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ous Driving car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9초

자율주행시스템 개발을 위한 FMTC 가상주행환경 고도화 개발 (Development of Advanced FMTC Virtual Driving Environment for Autonomous Driving System Development)

  • 이빈희;허관회;이효진;이장우;윤종민;조성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0-69
    • /
    • 2022
  • Recently, the importance of simulation valida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for autonomous driving system validation is increasing. At the same time, interest in the advancement of the virtual driving environment is also increasing. To develop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 simulation environment similar to the real-world environment is needed. For this reason, not only the road model is configured in the virtual driving environment, but also the driving environment configuration that includ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raffic, object, etc- is necessary. In this article, FMTC, which is a test bed for autonomous vehicles, is implemented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advanced to form a virtual driving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real FMTC. In addition, the similarity of the virtual driving environment is verifi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al FMTC.

해킹으로 인한 자율주행자동차 사고 관련 책임 법제에 관한 연구 -민사상, 형사상, 행정책임 중심으로- (Civil liability and criminal liability of accidents caused by autonomous vehicle hacking)

  • 안명구;박용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19
  • 최근 4차 산업혁명이 화두로 등장하면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시험 운행이 늘어나면서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사고도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이버 해킹 위협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영국, 독일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사이버 해킹에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거나 기존의 법률을 개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자율주행자동차의 제한적인 임시운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자율주행자동차 해킹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적용할 법제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관련 법률 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자동차 사이버 해킹으로 인한 민사, 형사, 행정 책임 문제를 살펴보면서, 자율주행자동차 특성에 맞는 사고 책임 관련 법률체계를 제안하고 각 법제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분석하여 이슈사항을 도출하며, 추가적으로 간략한 개선방안도 제시한다.

K-City 가상주행환경 고도화를 통한 자율주행시스템 검증 환경 구축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System Verification Environment through Advancement of K-City Virtual Driving Environment)

  • 이빈희;허관회;이장우;김남우;윤종민;조성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26
    • /
    • 2023
  • Recently, the importance of simulation in a virtual driving environment as well as real road-based tests for autonomous vehicle testing is increasing. Real road test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t K-City, an autonomous driving test bed located at the Korea Automobile Safety Test & Research Institute of the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In addition, the need to advance the K-City virtual driving environment and build a virtual environment similar to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test environment in real road tests is increasing. In this study, for K-City of Korea Automobile Safety Test & Research Institute, using detailed drawings and actual field data, K-City virtual driving environment was advanced, and similarity verification was verifi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actual K-City.

자율주행자동차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on Purchase Intention for an Autonomous Driving Car -Focusing on Extended TAM-)

  • 김해연;성동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81-1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적용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자동차 운전경험이 있는 이들 가운데 일반인 117명을 대상으로 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영향과 지각된 위험은 인지된 유용성과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의 경우는 인지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구매의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이 자각하는 운전능력과 자동차 유희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연구가설에는 포함하지 않았으나 개인이 자각하는 운전능력이 인지된 유용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주목해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자율주행자동차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사회적 영향과 혁신성 및 지각된 위험은 중요한 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인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예비 수용자들의 인식을 미리 예측해 볼 수 있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 Review of Intelligent Self-Driving Vehicle Software Research

  • Gwak, Jeonghwan;Jung, Juho;Oh, RyumDuck;Park, Manbok;Rakhimov, Mukhammad Abdu Kayumbek;Ahn, Junh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11호
    • /
    • pp.5299-5320
    • /
    • 2019
  • Interest in self-driving vehicle research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related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In such a fast-paced self-driving vehicle research area,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for better convenience safety, and efficiency in road and transportation systems is expected. Here, we investigate research in self-driving vehicles and analyze the main technologies of driverless car software, including: technical aspects of autonomous vehicles, traffic infrastructure and its communications, research techniques with vision recognition, deep leaning algorithms, localization methods, existing problem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First, we introduce intelligent self-driving car and road infrastructure algorithms such as machine learning, image processing methods, and localizations. Second, we examine the intelligent technologies used in self-driving car projects, autonomous vehicles equipped with multiple sensors, and interactions with transport infrastructure. Finally, we highlight the future direction and challenges of self-driving vehicle transportation systems.

자율주행 이동체 시스템 구현을 위한 새로운 정보처리 모델 제안 (Proposal of New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r Implementation of Autonomous Mobile System)

  • 장은진;김정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37-242
    • /
    • 2019
  • 최근, 자율주행 이동체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율주행 이동체의 상용화 확대를 위한 유관 기관들의 연구 활동이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부분적이지만 실제 사용이 가능한 단계로 발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2018년 3월 우버와 테슬라 자동차로 인해 최초로 두 차례의 사망사고가 발생하였고, 새로운 시스템 보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사망 사고를 중점적으로 사고 원인을 분석하여 원인이 되었던 사물 인지오류를 확인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새로운 자율주행 이동체의 정보처리 모델을 제안한다.

자율주행차량 운전자 모니터링에 대한 동향 및 시사점 (Trends and Implications for Driver Status Monitoring in Autonomous Vehicles)

  • 장미;강도욱;장은혜;김우진;윤대섭;최정단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8권6호
    • /
    • pp.31-40
    • /
    • 2023
  • Given recent accidents involving autonomous vehicles, driver monitoring technology related to the transition of control in autonomous vehicles is gaining prominence. Driver status monitoring systems recognize the driver's level of alertness and identify possible impairments in the driving ability owing to conditions including drowsiness and distraction. In autonomous vehicles, predictive factors for the transition to manual driving should also be included. During traditional human driving, monitoring the driver's status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owing to the consistency of crucial cues, such as the driver's location, head orientation, gaze direction, and hand placement. However, monitoring becomes more challenging during autonomous driving because of the absence of direct manual control and the driver's engagement in other activities, which may obscure the accurate assessment of the driver's readiness to intervene. Hence, safety-ensuring technology must be balanced with user experience in autonomous driving. We explore relevant global and domestic regulations, the new car assessment program, and related standards to extract requirements for driver status monitoring. This kind of monitoring can both enhance the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and contribute to the overall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on the road.

Research on improvement of law for invigorating autonomous vehicle

  • Noe, Sang-O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67-173
    • /
    • 2018
  •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goal of commercializing autonomous vehicle by year 2020. With such changes, it is expecting to decrease car accident mortality by half. To commercialize autonomous car, not only worries on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has to be solved but at the same time, institutional system has to be clear to distinguish legal responsibilities in case of accident. This paper will present the legal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vehicl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concept of 'driver' institutionally. Second, it is appropriate to focus on Level 3 autonomous vehicle which is about to be commercialized in year 2020 and organize legal responsibility. Third, we should have a clear understanding on how level 3 autonomous vehicle will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Traffic Law,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 and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Security Law in line with level 3 autonomous vehicle. Fifth, it is necessary to review present car insurance system. Sixth, present Product Liability Law is limited to movable products (Article 2),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clude intangible product which is software. Seventh, we should review on making special law related to autonomous car including civil, criminal, administrative, and insurance perspectives.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율주행을 위한 불확실성 순차 모델링 (Uncertainty Sequence Modeling Approach for Safe and Effective Autonomous Driving)

  • 윤재웅;이주홍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9호
    • /
    • pp.9-20
    • /
    • 2022
  • 심층강화학습은 자율주행 도메인에서 널리 사용되는 end-to-end 데이터 기반 제어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강화학습 접근 방식은 자율주행 과제에 적용하기에는 비효율성, 불안정성, 불확실성 등의 문제로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자율주행 도메인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최근의 연구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계산 비용이 많고 특별한 가정에 의존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도메인에 불확실성 순차 모델링이라는 방법을 도입하여 비효율성, 불안정성, 불확실성을 모두 고려한 새로운 알고리즘 MCDT를 제안한다. 강화학습을 높은 보상을 얻기 위한 의사 결정 생성 문제로 바라보는 순차 모델링 방식은 기존 연구의 단점을 회피하고 효율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며, 여기에 불확실성 추정 기법을 융합해 안전성까지 고려한다. 제안 방법은 OpenAI Gym CarRacing 환경을 통해 실험하였고 실험 결과는 MCDT 알고리즘이 기존의 강화학습 방법에 비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성능을 내는 것을 보인다.

자율주행 자동차 환경에서의 운전자 경험에 대한 연구: 신뢰와 불신 형성 모형 중 심으로 (A Study on Driver Experience in Autonomous Car Based on Trust and Distrust Model of Automation System)

  • 이지인;김나은;김진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13-722
    • /
    • 2017
  •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기술 개발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운전자 관점에 대한 연구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부 연구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낙관적인 입장만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실제 자율주행 자동차를 태우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기반으로 인간과 차량 간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에스노그라피 접근을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자율주행 환경에서 운전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8개의 불신 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 신뢰 모형을 통해 자율주행 맥락에 적용하여 확장하였다는 점과 결과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환경에서 불신을 낮추고 신뢰를 높여줄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및 실용적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