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thuringiensis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초

Distribution of Toxin Genes and Enterotoxins in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 Cho, Seung-Hak;Kang, Suk-Ho;Lee, Yea-Eun;Kim, Sung-Jo;Yoo, Young-Bin;Bak, Yeong-Seok;Kim, Jung-Beo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043-2048
    • /
    • 2015
  • Bacillus thuringiensis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have been applied worldwide. Although a few cases of B. thuringiensis foodborne illness have been reported, little is known about the toxigenic properties of B. thuringiensis isolat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pathogenic potential of B. thuringiensis selected from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based on its possession of toxin genes and production of enterotoxins. Fifty-two B. thuringiensis strains selected from four kinds of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were analyzed. PCR assay for detection of toxin genes and immunoassay for detection of enterotoxins were performed. The hemolysin BL complex as a major enterotoxin was produced by 17 (32.7%), whereas the non-hemolytic enterotoxin complex was detected in 1 (1.9%) of 52 B. thuringiensis strains. However, cytK, entFM, and ces genes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tested B. thuringiensis strains. The potential risk of food poisoning by B. thuringiensis along with concerns over B. thuringiensis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has gained attention recently. Thus,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based on B. thuringiensis should be carefully controlled.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Group in Rice and Distribution of Enterotoxin Genes

  • Jang, Ji-Hyun;Lee, No-A;Woo, Gun-Jo;Park, J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32-237
    • /
    • 2006
  • Bacillus cereus group comprising B. cereus, B. thuringiensis, and B. mycoides was differenti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colony morphology. Prevalence of B. cereus group in rice and distribution of enterotoxin genes were determined as possible food poisoning agents. PCR using primers targeted for gyrB and cry genes could distinguish B. thuringiensis from B. cereus, and B. mycoides was differentiated by rhizoi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nutrient agar. Among 136 rice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prevalence of B. cereus group was 40%. B. cereus group consisted of 54 B. cereus, 11 B. thuringiensis, and 1 B. mycoides. Major isolates were B. cereus, with B. thuringiensis detected up to 10% among edible rice tested. Five enterotoxin genes, hbl, nhe, bceT, entFM, and cytK, were broadly distributed among B. cereus group, especially in B. cereus and B. thuringiensis. Prevalence of B. cereus group in rice and enterotoxin distribution suggest B. thuringiensis and B. cereus are toxigenic strain that should be controlled in rice and its products.

Tannic acid와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균주의 혼합처리에 의한 파밤나방 살충활성의 상승효과 (The Synergy Effects of Mixed Treatment with Tannic Acid and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 against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 진나영;정선영;박찬;백승경;서미자;윤영남;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19-526
    • /
    • 2009
  • 국내 토양으로부터 파밤나방에 활성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균주를 분리 동정하였다. 난방제 해충인 파밤나방에 대한 B. thuringiensis의 살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몇 개의 protease inhibitor를 조사하였으며, 이 중 단백질 분해 억제 능력이 가장 좋은 tannic acid을 선발하였다. B. thuringiensis의 배양액에 tannic acid을 혼합 처리하여 파밤나방 2령 유충을 대상으로 생물활성을 조사한 결과, B. thuringiensis 단독처리는 54.4%의 사충율을 보인 반면 B. thuringiensis와 4 mM tannic acid을 혼합하여 처리하면 64.0% 그리고 B. thuringiensis+40 mM tannic acid는 95.5%의 높은 상승효과를 각각 나타냈다. 그러나 B. thuringiensis+80 mM tannic acid 에서는 53.3%로 단독처리의 경우 보다 사충율이 낮게 나타났다. 3령 유충에서도 B. thuringiensis 단독처리는 60.0%였으며 B. thuringiensis+40 mM tannic acid는 93.3%로 사충율이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보였다. 야외포장 실험에서 B. thuringiensis 단독처리는 1회, 2회, 3회 누적 처리에서 각각 61.8%, 80.4% 그리고 47.3%의 사충율을 나타낸 것에 비해 B. thuringiensis와 40 mM tannic acid의 혼합 처리구에서는 83.9%, 89.4%와 66.8%로 사충율이 증가되었다.

한국 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의 분포와 특성조사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 soils in Korea)

  • 김호산;박현우;이대원;유용만;김정일;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4-349
    • /
    • 1995
  • 해충의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요할 수 있는 Bactllus thuringiensis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전국의 다양한 토양을 채취하여 B. thuringiensis의 분포와 독성을 조사하였다. 총 548개의 토양을 전국 각지에 채취하여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64개의 B. thuringiensis를 분리했다. 분리된 64개의 B. thuringiensis를 나비목의 누에(Bombyx mori), 파리목의 빨간집모기(Culex pipens), 딱정벌레목의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의 세 종에 대해서 독성을 검정한 결과, 누에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42.2%로 가장 많았으며, 누에와 빨간집모기에 동시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31.3%, 빨간집모기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20.3%의 비율로 분리되어 다양한 독성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쌀바구미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분리되지 않았고, 내독소 단백질은 형성하지만 독성이 없는 무독성 B. thuringiensis가 62%의 비율로 분리되었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 C25의 흰날개무늬병 Rosellinia necatrix에 대한 항진균 활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특성 및 기능 유전체학적 연구 (Functional Genomic Analysis of Bacillus thuringiensis C25 Reveals the Potential Genes Regulati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osellinia necatrix)

  • 김강민;이화용;배원실;조민;류호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7-425
    • /
    • 2019
  • 다양한 생물적 스트레스로부터 경제적으로 중요한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친환경 biocontrol agents (BCAs)는 오늘날 농업 및 생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BCAs 중에서, 많은 그람 양성Bacillus 속 아종이 친환경 생물학적 살충제 및 비료로서 성공적으로 산업화되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식물병원성 균류의 균사생장에 길항 효과를 보여주는 BCAs 중 하나인 Bacillus thuringiensis C25가 흰날개무늬병을 일으키는Rosellinia necatrix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B. thuringiensis C25가R. necatrix의 균사 세포벽을 분해하여 균사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 thuringiensis C25의 전장 유전체에서 5,683 유전자 세트의 서열을 동정하였고, 잠재적으로 곰팡이 세포벽 분해 효소 (CWD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세트를 선발하였다. R. necatrix에 대한 균사성장 억제효과는B. thuringiensis C25의 균사 세포벽 분해 유전자의 전사 활성과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상세하게는, B. thuringiensis C25에서ChiA, B 및 Glycos_transf_2 유전자를 포함하는 CWDE의 전사체 수준은R. necatrix와의 공동 배양에 의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B. thuringiensis C25가 R. necatrix를 제어할 수 있는 생물학적 소재가 될 수 있으며, 식물 병원체에 대한 BCA의 항진균성 메커니즘의 이해를 촉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국 양잠농가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의 분포와 특성조사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Soils of Sericultural Farms in Korea.)

  • 김호산;이대원;박현우;유용만;김정일;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7-61
    • /
    • 1995
  • 토양에 존재하고 있는 새롭고, 특이한 활성을 갖는 B.t를 분리하기 위하여 춘잠 및 추잠기에 양잠농가의 토양을 채취하여 B.t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총 300개의 채취된 토양시료중에서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82개의 B.t를 분리했다. 분리된 B.t의 독성별 분석에서 봄에는 주로 나비목(Bombyx mori)에 독성을 띄는 균주(67%)가, 가을에는 나비목과 파리목(Culex pipiens)에 동시에 독성을 띄는 균주(67%)가 많이 분리되었다. 한편 딱정벌레목(Sitophilus oryzae)에 독성을 나타내는 것은 찾지 못했다. 또한, 내독소 단백질은 생산하지만, 독성을 띄지 않는 균주들도 봄에는 6%, 가을에는 27%의 비율로 분리되어 자연상태에서 흔히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내에서 생산된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iopesticides (Bacillus thuringiensis) Produced in Korea)

  • 길미라;김다아;최수연;백승경;김진수;김대용;황인천;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1-209
    • /
    • 2007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5개의 미생물농약(A제품 :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B제품 : B. thuringiensis, C제품 : B. thuringiensis Berline Variety kurstaki, D제품 : B. thuringiensis var. kurstaki, E제품 : B. thuringiensis subsp aizawai)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품의 생물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성포자수의 조사 결과, 각 각 제품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보다 A B제품은 약 100배, D E제품은 약 10배로 감소되어 나타났고, C제품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5개 제품의 pH를 측정한 결과 A, B제품은 각각 pH 3.67, pH 3.73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3개 제품은 약 pH 5로 나타났다.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된 독소단백질의 형태에서는 C제품이 B. thuringiensis 고유의 뚜렷한 이중피라미드모양의 독소단백질 모습을 갖고 있었다. 또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A제품에서는 이중피라미드모양이 심하게 마모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B. thuringiensis 제품을 작물에 사용하였을 때 균일하게 도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형의 균일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C D E 제품은 NA배지에 균일하게 균이 배양되었고, A B 제품은 NA배지 상에 균일성을 보이지 않았다. 제품상의 특성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A'와 'C'제품으로 배추좀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한 결과, 두 제품 모두 추천 농도에서 48시간 이후 100% 사충율을 보였으나 'A'제품의 경우에는 희석 배수에 따라 사망률이 일정하지 않게 나타났다.

B. thuringiensis var. kurstaki와 B.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 내독소 결정체의 전자현미경 관찰과 전기영동분석 (E. M. Visualization and Electrophoresis analysis of B. thuringiensis var. kurstaki and B.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 $\sigma$-endotoxin)

  • 이형환;강태숙;유관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5-319
    • /
    • 1985
  • Bar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와 Bacillus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의 내독소 결정체와 아포를 NaBr 밀도 기울기 원심분리에 의하여 쉽게 분리하였으며, 전체 세포 무게에서 내독소 결정체의 무게의 비율은 BTK가 23.79%, BTI가 25%였다. BTK와 BTI의 내독소 결정체의 모형은 BTK는 이중 피라미드 형태이며, 성숙한 결정체의 길이는 1.7$\mu\textrm{m}$이었고, 중앙의 폭은 약 0.9$\mu\textrm{m}$였다. BTI의 내독소 결정체는 장타원형으로 큰 것은 길이가 1.6$\mu\textrm{m}$이고, 폭은 0.45$\mu\textrm{m}$였으며, 원형은 1.2$\times$0.8$\mu\textrm{m}$였다. 결정체 단백질의 분자량은 BTK의 것이 134,000달톤이었고, BTI의 결정체는 128,000 달톤이었다.

  • PDF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Organic Vegetables

  • Kim, Jung-Beom;Choi, Ok-Kyung;Kwon, Sun-Mok;Cho, Seung-Hak;Park, Byung-Jae;Jin, Na Young;Yu, Yong Man;Oh, Deo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8호
    • /
    • pp.1449-1456
    • /
    • 2017
  • The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39 organic vegetables were investigated. B. thuringiensis was detected in 30 out of the 39 organic vegetables (76.9%) with a mean value of 2.60 log CFU/g. Twenty-five out of the 30 B. thuringiensis isolates (83.3%) showed insecticidal toxicity against Spodoptera exigua. The hblCDA, nheABC, and entFM genes were found to be the major toxin genes, but the ces gene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tested B. thuringiensis isolates. The hemolysin BL enterotoxin was detected in all 30 B. thuringiensis isolates (100%). The non-hemolytic enterotoxin complex was found in 27 out of 30 B. thuringiensis isolates (90.0%). The B. thuringiensis tested in this study had similar toxin gene characteristics to B. cereus, which possessed more than one toxin gene. B. thuringiensis could have the potential risk of foodborne illness based on the toxin genes and toxin-producing ability.

거세미나방속 해충에 독성을 가지는 Bacillus thuringiensis 군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Toxic to Spodoptera Species in Kora)

  • 장진희;노종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4-159
    • /
    • 1996
  • 전국 토양, 앙장 농가, 저곡 창고, 시설 원예 단지, 과수원, 산, 밭 등에서 분리한 토양과 먼지 등의 시료로부터 거세미나방속 해충에 강한 독성을 보이는 7개 균주를 분류하였다. 이들을 각각 STB-1에서 STB-7까지 명명하였으며 모두 약 130kDA의 내독소 단백질을 형성하였다. 편모항원성 검정 결과 STB-1, STB-2는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와 STB-3, STB-4, STB-5는 subsp. kenyae와 반응하였으며 STB-6, STB-7은 기존의 편모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PCR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STB-1은 B. thuringiensis subsp. kurastaki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cryIE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STB-5는 subsp. kenyae와는 다른 유전자형을 보였다. 기존의 편모항체와 반응을 보이지 않은 STB-6와 STB-7은 cryIA(a), cryIA(b), cryIC, cryII를 가지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