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General Education Courses

교양과목에 대한 치위생과 학생의 만족도

  • Han, Hwa-Jin (Dept. of Dental Hygiene, Keukdong College) ;
  • Yoo, Eun-Mi (Dept. of Dental Hygiene, Keukdong College)
  • 한화진 (극동정보대학 치위생과) ;
  • 유은미 (극동정보대학 치위생과)
  • Received : 2010.07.22
  • Accepted : 2010.10.11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dental hygiene students with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of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s and their awareness of the curriculums in a bid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5 sophomores in four different colleges located in the cities of S, L and K.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arried out,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 with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y got 2.54, which was a low score. To be specific, they expressed the most satisfaction with the duplication of the courses (2.63%), followed by appropriateness (2.61%) and teaching methods (2.60%). As for link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students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were more gratified with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students didn't think that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y were taking were conducive to character building.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iew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students who were better contented with their major took a more favorable view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relation to expectations for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y asked for efficient teaching methods, competent lecturers and the kinds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hat could step up self-development. Therefore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s should discreetly be reviewed to ensure the successful and divers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s.

본 연구는 치위생과 교육과정의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S시, L시, K시 소재의 4개교 2학년 치위생과 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양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2.54점으로 낮게 조사되었으며 세부적인 사항으로 중복성 2.63%, 적절성 2.61%, 교수방법 2.60% 순으로 만족도가 조사되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대한 교양과목의 만족도에서는 치위생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교양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학생들은 현재 수강중인 교양과목이 인격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다. 4. 일반적 특성과 교양과목에 대한 견해에서는 치위생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교양과목에 대한 견해가 긍정적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5. 교양과목에 대한 기대사항으로 교수방법과 실력있는 강사섭외,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분야로의 교양과목 확대 등을 학생들은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교양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교양과목에 대한 견해에서는 인격형성에 대한 부분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실력있는 강사섭외와 자기계발에 도움이 되는 교양과목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양과목에 대한 만족과 견해는 높고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개선과 검토가 이루어져 다양한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손동현: 한국교양교육학회 창립의 취지. 교양교육연구 1(1): 271, 2007.
  2. 이성호: 대학교육과정론-쟁점과 과제.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pp.145-149, 1987.
  3. 강내희: 지식생산, 학문전략, 대학개혁. 문화과학사, 서울, pp.367, 1998.
  4. 배을규, 윤성일, 정재일: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분석과 개선 방향. 한국고등교육학회 14(1): 1-26, 2003.
  5. 이형행: 대학 갈등과 선택.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pp.77-82, 1990.
  6. 기혜원: 대학교의 음악관련 교양과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008.
  7. 김응권 외: 치위생학의 교육표준화 및 발전방향. 서울,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위생과교수협의회 공동연구과제. 2006.
  8. 정치봉: 교양.기초교육과정에 대한 교수.학생의 인식비교. 순천향자연과학연구 18(2): 123-132, 2002.
  9. 이성희: 대학 교양교육내용의 유형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
  10. 이태석, 최양미: 안양대학교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안양대학교 논문집 18: 215-237, 1999.
  11. 이주신: 대학 교양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 학생생활연구 13: 47-103, 1993.
  12. 이상로, 이윤수: 대학의 교양교육에 관한 조사연구. 학생지도연구 2(1): 46-56, 1969.
  13. 조원숙: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대학원, 포천,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