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ena tes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단기간 귀리 추출물 섭취의 혈당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평가 (Evaluation the Effects of Short Term Intake Avena sativa Extracts on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

  • 김하나;이인수;신경숙;윤순규;이부형;윤승규;최진우;서인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72-279
    • /
    • 2015
  • 최근 혈당조절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천연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귀리는 다양한 생리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beta}$ 클루칸은 체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비만과 관련된 성인병 예방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품화된 귀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다운앤컨트롤(비엠제약)을 이용하여 6주간 무작위, 이중맹검, 실험군-대조군 임상 연구를 통해 혈당 및 혈중 콜레스테롤에 대한 효과를 평가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당화알부민은 각각 시험군에서 50.33% 감소, 대조군에서 37.91% 감소 및 중성지방은 시험군에서 7.51% 감소, 대조군에서 3.98% 증가로 상대적으로 차이를 보여 시험약의 혈당저하 효과 및 중성지방의 감소효과를 일부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Growth Response of Avena sativa in Amino-Acids-Rich Soils Converted from Phenol-Contaminated Soils by Corynebacterium glutamicum

  • Lee, Soo-Youn;Kim, Bit-Na;Choi, Yong-Woo;Yoo, Kye-Sang;Kim, Yang-Hoon;Min, Ji-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4호
    • /
    • pp.541-546
    • /
    • 2012
  • The biodegradation of phenol in laboratory-contaminated soil was investigated using the Gram-positive soil bacterium Corynebacterium glutamicum. This study showed that the phenol degradation caused by C. glutamicum was greatly enhanced by the addition of 1% yeast extract. From the toxicity test using Daphnia magna, the soil did not exhibit any hazardous effects after the phenol was removed using C. glutamicum. Additionally, the treatment of the phenol-contaminated soils with C. glutamicum increased various soil amino acid compositions, such as glycine, threonine, isoleucine, alanine, valine, leuc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This phenomenon induced an increase in the seed germination rate and the root elongation of Avena sativa (oat). This probably reflects that increased soil amino acid composition due to C. glutamicum treatment strengthens the plant roots. Therefore, the phenol-contaminated soil was effectively converted through increased soil amino acid composition, and additionally, the phenol in the soil environment was biodegraded by C. glutamicum.

Ethalfluralin이 귀리 (Avena sativa L.)의 생장억제(生長抑制)에 미치는 영향 (The Mode of Action of Ethalfluralin on Growth Inhibition in Oat (Avena sativa L.))

  • 정남용;권성환;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1
    • /
    • 1991
  • 식물생장 억제제인 ethalfluralin의 작용기구를 구명하기 위하여 제초제의 작용에 민감한 귀리(Avena sativa L.)를 택하여 조사한 세포분열(細胞分裂), 세포신장(細胞伸長) 및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 그리고 조직(組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Ethalfluralin를 처리한 모든 처리구의 세포분열(細胞分裂) 억제(抑制)효과는 metaphase arrest로 인하여 후기(後期)와 말기(末期)의 세포분열(細胞分裂)이 나타나지 않았다. 2. 세포신장(細胞伸長) 억제(抑制)효과는 $1{\times}10^{-6}$M 이상의 농도에서 50%가 억제(抑制)되었으며 $1{\times}10^{-3}$M에서 87%의 억제(抑制)를 보여 ethalflural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률이 증가했다. 3. 단백질합성(蛋白質合成) 억제(抑制)는 8시간 처리후 모든 농도 ($1{\times}10^{-6}$M to $1{\times}10^{-3}$)에서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효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조직(組織)의 변화는 24시간 처리후$1{\times}10^{-7}$M에서 근단 세포가 크게 보였으며 세포질(細胞質)이 없는 세포, 다핵(多核) 세포(細胞) 및 균일(均一)하지 않은 핵(核)이 관찰되었다.

  • PDF

IAA수준의 조절에 미치는 과산화수소의 영향 (Involvement of hydrogen peroxide in the regulation of IAA level in plants)

  • 박노동;김정봉;박창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29-132
    • /
    • 1990
  • 저온에서 식물체중에 축적되는 과산화수소의 생리적 기능을 IAA수준의 조절과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과산화수소는 10mM농도에서 완두의 발근과 귀리 초엽의 신장을 억제하였으며 IAA의 호르몬 효과도 억제하였다. 이 억제효과는 catalase를 첨가하면 해제되었다. 유리의 IAA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Salkowski시약에 민감하지 않은 어떤 복합체를 형성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하여 불활성화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므로 저온에서 식물체내에 축적된 과산화수소는 IAA를 불활성화하여 세포의 유용한 IAA수준을 하향조절하였을 것으로 여겨졌다.

  • PDF

Fluazifop-butyl의 제초기구(除草機構)에 관한 연구(硏究)- 제2보(第II報) Fluazifop-butyl이 귀리뿌리의 세포분열(細胞分裂), 세포신장(細胞伸張) 및 단백질합성(蛋白質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f Mode of Action of Fluazifop-butyl- II. Fluazifop-butyl Effect on Cell Division, Cell Enlargement, and Protein Synthesis in Oat(Avena sativa L.) Roots)

  • 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8-173
    • /
    • 1986
  • 본 연구는 생장억제제(生長抑制製)인 fluazifop-butyl의 제초작용기구(除草作用機構)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제초제가 생장의 기본요소인 세포분열(細胞分裂)과 신장(伸長) 그리고 단백질합성(蛋白質合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제초제를 귀리의 뿌리에 농도별로 처리한 후 0 에서 48 시간까지의 세포분열(細胞分裂)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세포신장(細布伸長)에 미치는 제초제의 영향은 oat coleoptile straight growth test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에 미치는 제초제의 영향은 $^{14}C$-leucine을 뿌리에 흡수 시켜서 합성인제합성유제(合成柳制) 정도를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했다. 16시간 처리 후 $1{\times}10^{-3}M$$1{\times}10^{-4}M$구에서 세포분열을 억제하였다. 18 시간 처리 후 모든 처리구에서 세포분열이 억제되었다. 24 시간 처리 후에는 $1{\times}10^{-3}M$은 100%, $1{\times}10^{-4}M$은 99% $1{\times}10^{-5}M$은 89% 의 세포분열을 억제시켰으나 저농도구인 $1{\times}10^{-6}M$은 같은 처 리 기간동안에 20%의 세포분열만을 억제시켰다.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억제효과(抑制效果)도 증가하였다. 억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기간은 처리후 0 에서 18 시간 이내에 나타났다. 본 제초제의 세포신장억제 효과는 $1{\times}10^{-7}M$ 이상의 고농도에서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으며 $1{\times}10^{-6}M$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50% 이상의 세포 신장억제를 보여 주었다. 단백질합성에 관한 조사에서는 8 시간 처리후에 60%의 단백질합성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fluazifopbutyl의 식물생장(植物生長) 억제기구(抑制機構)는 세포분열과 신장 그리고 단백질합성을 억제함으로써 기인된 것으로 시료된다.

  • PDF

Alantolactone이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L-Cysteine과의 상호작용 (Inhibitory Effect of Alantolactone on the Growth of Plant and Interaction with L-Cysteine)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1호
    • /
    • pp.9-14
    • /
    • 1974
  • Inhibitory effect of alantolactone and isoalantolactone was shwon in Avena straight growth test and in the formation of adventitious root in Phaseolus seedling. However, di-, and tetrahydroalantolactones given no effect on the elongation and the rooting. Inhibitory effect of alantolactone could partly be removed by cysteine, cystine, and reduced glutthione. The plant materials were made less sensitive to alantolactone by the pretreatment of cysteine, but cysteine supplied after the treatment of alantolactone brought about no effect on the action of alantolactone. A new spot was shown on TLC plate from the mixture of alantolactone and cysteine, indicating that alantolactone can be inactivated by cysteine, not cystine, without any biological processes.

  • PDF

In-Vitro, In-Vivo 동물모델에서 귀리 유래 수용성 베타-글루칸의 칼로리 제한 효과 작용기전 규명 (Mode of Action of Water Soluble β-Glucan from Oat (Avena sativa) on Calorie Restriction Effect In-Vitro and In-Vivo Animal Models)

  • 강한나;김세찬;강용수;권영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22-1228
    • /
    • 2017
  •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soluble ${\beta}-glucan$ from oat (Avena sativa) against various digestive enzymes such as ${\alpha}-glucosidase$, sucrase, maltase and glucoamylase. Inhibition of these enzymes involved in the absorption of disaccharide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post-prandial increase of blood glucose level after a mixed carbohydrate diet. The ${\beta}-glucan$ had the highest documented rate of small intestinal sucrase inhibitory activity (2.83 mg/mL, $IC_{50}$) relevant for potentially managing post-prandial hyperglycemia. Furthermore, we evaluated the effects of ${\beta}-glucan$ on the level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 animal model.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ere tested two hours after sucrose/starch administration, with and without ${\beta}-glucan$ (100, and 500 mg/kg-body weight). The maximum blood glucose levels (Cmax) of ${\beta}-glucan$ administration group were decreased by about 23% (from $219.06{\pm}27.82$ to $190.44{\pm}13.18$, p<0.05) and 10% (from $182.44{\pm}13.77$ to $165.64{\pm}10.59$, p<0.01) in starch and sucrose loading test,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control in pharmacodynamics study. The ${\beta}-Glucan$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lowered the mean, maximum, and minimum level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at 30 min after meal.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felt that our findings suggest that ${\beta}-glucan$ from oat serves to reduce post-prandial blood glucose rise secondary to slower absorption of glucose in the small intestine, via carbohydrate hydrolyzing enzymes inhibition.

식물홀몬 및 생장조절물질의 생물검정기술 I. 옥신, 지베렐린 및 싸이토키닌 (Bioassays of Plant Hormones and Plant Growth Regulating Substances I . Auxins, Gibberellins, and Cytokinins)

  • 이정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s01호
    • /
    • pp.4-15
    • /
    • 1989
  • 식물홀몬을 포함한 각종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생검법(bioassays or biological assays)을 소개 및 비교검토함과 동시에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한 몇가지 유의점을 지적코자 옥신류 생검에서는 녹두발근과 귀리제1절간장신장, gibberellin에서는 왜성벼의 제2엽신장과 왜성완두의 상조축신장, 그리고 cytokinin류에서는 무자엽생장, 담배줄기수캘러스생장, 그리고 오이자엽내엽록소형성 등의 방법을 요약하였다. 아울러 일련의 실험을 통해 얻어졌던 각종생장조절물질(특히 최근에 개발되는 각종 왜화제)에 대한 반응을 홀몬별로 요약 및 비교하였다.

  • PDF

저수지역 식물의 군집특성 및 수질영향 평가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mpact by Plants at Flooded Area)

  • 이요상;김호준;정선아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6호
    • /
    • pp.407-415
    • /
    • 2006
  • This study carried out submerged area due to Dam construction in the near future. It includes species classification of plant, survey of community structure, examination of pollutant load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mpact. The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are listed 224 taxa; 64 families, 168 genera, 193 species, 30 varieties and 1 form. This study area is classified into total 21 communities, most community was consist of grass vegetation. Among the communities, Erigeron annuus ($869,286m^2$, 22%) community was dominant and Erigeron annuus-Avena fatua comminity (16%) was subdominant until May, and then Erigeron canadensis community occupied most area to $1,774,985m^2$ (32%) from May to July. For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mpact due to submerged macrophyte, nutrient release test was conducted both dead body macrophyte and living body macrophyte. The results of release test show that T-N is not released at dead body macrophyte, but it is released at living body macrophyte, especially living body Artemisia priceps var. orientalis shows 1.436mgN/g. At release test of dead body macrophyte, T-P release rate of Erigeron annuus shows 0.500mgP/g at the top of them and it also shows 0.436mgP/g at Erigeron annuus of living body macrophyte. T-N load of submerged macrophyte shows 0.76% by comparison of total load on watershed and T-P load of that shows 3.61%. In case of removal macrophyte for reduction of pollutant load in submerged area, T-N load of submerged macrophyte changes from 0.76% to 0.15% by comparison of total load on watershed and T-P load of that changes from 3.61% to 0.72%.

경북지역에서 파종시기가 춘파 귀리의 생육특성과 사료작물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 on Agronomic Traits and Forage Crop Seed Production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in Gyeongbuk Area)

  • 박정현;최광원;정기웅;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57-364
    • /
    • 2016
  • 경북 지역에서 수요가 높은 사료작물 중 춘파 귀리(Avena sativa L., cv. High Speed)의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위하여 2015년과 2016년 2년간 파종 시기별(2월 말일, 3월 10일, 20일)로 파종(130 kg/ha) 하였을 때 귀리의 생육 특성, 종자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출수기, 개화기 및 성숙기는, 매년 2월 말일 파종구와 3월 10일 파종구가 1~2일 차이로 거의 비슷하였다. 2월 말일 파종의 경우, 귀리의 초장이 타 파종구 대비 유의적으로 길었고 (p<0.05) 수장(穗長)은 2016년 최대 1cm 유의적으로 길었으며 단위 면적($m^2$)당 수수(穗數)도 2015년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다($416.7ea/m^2$). 이상, 파종 시기별 춘파 귀리는 2월 말 파종이 초장, 간장, 수장 및 단위 면적($m^2$)당 수수 등에서 비교적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1수립수(穗粒數)는, 2월 말일 파종구가 2016년 및 두 해 평균 각각 56.3 및 63.3개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1수립중(穗粒重)도, 2월 말일 파종구가 2016년 및 두 해 평균 각각 1.72 및 2.00 g/spike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종실 수량의 경우, 2월 말일 파종구에서 3월 10, 20일 파종구 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두 해 평균 가장 높은 종자 생산성(6,243 kg/ha)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ADF, NDF 및 TDN 함량에서 파종기와 무관하게 귀리의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북 경주지역에서 춘파 귀리의 적절한 파종 시기는, 종자 생산성 면에서 2월 말일이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