, 3/10); EG(74%, 20/27); and PG(40%, 4/1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C, DEG, EG and PG have utility as cryoprotectants for the freezing and thawing of IVF Bovine embryos.

  • PDF

보기막성방(補氣膜性方)이 Cationized Bovine Serum Albumin투여로 유발된 Mouse의 Membranous Nephropathy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ogimakseong-bang(補氣膜性方) Treatment on cBSA-induced Membranous Nephropathy in Mouse Model)

  • 이정원;조충식;깅철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083-1099
    • /
    • 2008
  • Objective : We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Bogimakseong-bang(BGMSB) treatment on cBSA-induced MN in a mouse model. Methods : We divided 20 mice into 4 groups. The normal group (NR) had no treatment. We used cBSA to induced MN to the other 3 groups. One group (CT) was treated with cBSA (7mg/kg i.p) only. The second (BG-250) was treated with cBSA (7mg/kg i.p) and BGMSB extract (250mg/kg, p.o). The third group (BG-500) was treated with cBSA(7mg/kg i.p) and BGMSB extract (500mg/kg, p.o). After cBSA and BGMSB extract treatment for 4 weeks, proteinuria, serum albumin, total cholesterol, serum creatinine, BUN, total nucleated spleen cell number and total infiltrated kidney cell number of all groups were measured. CD3e+/CD19+ and CD4+/CD8 cells ratio of peripheral blood, kidney and spleen of all groups were analyzed. $IL-1{\beta}$ and $TNF-{\alpha}$, IL-6, IgG, IgM, and $IFN-{\gamma}$ levels of all groups were gauged. Histological analysis of kidney tissu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CD4 CD8) of kidneys were observed. Results : Proteinuria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erum albumin increased in groups treated with cBSA and BGMSB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Total cholesterol de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CD3e+/CD19cells ratio of peripheral blood decreased. CD3e+/CD19+ and CD4+/CD8 cells percentage of kidney and spleen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Level of $IL-1{\beta}$, $TNF-{\alpha}$ and IL-6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FN-{\gamma}$ increased but has not significantly. Concentration of IgG and IgM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Thickness of GBM decreased on histological analysis of kidney. Deposition of CD4 and CD8 decreased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kidney.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BGMSB had a significant effect for treating MN which is cBSA-induced.

  • PDF

숭어(Mugil cephalus) 비늘의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이 고지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Molecular-Weight Collagen Peptide Extract Isolated from Scales of the Flathead Mullet (Mugil cephalus)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성종환;이영근;;최우석;김수하;윤호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38-945
    • /
    • 2009
  • 고지혈증 흰쥐에 있어서, 숭어(Mugil cephalus) 비늘에서 추출 제조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의 급여가 혈청 지질개선 효과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지질성분 및 효소의 활성 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Sprague Dawley계 흰쥐 수컷을 사용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기본식이만을 급여한 대조군인 BG군을 비롯한 고지혈증 유발군(CW군), 고지혈증 유발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CCP군)을 5주간 실험사육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비, 중성지방 및 인지질 농도 및 혈당 농도 등은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을 섭취시킨 군(CCP군)에서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 등은 콜라겐 펩타이드 급여(CCP군)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중 alkaline phosphatase (ALP) 및 aminotransferase (AST, ALT)의 활성은 고지혈증을 유도 시킨 후 콜라겐 펩타이드를 급여시킴으로써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이 고지혈증 유발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민속(民俗)마을의 전통(傳統)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북경(北京)시 문두구(門頭溝)구 천저하마을(爨底下村)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lor Analysis of Chinese Historic Village - Focus on Cuandixia Village of Mentougou District in Beijing -)

  • 마원;임진강;김동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2-128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민속마을에 대한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중국 천저하 민속마을을 대상으로 전통 민속마을의 색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한국표준색분석(KSCA: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채를 분석하고 'I.R.I 형용사 Image Scale'을 통해 색채이미지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첫째, 천저하마을의 색상 분포는 YR, R, Y, GY 계열의 순으로 나타났고, G계열과 BG계열, B계열은 전혀 나타나지 않은 반면 YR계열의 색상이 많은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둘째, 명도와 채도에 있어서는 전체가 중명도와 저채도에 해당하는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상업고택에서만 고채도가 추출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저채도 위주의 중 저채도의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다. 셋째, KS계통색(KS Color System)의 분석 결과 대부분 어두운 색이 도출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어두운 적회색과 갈회색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마을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정적이고 딱딱한 분위기이고 점잖은 이미지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통마을의 보전 관리에 있어 추출 된 색채 팔레트를 참고하여 국가와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색채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더불어 해당 마을의 문화가 반영된 색채는 보전하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색채계획을 적용한다면 민속마을의 정체성 있는 색채 연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내분비계 장애추정농약에 대한 에스트로겐성 영향검색 및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for estrogenic effect of the suspected endocrine disrupting pesticides)

  • 이제봉;신진섭;이희동;정미혜;유아선;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5-102
    • /
    • 2004
  • 현재 국내 사용중이며 내분비계 장애추정농약으로 분류된 benomyl, carbaryl, endosulfan등 17종 농약에 대한 estrogen성 영향을 검색하기 위하여 인체난소암세포(BG1Luc4E2)를 이용한 luciferase assay를 수행하였으며, luciferase assay에서 Eeq를 산출한 후 내분비계 장애추정 농약의 에스트로겐성 영향에 대한 식이섭취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Estrogen 수용체 결합시험에서 cypermethrin, dicofol, endosulfan, esfenvalerate 및 fenvalerate가 $10^{-5}$ M에서 최고 영향이 관찰되었고, mancozeb 등 8종 농약은 약한 영향이 관찰되었으며, benomyl 등 나머지 4종 농약은 영향이 없었다. 이들 중 활성이 비교적 강한 dicofol 및 endoeulfan의 1 nmol 17 $\beta$-estradiol에 대한 RLP 와 RLU는 dicofol의 경우 $10^{-5}$ 및 56%이었구, endosulfan은 $10^{-5}$ 및 72%이었다. MRL을 이용한 식이섭취 위험도 평가 결과 농약들의 추청 1일 최대농약섭취량은 cypermethrin 0.667, dicofol 0.1462, endosulfan 0.2066 및 lenvalerate/esfenvalerate 0.2098 mg/person으로 총 추정 1일 최대 농약섭취량이 1.2298 mg/person이었고, 남성 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농도는 3.075 ng/L로 정상농도에 비해 15%정도 증가하였으나, 국내 모니터링 성적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남성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농도는 0.01938 ng/L로 정상농도에 비해 0.09693%정도 증가하였다.

Krill 분말 및 NaF 투여가 흰쥐의 BUN 및 Creatin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BUN and Creatinine Level by Krill (Euphausia superba) Meal and NaF Administration in Rats)

  • 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848-856
    • /
    • 2018
  • Krill (Euphausia superba) 분말이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혈청 중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G군과 기본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BFG군을 비롯하여 10%, 20%, 30%의 krill 분말을 첨가한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KMF10군, KMF20군, KMF30군, 5가지의 급여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 흰쥐의 NEFA와 BUN, creatinine 농도는 krill 분말 급여군인 KMF10군, KMF20군, KMF30군에서 BFG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가 관찰되었으며, uric acid 농도에서 KMF10군은 BFG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KMF20군과 KMF3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전해질 농도에서 총 칼슘(T-Ca)은 군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krill 분말 함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 인(Pi) 농도는 krill meal 함량에 따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rill 분말은 NEFA 및 BUN, creatinine, uric acid 농도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