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NU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9초

PSEUDOMONAS MANDOSINA BCNU 154에 의한 BTEX 분해

  • 정미연;강정한;이상희;정영기;김용균;주우홍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485-488
    • /
    • 2000
  • Degradation of aromatic compound by Pseudomonas mendocina BCNU 154 has been investigated. The microorganism utilizes xylene, toluene, nitrobenzene, ethylbenzene and cumene. This strain is tolerant to some heavy metals, such as Mn, Cu, Si, and Mo, and resistant to some antibiotics, such as vancomycin, chloramphenicol and ampicillin. The metabolic pathway of toluene in Pseudomonas mendocina BCNU 154 is also elucidated.

  • PDF

Bioconversion of Cholesterol by Organic Solvent Tolerant Pseudomonas savastanoi BCNU 106

  • 강정한;정미연;김미림;박정욱;주우홍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74-477
    • /
    • 2000
  • P. savastanoi BCNU 106 균주에의해 cholesterol 이 전환됨을 확인하였고 toluene에서보다는 p-xylene 에서 전환율이 높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균주 배양후 cholesterol이 녹아있는 유기용매를 첨가하였을 때가 전환율이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Micrococcus sp. BCNU 121균주의 toluene과 열에 대한 교차내성 (Cross-Resistance to Toluene and Heat in Micrococus sp. BCNU 121)

  • 주우홍;한수지;최용락;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8-192
    • /
    • 2004
  • Toluene tolerance and therrnotolerance in Crampositive organic solvent resistant bacterium Micrococcus sp. BCNU 121 has been studied. Exposure to a sub- lethal temperature or a sub-lethal concentration of toluene conferred protection to subsequent challenges with a killing temperature or a lethal concentration of toluene, respectively. Pretreatment of Micrococcus sp. BCNU 121 with sub-lethal concentrations of toluene induced adaptative protection against heat shock. Moreover, temperature-adaptative cells also showed cross-resistance to lethal doses of toluene. These data suggested a cross-regulation between toluene tolerance and heat shock response.

Biodegradation of the Organic Solvents by an Isolated Pseudomonas sp. BCNU 154

  • 김미림;정미연;성은미;이호원;이영근;김용균;박정욱;주우홍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4-377
    • /
    • 2000
  • 본 연구에 사용한 Pseudomonas sp. BCNU 154는 Gram 음성 toluene 내성세균으로 형태적${\cdot}$생리적 특성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Pseudomonas 속임이 확인되었다. 폭넓은 유기용매에 대한 내성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Pseudomonas sp. BCNU 154 toluene 내성균주는 Modified Luria-Bertani(LBM) 배지에서 잘 자랐으며, $30^{\circ}C$에서 최적의 생육상태를 나타내었다. 최적 pH는 6에서 7로 나타났으며 1%의 toluene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pH 2에서 8에 이르는 넓은 pH대에서 잘 자랐으며, cumene은 pH 6에서 10까지의 범위에서 좋은 성장을 보였다. Pseudomonas sp. BCNU 154 균주의 toluene, ethylbenzene, ${\rho}$ -xylene, cumene분해는 $1g/{\ell}$의 농도로 첨가시 toluene의 경우 97%이상이 분해되었고, ${\rho}$은 92%, ethylbenzene은 80%이며, cumene은 90% 이상이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유기용매에 대해 대체로 12시간 내에 90%이상의 분해가 이루어졌으며, ethylbenzene의 경우에는 성장곡선과 마찬가지로 일정시간이 지난 후 성장과 분해가 둔화되다가 다시 성장과 분해가 일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 PDF

사람 암세포에서의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의 발현과 알킬화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 (Expression of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and Sensitivity to Anticancer Alkylating Agents in Human Cancer Cells)

  • 오혜영;정해관;한의식;정성철;허옥순;손수정;김영미;홍성렬;이향우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2호
    • /
    • pp.122-131
    • /
    • 1995
  • Five human cancer cell lines (HeLa S3, Hep 3B, KATO III, Hs 683, HeLa MR) and one human normal cell line (WI-38) were examined cell viability, northern blot analysis, western blot analysis, and in situ hybridization for the expression $O_{6}$ -methylguanine-DNAmethyltransferase (MGMT), which can repair $O_{6}$ -methylguanine produced in DNA by alkylating agents. In cell viability test, the lethal sensitivities of each strain against anti-tumor drug N,N-bis(2-chloroethyl)- N-nitrosourea (BCNU) were counted, and both BCNU treated and untreated cell extracts were examined for their MGMT inducibility by RNA dot blot analysis. Cell lines did not show MGMT induction by BCNU pretreatment. Tlle MGMT activity was assayed by measuring the $^3$H radioactivity transferred from the substrate DNA containing [methyl-$^3$H)-O$_{6}$ -methylguanine to acceptor molecules in the cell extracts. Extracts from the majority of tumor strains and normal cells contained substantial MGMT activity of varying degree, while the known Mer$^{[-10]}$ cell (lacked or severely depleted in MGMT activity) Hela MR, and Hs 683 (proved to be Mer$^{[-10]}$ ) were much more sensitive to BCNU than the rest of tumor strains, as measured by cell viability test. Overall results above, KATO III showed the highest expression level of MGMT among the strains examined. Furthermore, with all the tumor and normal strains tested, a good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GMT expression and cellular resistance to BCNU. The varying levels of expression of MGMT in human cancer cells found in this study should provide a molecular basis for MGMT expression among tumor strains from different tissue origin, the information of antitumor agents selection for chemotherapy of cancers.

  • PDF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토착 미생물 Paenibacillus sp. BCNU 5011의 특성화 (Characterization of an Indigenous Antimicrobial Substance-producing Paenibacillus sp. BCNU 5011)

  • 최혜정;김야엘;방지훈;김동완;안철수;정영기;주우홍
    • KSBB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00-106
    • /
    • 2011
  • Strain BCNU 5011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 samples collected in the Taebaek mountain in the Gangwon province, Korea. The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strongly indicated that this isolate was most closely related to Paenibacillus polymyxa. A maximum production level of antimicrobial substances of Paenibacillus sp. BCNU 5011 was achieved under aerobic incubation at $30^{\circ}C$ for 3 days in SST broth.Paenibacillus sp. BCNU 5011 showed a broad spectrum of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including methic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Paenibacillus sp. BCNU 5011 was also shown to inhibit the growth of different potential human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in vitro. Peptide extract showed bett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solvent extracts. But active antimicrobial compounds might be included in both peptide extract and solvent extracts. Further separation,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principles leads project to develop antimicrobial agents and anti-MRSA agents.

유기용매 내성 Pseudomonas sp. BCNU 106 균주의 외인성 트레할로스의 영향 (Effect of Exogenous Trehalose on the Solvent Tolerance of Pseudomonas sp. BCNU 106)

  • 최혜정;임보라;하상철;권기석;김동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45-950
    • /
    • 2017
  • 유기용매 내성 Pseudomonas sp. BCNU 106은 독성 용매에 의해 일부 생장이 제한되므로 다양한 생존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외인성 트레할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Cyclohexane 존재하에 세포내 트레할로스 함량은 12시간 배양했을 때 181.88 m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세포외 트레할로스 함량은 12시간에서 16시간 사이에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1%(v/v) cyclohexane, hexane, propylbenzene 및 m-xylene 존재하에 0.1 M 트레할로스가 첨가된 LB 배지에서 Pseudomonas sp. BCNU 106 균주의 생장은 트레할로스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89.94, 89.72, 91.25 및 118.9 배 증가하였으며, cyclohexane 및 hexane 존재하에서 0.05 M 트레할로스를 첨가했을 때 4시간 동안 각각 80과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이는 배지에 첨가된 트레할로스가 세포 내로 이동하면서 cyclohexane, hexane, propylbenzene 및 m-xylene 스트레스에 대해 방어작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성장배지에 트레할로스를 첨가함에 따라 Pseudomonas sp. BCNU 106의 유기용매 내성이 향상되어 생물전환 및 생물분해에 대한 잠재적인 생물촉매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동시당화발효공정을 위한 바이오캡슐 형성 (Bio-capsule Formation for Synchron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Process)

  • 신경연;최혜정;강양래;남기두;송주영;주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2-1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동시당화발효공정으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하여 바이오캡슐 형성을 시도하였다. 다수의 당화곰팡이 균주들과 발효 효모 균주들이 먼저 탐색되었다. Aspergillus sp. BCNU 6200, Penicillium sp. BCNU 6201 및 P. chrysogenum KACC 44363이 ${\alpha}$-amylase와 glucoamylase와 같은 당화 효소를 우수하게 생산하는 균주이었으며, Saccharomyces cerevisiae IFO-M-07이 조사된 균주 중에서 가장 에탄올 생산능이 높았다. 다음으로 pellet 형성 및 바이오 캡슐 형성을 위한 최적 조건을 평가하였다. 모든 조사된 곰팡이 모두 pellet을 형성하였으며, 바이오캡슐의 최적조건은 $28^{\circ}C$, 120 rpm이었다. 최종적으로 형성된 바이오캡슐을 이용하여 동시당화발효를 수행하여, Aspergillus sp. BCNU 6200의 바이오캡슐(Aspergillus sp. BCNU 6200 + S. cerevisiae IFO-M-07)이 10일간 발효시 $30^{\circ}C$, 120 rpm에서 3.9%의 에탄올을 생산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동시 당화발효 공정으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바이오캡슐을 활용함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된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p. BCNU 9171에 의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산 저해 (Inhibition of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Bacillus sp. BCNU 9171 Isolated from Doenjang)

  • 박여진;주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99-304
    • /
    • 2017
  • Histamine, tyramine, cadaverine 및 putrescine과 같은 바이오제닉 아민은 소비자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식품에서 독성 물질로 관리되어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바이오제닉 아민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의 적용은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의 감소를 위한 새로운 방법이 되고 있다. 먼저 Bacillus sp. BCNU 9171 균주를 한국 전통발효 된장으로부터 분리하였다. 4개의 아민 생성 식중독 세균들에 의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산에 대한 Bacillus sp. BCNU 9171의 배양 상등액(CFS)의 저해율을 HPLC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10% (1 ml + 9 ml HDB), 25%(2.5 ml CFS + 7.5 ml HDB), 50% (5 ml CFS + 5 ml HDB) 및 75% (7.5 ml CFS + 2.5 ml HDB)의 네 가지 CFS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4가지 아민 생성균에 대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산을 87%까지 감소시켰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아민 생성균에 의한 발효 식품에 의한 다량의 바이오제닉 아민이 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발효식품 및 식품 안전용으로 Bacillus sp. BCNU 9171를 starter 균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