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16F0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3초

동종 종양 세포 용해액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 항암 백신의 흑색종 폐암 전이 모델에서의 효과 연구 (Effect of Dendritic Cell Based Cancer Vaccine Using Allogeneic Tumor Cell Lysate in Melanoma Pulmonary Metastasis Model)

  • 이영준;김명주;인소희;최옥미;백소영;권영도;이현아
    • IMMUNE NETWORK
    • /
    • 제5권3호
    • /
    • pp.163-171
    • /
    • 2005
  • Background: To perform the successful dendritic cell-based cancer immunotherapy one of the main issues to be solved is the source of antigen for DC pulsing. Limitations occur by using auto-tumor lysate due to the difficulties obtaining enough tumor tissue(s)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allogeneic tumor cell lysate as a DC pulsing antigen has been tested in mouse melanoma pulmonary me tastasis model. Methods: B16F10 melanoma cells $(1{\timeS}10^5/mouse)$ were inoculated intra venously into the C57BL/6 mouse. Therapeutic DCs were cultured from the bone marrow myeloid lineage cells with GM-CSF and IL-4 (1,000 U/ml each) for 7 days and pulsed with lysate of either autologous B16F10 (B-DC), allogeneic K1735 (C3H/He origin; K-DC) or CloneM3 (DBA2 origin; C-DC) melanoma cells for 18 hrs. Pulsed-DCs $(1{\times}10^6/mouse)_{[CGP1]}$ were injected i.p. twice with one week interval starting from the day 1 after tumor cell inoculation. Results: Without observable toxicity, allogeneic tumor cell lysate pulsed-DC induced the significantly better anti-tumor response (tumor scale: $2.7{\pm}0.3,\;0.7{\pm}0.3\;and\;0.3{\pm}0.2$ for saline, B-DC and C-DC treated group, respectively). Along with increased tumor specific lymphocyte proliferations, induction of IFN-${\gamma}$ secretion against both auto- and allo-tumor cell lysates was observed from the DC treated mice. (w/B16F10-lysate: $44.97{\pm}10.31,\;1787.94{\pm}131.18,\;1257.15{\pm}48.27$, w/CloneM3 lysate: 0, $1591.13{\pm}1.83,\;1460.47{\pm}86.05pg/ml$ for saline, B-DC and C-DC treated group, respectively)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as also increased in the mice treated with tumor cell lysate pulsed-DC ($8.9{\pm}_{[CGP2]}0.1,\;11.6{\pm}0.8\;and\;12.6{\pm}0.7%$ specific NK activity for saline, B-DC and C-DC treated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Conclusively, promising data were obtained that allogeneic-tumor cell lysate can be used as a tumor antigen for DC-based cancer immunotherapy.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ir Stable σ-Bonded ortho-carborane Manganese Metal Complexes $1-[Mn(CO)_5]-2-R-1,2-closo-(σ-C_2B_{10}H_{10}$ and Their Conversion to the Stable ortho-carborane Substituted Fischer-type Carbene Compexes 1-[(CO

  • 김세진;김유혁;고재정;강상욱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7호
    • /
    • pp.634-641
    • /
    • 1995
  • The metal-carbon σ-bond cluster complexes 1-Mn(CO)5-2-R-1,2-C2B10H10 (R=CH3 Ia, C6H5 Ib) have been prepared in good yields from readily available carboranyl lithium complexes, 1-Li+-2-R-1,2-C2B10H10- (R=CH3, C6H5), by direct reaction with (CO)5MnBr. These manganese metal complexes are rapidly converted to the corresponding manganese metal carbene complexes, 1-[(CO)4Mn=C(OCH3)(CH3)]-2-R-1,2-C2B10H10 (R=CH3 IIIa, C6H5 IIIb), via alkylation with methyllithium followed by O-methylation with CF3SO3CH3. The crystal structure of IIIb was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Thus, complex IIIb crystallizes in the orthorhombic space group P212121 with cell parameters a=15.5537(5), b=19.0697(5), c=7.4286(3) Å, V=2203.4(1) Å3, and Z=4. Of the reflections measured a total of 3805 unique reflections with F2>3σ(F2) was used during subsequent structure refinement. Refinement converged to R1=0.053 and R2=0.091. Structural studies showed that the manganese atom had a slightly distorted pseudo-octahedral configuration about the metal center with the carbene and ortho-carborane occupying the equatorial plane cis-orientation to each other.

고투자율, 저보자력을 갖는 Ni-Zn Ferrite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 Permeability and Low Coercivity Ni-Zn Ferrite)

  • 고재귀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18
    • /
    • 1997
  • 기본 조성 N $i_{0.18}$Z $n_{0.68}$C $u_{0.14}$F $e_{2}$ $O_{4}$와 N $i_{0.14}$Z $n_{0.64}$C $u_{0.22}$F $e_{2}$ $O_{4}$ 및 N $i_{0.24}$Z $n_{0.64}$C $u_{0.12}$F $e_{2}$ $O_{4}$에 입계의 고저항층을 형성하고 소결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0.1 mol %의 Ca $Co_{3}$와 입자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높은 투자율을 얻을 목적으로 $V_{2}$ $O_{5}$를 0.04 mol% 첨가하였다. 이들 원료들을 혼합한 후 950 .deg. C에서 3시간 하소 과정을 거친후 ball mill해서 toroid 시편을 만들고 1030 .deg. C, 1050 .deg. C 및 1070 .deg. C 에서 2시간 동안 공기중에서 소결 시켰다. Raw material의 조성비 변화 및 소결 온도 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물리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X-선 회절 분석 결과 이들 시편들이 spinel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금속현미경으로 측정한 결정 입자의 크기는 6 .mu. m ~ 16 .mu. m 이었다. 초투자율, 자기 유도는 소결 온도가 1030 .deg. C에서 1050 .deg. C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Q factor와 보자력은 감소하였다. 보자력과 큐리온도는 각각 0.17 Oe 및 220 .deg. C 근처로 모든 시편들에서 거의 비슷하였다. 본 시편의 사용 주파수 범위는 0.4 ~ 20 MHz로 확인되었으며, 소결 온도 1050 .deg.C와 기본 조성 N $i_{0.14}$Z $n_{0.64}$C $u_{0.22}$F $e_{2}$ $O_{4}$ 에서 다른 사람들 보다 더욱 더 우수한 자기유도값(B, $B_{m}$ )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생약복합제제 길경탕 및 가미길경탕의 항암효과 (제 2 보) (Cytotoxic Activity of the Medicinal Formula Kilkyungtang and Two Modified Kilkyungtangs against Cultured Tumor Cells in Vitro. II)

  • 김성훈;박경식;유시용
    • 생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2-46
    • /
    • 1996
  • The medicinal formula, Kilkyungtang (KKT) and two modified Kilkyungtangs (KKT-1 and KKT-2), which were supplemented by the additional crude drug, Houttuyniae herba (KKT-1), and Oldenlandiae diffusae herba (KKT-2) to KKT, had been applied widely as decoctions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tumors.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two tumor cell lines, A549 and $B16-F_0$ were investigated. However, none of them were found to exhibit significant cytotoxicity upon tested tumor cells below the concentration of $1000{\mu}g/ml$. However, cytotoxic activities of three reputed antitumor agents, i.e., mitomycin C (MMC), cisplatin (CPT) and 5-fluorouracil (5-FU) was significantly potentiated by the combined treatment of them with KKT, KKT-1 and KKT-2 respectively, especially against A549 (human non small cell lung adenocarcinoma), in vitro.

  • PDF

멜라닌 생합성 억제제로서 수용성 Oleanolic Acid 유도체의 합성 및 활성 평가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Soluble Oleanolic Acid Derivatives for use as Melanogenesis Inhibitors)

  • 안현진;윤영경;이재덕;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1권6호
    • /
    • pp.653-6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ethoxy polyethylene glycol)과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유도체(mPEG-OA derivative)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유도체에 대하여 수용액에서의 용해도와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mPEG-OA 유도체의 합성된 구조는 1H NMR, 13C NMR 및 FT-IR로 확인하였다. 수용액에서 mPEG-OA 유도체와 OA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13 mg/mL, OA는 0.013 mg/mL로서, mPEG-OA 유도체의 수용성이 OA보다 1,000배 높게 나타냈다. 세포생존율은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PEG-OA 유도체의 세포생존율(250 μM)이 OA로 처리한 세포생존율(62.5 μM)과 비교하여 4배 증가하였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생존율이 영향을 받지 않는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36%, OA는 10 μM의 농도에서 35%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 억제 수준은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59%, OA는 10 uM의 농도에서 4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mPEG-OA 유도체와 OA의 수용성 및 미백활성을 비교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OA보다 뛰어난 수용성을 가지며,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미강·황칠 발효추출물이 B16F10 세포의 미백에 미치는 효과 (Study of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Rice Bran and Dendropanax on the Whitening Effects in B16F10 Cell Line)

  • 최찬헌;안정은;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01-30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s of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the Rice bran and Dendropanax(FRD)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1) Dendropanaxand and Rice bran were blended in a ratio of 1 to 1, 2) a weight of sugar was 10% of the total weight, 3) an amount of enzyme was 0.1%, and 4) a temperature was 20℃. It has been fermented for 90 days. In order to observe the whitening effects of FRD, the author measured the cell viability and the inhibition rate of the melanin biosynthesis,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SOD (superoxide dismutase) in malignant melanoma, B16F10 cells. As a result, FR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ell viability of B16F10 in more than 500 ㎍/㎖. FRD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generation of melanin, and that induced by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in more than 1,000 ㎍/㎖. FR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that induced by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in more than 500 ㎍/㎖. FRD did not changed the activity of SOD in dose dependent manner. Therefore,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a Rice bran and Dendropanax will be able to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if used as a commercial. Therefore,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a Rice bran and Dendropanax will be able to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if used as a commercial.

그라비올라 잎(Annona muricata L.) 조다당 분획분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on melanogenesis)

  • 김이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2-57
    • /
    • 2019
  •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 잎 조다당 분획물(ALP)의 멜라닌 저해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의 세포 생존율, tyrosinase 저해활성, 멜라닌 함량,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ALP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16F10 세포에 ALP를 처리하여 멜라닌 활성 저해능에 관하여 알아봤을 때, tyrosinase, 멜라닌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가 미백과 관련된 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단백질 발현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는 멜라닌 저해 활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아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가버섯추출물에 의한 흑색종의 세포주기 억제효과 (Cha-ga Mushroom Water Extract induces G0/G1 Arrest in B16-F10 Melanoma cells)

  • 윤명자;송정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04-208
    • /
    • 2007
  • Chaga mushroom extract is well known as immune modulator and anti-cancer agent.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Chaga exert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of cancer cells is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haga extract on murine melanoma B16 cells. Chaga extract dose-dependently inhibited cell growth along with the arrest of G0/G1 phase and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Treatment with Chaga extract resulted in a decrease of cyclin E, cyclin D1, cdk 2, cdk 4 expression levels. Furthermore, in vivo inoculation study of B16 melanoma cells into Balb/c mice Chaga extract markedly suppressed the metastatic growth of tumor cells (6 folds,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aga mushroom extract induces apoptosis of B16 melanoma cells through arrest of G0/G1 phase in cell cycle.

콩에서 종실의 무게와 oil 및 단백질 함량을 조절하는 양적 형질 유전자좌와 연관된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Linked to Quantitative Trait Loci Controlling Seed Weight, Protein and Oil Contents in Soybean)

  • 김현경;강성택;정명근;정찬식;오기원;백인열;손병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49-954
    • /
    • 2006
  • 콩은 전 세계 시장의 48%를 차지하는 중요한 유료작물이다. 콩 종자를 구성하는 양적인 부분과 질적인 부분의 개선은 콩 육종 목표의 중요한 부분이다. 단백질함량과 종실의 크기는 두부와 콩나물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콩에서 종실의 크기와 단백질 및 oil 함량을 조절하는 양적형질유전자좌(QTLs)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재료로는 큰올콩과 신팔달콩을 교배한 후 $F_2$유래 $F_10$세대의 RIL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종실의 무게와 oil 및 단백질 함량과 관련된 QTLs를 탐색하였다. 종실의 무게와 단백질 및 oil 함량의 협의의 유전력은 각각 0.8과 0.78 및 0.71을 나타내었다. 종실의 무게와 관련된 QTLs는 연관군 F, I와 K의 세 개의 독립적인 QTLs를 확인하였다. 단백질함량과 관련된 QTLs는 연관군 D1b, E, H, I와 L의 다섯 개의 독립적인 QTLs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oil 함량과 관련된 QTLs는 연관군 D1b, E, G, I, J와 N의 여섯 개의 독립적인 QTLs를 확인하였다. oil 및 단백질 함량과 관련된 QTLs는 연관군 D1b, E와 I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주요 QTL은 콩 품종 육성과정에서 품질의 개선하기 위한 선발 마커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정서표현성, 성취동기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self-resilience, emotion expressiveness, achievement 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김미영;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77-84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정서표현성, 성취동기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F=4.021, p=.008), 성적(F=3.791, p=.024), 학과만족도(F=11.140, p<.001), 성취감(F=8.000, p<.001), 대인관계(F=16.94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은 자아탄력성(r=.532, p<.001), 정서표현성(r=.365, p<.001), 성취동기(r=.694, p<.001)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정서표현성, 성취동기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반복연구와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