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Elementary Record Education Program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cords : Focusing on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Korea

기록 중요성 인식 제고를 위한 초등 기록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중심으로

  • 배나윤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이수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오효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23.09.27
  • Accepted : 2023.10.11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Compared to the word "memory" in general, the word "record" can be unfamiliar. This study addressed the problem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 not have enough learning opportunities due to the lack of content on records in the curriculum.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Korea's UNESCO Memory of the world was conducted for three classes of 6th graders at J Elementary School,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administering pre- and post-surveys to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to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understanding, knowledge, satisfaction with the lessons, and need for records and Korean UNESCO Memory of the world. Teacher interviews confirmed the effect of the program, but suggested that it should be adjusted to fit the limited time available. Based on this, we verified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future record education programs.

일반적으로 '기억'에 비해 '기록'이라는 단어는 다소 낯설 수 있다. 특히 초등학생들은 기록에 대한 개념과 중요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않으며, 교육과정 상에 기록관리, 활용에 대한 내용이 부재해서 배움의 기회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실연해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교육매체로 선정하여 교육안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J초등학교 6학년 3개반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을 위해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생 대상 설문분석 결과, 기록 및 국내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에 대한 인식, 지식과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성 항목 모두 유의미하게 수치가 상승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검증하였으며 제한된 시간에 맞는 분량 조절이 필요하다는 보완 의견이 수렴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향후 기록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낙현(2016). [무예도보통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방안. 동양고전연구, 64, 251-279.
  2. 김경남(2021). 세계기록유산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의 수집현황과 기술규칙 제안. 기록학연구, 71, 91-130.
  3. 김미정(2019).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의 기록문화프로그램 운영 사례와 발전방안. 기록학연구, 62, 109-138.
  4. 김은실, 오효정, 최민정, 김용(2017).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101-128.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2.101
  5. 송수희, 한희정, 장준갑 and 김용(2014).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여성을 위한 도서관 정보활용교육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97-124.
  6. 심성보(2007).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기록학연구, 16, 203-258.
  7. 이능금, 김용, 김건(2015).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NIE 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107-127.
  8. 이미연, 김갑수(2023). 초등학생의 지역 환경과 기후 변화 데이터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3(2), 183-200. https://doi.org/10.22368/KSECCE.2023.13.2.183
  9. 이용섭(2019).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198-207.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198
  10. 이재수(2011). 고려대장경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의 방안.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17(1), 199-222.
  11. 이혜정, 정재원(2021). 온라인 직소모형 협동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학습 활동 경험 분석. 교육문화연구, 27(5), 317-338. https://doi.org/10.24159/JOEC.2021.27.5.317
  12. 장효정, 송나라, 최효영, 김용(2015). 집단탐구(GI)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대통령 기록관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51-81.
  13. 제창욱, 이동호(2010). 협동학습모형을 활용한 고등학교 허들수업의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3), 1-17.
  14. Aronson E., Blaney N., Silkes J., Stephan G., & Snapp M.(1978). The Jigsaw classroom. Beverly Hills, CA: Sage Pub.
  15. Johnson, D. W., & R. T. Johnson(1989).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ory and Research. Minnesota: Interact Book Co.
  16. 박성진(2009).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제도의 고도화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7. 이지은(2013).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에 관한 서지학적 고찰. 국내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8. 정문성(2006). 협동 학습의 이해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19.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2018). 2015 개정시기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