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licheniformis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41초

Urease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Status of Bacillus paralicheniformis

  • Jeong, Do-Won;Lee, Byunghoon;Lee, Hyundong;Jeong, Keuncheol;Jang, Mihyun;Lee, Jo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2호
    • /
    • pp.1992-1998
    • /
    • 2018
  • In 2015, Bacillus paralicheniformis was separated from B. licheniformis on the basis of phylogenomic and phylogenetic studies, and urease activity was reported as a phenotypic property that differentiates between the two species. Subsequently, we have found that the urease activity of B. paralicheniformis is strain-specific, and does not reliably discriminate between species, as strains having the same urease gene cluster were identified in B. licheniformis and B. sonorensis, the closest relatives of B. paralicheniformis. We developed a multilocus sequence typing scheme using eight housekeeping genes, adk, ccpA, glpF, gmk, ilvD, pur, spo0A, and tpi to clearly identify B. paralicheniformis from closely related Bacillus species and to find a molecular marker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B. paralicheniformis. The scheme differentiated 33 B. paralicheniformis strains from 90 strains formerly identified as B. licheniformis. Among the eight housekeeping genes, spo0A possesses appropriate polymorphic sites for the design of a B. paralichenofomis-specific PCR primer set. The primer set designed in this study perfectly separated B. paralicheniformis from B. licheniformis and B. sonorensis.

Bacillus licheniformis AJ 균주제제의 설사원인 미생물의 성장 억제효과 (Inhibitory Activity of Bacillus licheniformis AJ on the Growth of Diarrheal Pathogens)

  • 김지영;배은아;한명주;김동현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4호
    • /
    • pp.385-389
    • /
    • 1999
  • The injibitory effect of Bacillus licheniformis AJ isolated from genitourinary normal flora as a new probiotics on the growth of diarrheal pathogens was studied. This B. licheniformis AJ inhibited the growth of E.coli O-157. Salmonella typhi and Shigella sonnei as well as the infectivity of rotavirus. However, it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and human intestinal bacteria although it inhibited the harmful enzyme activity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B. licheniformis AJ seems to excret heat-lable growth-inhibitory protein, bacteriocin, into the med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B. lichenoformis AJ could be used as a new type of probiotics.

  • PDF

느타리 수확후배지로부터 분리된 고온성 Bacillus licheniformis YJ09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philic Bacillus licheniformis YJ09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Substrates)

  • 김혜수;김철환;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4-248
    • /
    • 2016
  • CMCase와 xylanase 분비능이 우수한 고온성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진주 인근지역의 느타리 재배농장으로부터 수확후배지를 수집하였다. 느타리 수확후배지로부터 17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CMCase와 xylanase 활성이 큰 균주 YJ09를 선발하였다. Bacillus ID kit와 MicroLog system을 이용하여 분리균 YJ09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 YJ09은 B. licheniformis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서도 B. licheniformis와 98.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YJ09은 B. licheniformis YJ09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이 분비하는 CMCase와 xylanase 활성은 분리균이 증식함에 따라 대수증식기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정지기에 진입하면 효소활성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xylanase 활성은 대수증식기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대수증식기 중반에 최대활성을 나타내었다.

Molecular identific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s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by the multilocus phylogenetic analysis

  • Moon, Sung-Hyun;Hossain, Md Mukter;Oh, Yeonsu;Cho, Ho-Se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
    • /
    • 2016
  • In this study, Bacillus licheniformis which has been used as probiotics wa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A total of 69 strains were presumptively identified as B. licheniformis by phenotypic methods. Based on PCR amplification and 16S rRNA gene sequencing, the multilocus sequence typing of gyrA and rpoB, followed by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The isolates were distinctly differentiated and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B. amyloliquefaciens, B. subtilis, and B. aerius. The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of those strains matched those of B. sonorensis (97%) and B. aerius (98%) in the phylogenetic tree. In contrast, multilocus phylogenetic analysis (MLPA) showed that only 61 (86.9%) out of 69 strains were B. licheniformis. The rest of those strains were found to be B. subtilis (5.8%), B. amyloliquefaciens (2.9%), and B. sonorensis (2.9%), respectively.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ed that since the 16S rRNA gene sequencing alone was not sufficient to compare and discriminate closely related lineages of Bacillus spp., it was required to analyze the MLPA simultaneously to avoid any misleading phenotype-based grouping of these closely related species.

양송이 배지로부터 분리한 Bacillus licheniformis CY-24의 섬유소분해 효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brinolytic Enzymes of Bacillus licheniformis CY-24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Compost)

  • 민경진;박혜성;이은지;이찬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9-209
    • /
    • 2021
  • 본 연구는 양송이 배지의 관행 발효기술을 개선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양송이 볏짚 배지 발효단계에서 우점하는 Bacillus strain CY-24 균주를 순수분리하여 16S rDNA 염기서열을 통한 동정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밝혀졌다. B. licheniformis 최적 생육 온도는 30℃, 최적 생육 pH는 6.0에서 가장 생육이 활발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B. licheniformis CY-24 균주는 glycerol, glycogen, L-arabinose, D-ribose, D-xylose, D-galactose, D-glucose, D-fructose, D-mannose 등의 탄소원을 잘 활용하였고, 효소활성 측정 결과 esterase, leucine arylamidase, acid phosphatase, β-glucosidase 등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CMCase 활성 온도는 50℃, PGase는 60℃에서 가장 효과가 극대화되었으며, CMCase, PGase 두 효소는 60℃ 이상에서도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속이온의 촉매 효과는 CoCl2 1mM에서 가장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 licheniformis CY-24의 효소학적 특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양송이 재배에 사용되는 배지를 생산하는 과정에 효소의 작용은 볏짚의 발효 촉진과 연화 작용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유용생물자원으로써 발효기술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다양한 미생물과 버섯균의 상호작용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gamma}-Poly(glutamic\;acid)$ 생산성 균주 Bacillus licheniformis 9945a의 형질전환 미 돌연변이 유도 (Transformation and Mut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9945a Producing ${\gamma}-Poly(glutamic\;acid)$)

  • 정완석;고영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173-177
    • /
    • 1997
  • Bacillus licheniformis 9945a는 액체배양시 ${\gamma}-poly(glutamic\;acid)$를 균체외로 분비하며, 한천배지에 고체 배양시는 점액질의 군락을 나타낸다. 점액질의 Bacillus속 세균의 형질전환은 그리 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 licheniformis에서의 trasposon Tn10의 활성여부도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점액질을 분비하지 않는, B. licheniformis의 자연발생적 변이주를 우선 분리하였다. Mini-Tn10을 함유한 plasmid pHV1248을 protoplast transformation법에 준해서 이 변이주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체를 분리하였다. pHV1248을 함유한 형질전환체를 점액성의 야생형질로 복귀시킨 후에, 가열처리함으로써 무작위 돌연변이를 유도하였다. Arginine, lysine 또는 tryptohan을 생육인자로 요구하는 돌연변이주들이 replica plating method에 의해서 분리되었고, 이 들 영양요구성 변이주는 mini-Tn10이 염색체 DNA상에 삽입됨으로써 생겨났음이 Southern blotting과 DNA-DNA 혼성화 실험으로 증명되었다. 이러한 pHV1248을 이용한 형질전환 및 돌연변이 유도방법은 Bacillus licheniformis 9945a의 다양한 변이체를 얻는데 유용할 것이다.

  • PDF

생물방제능과 식물성장촉진능을 동시에 가지는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non-siderophore 항진균 물질 및 cellulase의 생산조건 확인 (Confirmation of Non-Siderophore Antifugal Substance and Cellulase from Bacillus lichemiformis Kll Containing Antagonistic Ability and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 우상민;김상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83-989
    • /
    • 2007
  • Auxin, siderophore, 그리고 cellulase를 동시에 생산하는 생물방제균주 B. licheniformis Kll을 식물병원성진균을 대상으로 균사 성장억제능을 확인결과 6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서 균사체 성장억제능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 토마토 시들음병을 유발하는 F. oxysporum(KACC 40037)에 가장 강력한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균주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siderophore이외에 세포벽이 cellulose로 구성된 P. capsici의 cell wall을 분해하는 cellulase를 생산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뿐만아니라 B. licheniformis Kll은 nutrient broth(pH 8.0), $30{\circ}C$에서 96시간 배양시 토마토 시들음병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가장 높았고, 이는 cellulase의 활성과 sideropore의 최대 생산조건과는 상이하였다. 또한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starch와 urea를 각각 첨가시 항진균성 활성이 가장 높았고, 이 역시는 cellulase의 활성과 항진균성 siderophore의 최대 생산조건과 일치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본균주 B. licheniformis Kll은 식물성장촉진 물질은 auxin, 항진균성 siderophore와 cellulase를 생산함과 동시에 또 다른 강력한 항진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고추역병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is AH18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토양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phthora Blight-antagonistic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AH18 and Bacillus licheniformis K11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 박기춘;임종희;김상달;이영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3호
    • /
    • pp.121-125
    • /
    • 2009
  • 고추역병에 대한 길항미생물로 선발된 Bacillus subtilis AH18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토양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미생물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토양에 처리한 후 토양미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토양미생물 생태의 변화는 토양에서 인지질 지방산을 추출한 후 전체 지방산과 지표 지방산의 상대적 비율로 분석하였다. 전체적 인지질 지방산 구성과 각 지표 지방산 분석에 의해서 B. subtilis AH18 처리구는 무처리 대조구와 완전히 구분되었다. 전체 토양미생물상을 B. subtilis AH18 처리가 바꾸었고 세균 비율을 감소시켰으며, 곰팡이세균 비율을 높였으며, 그램음성균/그램양성균의 비율을 낮추었으며, 혐기성균/호기성균의 비율은 증가시켰다. 또한 불량환경 적응성을 의미하는 cy19:0/18:$1{\omega}7c$ 지방산비율과 단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도 B. subtilis AH18 처리구가 증가시켰다. 이에 반하여 B. licheniformis K11 처리나 두 미생물의 동시 처리는 전술한 토양미생물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지방산 분석을 토양미생물상 분석에서 B. subtilis AH18의 단용처리는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토양미생물상을 뚜렷이 바꾸었지만, B. subtilis AH18가 B. licheniformis K11와 혼용되었을 때는 토양미생물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따라서 이들 두 미생물을 동시에 처리할 경우 고추역병 방제와 토양미생물 생태 보존의 두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양으로부터 항균물질 생성균 및 감수성 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Microorganisms and Sensitive Strain from Soil)

  • 장해춘;김수인;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26-533
    • /
    • 1999
  • Two species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bacteria and one sensitive strain were isolated from soil. Those were identified as B. subtilis, B. licheniformis, and Curtobacterium sp. by morphological,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These were designated as B. subtilis cx1, B. licheniformis cy2 and Curtobacterium sp. cf3, respectively. Antimicrobial agent produced by B. subtilis cx1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including of B. subtilis, Curtobacterium sp., L. mesenteroids, Staphy. aureus, S. faecalis and even gram negative bacteria, P. aeruginosa. Antimicrobial agent from B. licheniformis cy2 showed slightly lower antimi crobial activity than that from B. subtilis cx1. These two strains showed maximum produ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at 30oC for 9~21hr cultivation. Curtobacterium sp. cf3 showed more sensitive activity than a sensitive strain of B. subtilis ATCC 6633 which was same genus or species with the B. subtilis cx1 and B. subtilis cy2, when the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strains, B. subtilis cx1 and B. subtilis cy2, were directly applied onto these sensitive lawns.

  • PDF

이차원전기영동법을 이용한 길항세균 Bacillus licheniformis DM3와 이의 항진균 활성 결여 돌연변이균주간 단백질 비교 분석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roteins between Bacillus licheniformis DM3 and Its Antifungal Activity Deficient Mutant)

  • 이영근;김재성;정혜영;장유신;장병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3-209
    • /
    • 2003
  • 항진균 활성균주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DM3 균주를 대천 바닷가에서 수집된 진흙 시료로부터 분리하였으며 API 50CHB kit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는 12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감마선($^{60}Co$)을 조사하여 항진균 활성 결핍 돌연변이체(mDMB)를 유도한 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DM3와 mDM3에만 존재하는 각각 4종과 3종의 단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2-DE 결과 B. licheniformis DM3에서 spot 1은 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45.0kDa), spot 2는 hypothetical protein(40.7 kDa), spot 3는 NifU protein homolog(15.4 kDa), 그리고 spot 4는 resolvase(12.5 kDa)와 상동성을 지닌 단백질로 동정되었고 B. licheniformis mDM3에서만 발현된 spot 5는 lysozyme(18.1 kDa)과 spot 6, 7은 alkyl hydroperoxide reductase(15.6 kDa)으로 동정되었다. B. licheniformis DM3에서 이들 단백질들의 항진균 활성 관련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서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