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wareness of satisfaction on curriculum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NCS기반 절삭가공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특성화고 기계계열 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e Subject of NCS-based Metal Machining)

  • 박수한;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2-62
    • /
    • 2020
  • 교육부에서는 산업현장의 실무와 직업교육 및 훈련, 자격 내용의 불일치 해소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산업현장과 교육·훈련기관 등으로 빠르게 적용해 나가고 있으며, 2018년도부터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교육에 NCS기반 교육과정을 전면 도입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특성과고의 기계계열인 '기계' 및 '기계·금속'전공 교사를 대상으로 350명을 지역별로 유층 표집하여 절삭가공 실무과목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관련 학과에서 선반가공, 밀링가공, 컴퓨터활용생산, 측정과목의 적용률은 전체 응답자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둘째, 실무과목 및 능력단위 선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교사 인식은 산업체 요구능력이 가장 높다. 셋째, 실무과목 도입으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학생의 실무 능력 향상과 산업체 요구 충족이 가장 높으며 넷째, 실무과목 도입으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부정적인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학습모듈의 수준이 학생의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렵다는 것과 학습모듈에 집필되어 있는 산업체 장비와 학교 장비가 차이가 있어 수업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다섯째, 실무과목 수업 및 제반 여건에 대한 교사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며 실무과목의 수준, 재구성된 실무과목 교재를 제본 또는 구매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하이다. 따라서 기계관련 학과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가장 대표성을 띠는 위 4개 실무과목의 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초기청소년의 건강한 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Healthy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

  • 윤명선;김순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07-12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s. The overall goals of the program were to not only increase knowledge and skirts, but also to improve the awareness of healthy sex in order to promote premarital abstinence, parent-teen communication and parenta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prevention of sexual problems of the early adolescent. The program consisted of six sessions: puberty changes during adolescence, the meaning of sexuality, sexual drives in dating relationships, understanding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early sexual involvement and support for postponing sexual activities, managing and avoiding sexually risky situation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s with parents about issues related to sexuality. The program evaluation had three steps: pre-test, immediate post-test and two month follow-up post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knowledge about sex, and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particularly in the immediate post-test. At the two month follow-up assessment, the effect of the program still remained strong, though there was a sight and partial reduction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express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Parental involvement appeared to be effective as well.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include: to re-evaluate the curriculum for various other participants. In addition, further study which would compare post-test results of these participants with a comparison group of peers who did not receive the program would be valuable.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in implementing specific subjects (sessions) in new settings, as well as implementing the entire package of the program.

  • PDF

지방 중소도시 소재 사립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career awareness of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located in a regional small and medium-sized city)

  • 도종훈;박윤범;박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679-6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방 중소도시에 위치한 사립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재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의식과 수요 및 준비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수학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 실태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진로 지도 및 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수학교육과 학생의 학과 선택 시기와 동기, 수학교육과 선택과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등에 대한 만족도,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생각과 학년별 변화, 수학교육과 관련 직업과 진로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수학교육과로의 진로를 선택했고, 선택의 가장 큰 동기는 개인 적성에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때문인지 수학교육과 선택에 대한 만족도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이 자신의 진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년이 높아질수록 수학 교사가 아닌 다른 진로를 생각하는 학생들의 수가 많아지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2학년 혹은 3학년이 되면서 전공 공부의 어려움, 교사 임용시험의 높은 경쟁률과 낮은 합격률, 임용 교사 수의 감소 등의 원인으로 진로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양과목에 대한 치위생과 학생의 만족도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General Education Courses)

  • 한화진;유은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01-305
    • /
    • 2010
  • 본 연구는 치위생과 교육과정의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S시, L시, K시 소재의 4개교 2학년 치위생과 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양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2.54점으로 낮게 조사되었으며 세부적인 사항으로 중복성 2.63%, 적절성 2.61%, 교수방법 2.60% 순으로 만족도가 조사되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대한 교양과목의 만족도에서는 치위생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교양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학생들은 현재 수강중인 교양과목이 인격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다. 4. 일반적 특성과 교양과목에 대한 견해에서는 치위생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교양과목에 대한 견해가 긍정적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5. 교양과목에 대한 기대사항으로 교수방법과 실력있는 강사섭외,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분야로의 교양과목 확대 등을 학생들은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교양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교양과목에 대한 견해에서는 인격형성에 대한 부분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실력있는 강사섭외와 자기계발에 도움이 되는 교양과목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양과목에 대한 만족과 견해는 높고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개선과 검토가 이루어져 다양한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외식조리 대학생의 음주행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이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만족도와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교생활 연관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Awareness of Culinary Student Drinking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Stress)

  • 오석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9-154
    • /
    • 2016
  • 본 연구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음주 행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이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관계 연구이다. 대학생활중에 음주습관과 행위는 곧바로 사회생활로 이어진다는 데서 그 심각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조리와 같은 특수 직업분야에서 음주습관은 향후 경력관리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결과, 음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 모두 학교생활 만족도 및 스트레스와 매개 효과 연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음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학교생활 연관성과 ${\beta}=-.219$, p<0.01로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음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통계수준 ${\beta}=.445$, p<0.01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역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서도 ${\beta}=.213$, p<0.01 유의성을 보이고 있다. 음주 빈도나 습관에 있어서는 남녀 차이가 없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으로 남자가 음주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는 고정관념이 사라지고, 음주는 남녀 모두의 문제로 대두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가 될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대학전공을 구체적으로 연구를 하였지만, 졸업 후 직업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주 행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지속적 연구인 종단 연구가 필요하다.

The development of a taste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and evaluation of a program by parents and childcare personnel

  • Shon, Choengmin;Park, Young;Ryou, Hyunjoo;Na, Woori;Choi, Kyungsu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5호
    • /
    • pp.466-473
    • /
    • 2012
  • The change in people's dietary life has led to an increase in an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food chemicals, raising awareness about taste education for preschoolers whose dietary habits start to grow.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nd childcare personnel after developing a taste education program and demonstrating it in class. A part of the curriculum developed by Piusais and Pierre was referred for the program. After educating 524 preschoolers in child care facilities in Seoul,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rogram.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frequency after collecting the data. Mean ${\pm}$ SD used to determine satisfaction with taste education, with preferences marked on a five-point scale and the alpha was set at 0.05. The program includes five teachers' guides with subjects of sweetness, saltiness, sourness, bitterness and harmony of flavor, and ten kinds of teaching tools. For the change in parent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aste education based on five-point scale, the average of $4.06{\pm}0.62$ before the program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4.32{\pm}0.52$ (P < 0.01). Regarding the change in the preferences for sweetness, saltiness, sourness, and bitterness, the average has increased to $3.83{\pm}0.61$, $3.62{\pm}0.66$, $3.64{\pm}0.66$, and $3.56{\pm}0.75$ respectively. In an evaluation of instructo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average scores for education method, education effect, education contents and nutritionists, and teaching tools were at $4.15{\pm}0.63$, $3.91{\pm}0.50$, $4.18{\pm}0.50$, and $3.80{\pm}0.5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eed for a continuous taste education scored $4.42{\pm}0.67$. This program has created a positive change in preschoolers' dietary life, therefore the continuation and propagation of the tast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 (Awareness to the Experience of Rural Married Migrant Women's Life in Korea)

  • 이현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71-103
    • /
    • 201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와 인천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활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이주여성들의 절반이상은 자신들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으며, 남편과의 만족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지도이며, 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기초 교과지도, 자녀교육의 문제해결 방법으로 방과 후 학교교육 활성화와 언어소통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에서 힘든 점은 언어문제이며, 차별받은 장소는 공공장소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가장 필요한 도움은 언어소통, 자녀교육, 지역사회 적응의 문제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주 참여하는 모임이나 활동은 종교단체, 모국친구 모임이며, 어려울 때 의논하는 사람은 한국인, 모국인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농촌지역 결혼이주 여성들이 지역사회와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여 자녀들을 잘 양육할 수 있는 기틀을 지역사회와 한국사회는 제도적으로 잘 마련하며 또한 기초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활용의 정보과학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recognition on CS education according to CS education with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ing Tool)

  • 심재권;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85-393
    • /
    • 2010
  • 초등 정보교육은 2000년의 정보통신기술 교육운영지침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2005년 이후 개정을 통해 활용중심의 교육에서 정보과학 중심으로 교육의 초점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의 방향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활용에 대한 효과 검증이 진행되었으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을 검증하고자, 12차시에 걸쳐 정보과학 내용인 언플러그드 학습, 스크래치, 로봇 프로그래밍을 교육하였다. 교육 후, 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45명을 대상으로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 비교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정보과학 교육에 대한 흥미 및 만족도, 자신감 그리고 정보과학 교육의 가치 변인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토대로 할 때, 활용 중심의 정보 교육보다는 사고력 향상 중심의 교육을 통해 정보과학 교육의 기본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텍스트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육 요구조사 분석: A대학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Software Educational Needs by Applying Text Content Analysis Method: The Case of the A University)

  • 박금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5-7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강의평가결과에 대해 텍스트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수강생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텍스트 내용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해 단어출현빈도, 핵심단어 선정, 핵심단어의 공출현빈도를 산출하고,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해 텍스트 중앙성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프트웨어 교육의 좋은 점 네트워크는 '교수님'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고 '친절', '학생', '설명', '코딩'과 함께 언급되고 있다. 개선점 네트워크는 '강의'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고 '좋겠다', '학생', '교수님', '과제', '코딩', '어려운', '발표'가 함께 언급되었다. 좋은 점과 개선점에 대한 네트워크 비교 분석에서 공통으로 언급된 핵심 단어 중 조별(활동), 과제, 수업의 난이도, 교수자에 대한 생각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생각 차이는 강의평가 내용을 통해, 개별 조원의 적절한 역할 부족, 어렵고 과다한 과제, 소프트웨어 교육의 난이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 교수자의 수업방식과 피드백의 부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교육의 조별(활동)과 과제부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강의내용과 교수방법, 실습과 디자인 싱킹을 다루는 비율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기록 중요성 인식 제고를 위한 초등 기록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lementary Record Education Program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cords : Focusing on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Korea)

  • 배나윤;이수현;오효정
    • 기록학연구
    • /
    • 제78호
    • /
    • pp.251-283
    • /
    • 2023
  • 일반적으로 '기억'에 비해 '기록'이라는 단어는 다소 낯설 수 있다. 특히 초등학생들은 기록에 대한 개념과 중요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않으며, 교육과정 상에 기록관리, 활용에 대한 내용이 부재해서 배움의 기회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실연해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교육매체로 선정하여 교육안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J초등학교 6학년 3개반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을 위해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생 대상 설문분석 결과, 기록 및 국내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에 대한 인식, 지식과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성 항목 모두 유의미하게 수치가 상승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검증하였으며 제한된 시간에 맞는 분량 조절이 필요하다는 보완 의견이 수렴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향후 기록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