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etallograph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5초

흰쥐에서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 후 뇌 흥분성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탈륨 Autometallography의 적용 (Application of Thallium Autometallography for Observation of Changes in Excitability of Rodent Brain following Acute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 이민수;양승범;허준호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6-78
    • /
    • 2019
  • Purpose: Thallium (TI+) autometallography is often used for the imaging of neuronal metabolic activity in the rodent brain under various pathophysiologic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thallium autometallographic technique to observe changes in neuronal activity in the forebrain of rats following acute carbon monoxide (CO) intoxication. Methods: In order to induce acute CO intoxication, adult Sprague-Dawley rats were exposed to 1100 ppm of CO for 40 minutes, followed by 3000 ppm of CO for 20 minutes. Animals were sacrificed at 30 minutes and 5 days after induction of acute CO intoxication for thallium autometallograph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toluidine blue staining were performed to observe cellular damage in the forebrain following intoxication. Results: Acute CO intoxication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of TI+ uptake in major forebrain structures, including the cortex, hippocampus, thalamus, and striatum. In the cortex and hippocampal CA1 area, marked reduction of TI+ uptake was observed in the cell bodies and dendrites of pyramidal neurons at 30 minutes following acute CO intoxication. There was also strong uptake of TI+ in astrocytes in the hippocampal CA3 area following acute CO intoxic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histological findings of cell death and no reduction of NeuN (+) neuronal populations in the cortex and hippocampus at 5 days after acute CO intoxi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allium autometallography can be a new and useful technique for imaging functional changes in neural activity of the forebrain structure following mild to moderate CO intoxication.

쥐의 연수에서 아연이 풍부한 뉴런(ZEN neuron) 세포체의 분포 (Distribution of Zinc Enriched (ZEN) Neuron Somata in the Medulla Oblongata of Rat)

  • 조현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75-381
    • /
    • 1995
  • 쥐에 sodium selenite 를 피하주사하여 연수에 분포하는 아연이 풍부한 뉴런의 세포체 위치를 autometallography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표지된 세포체의 분포양상은 앞쪽 부위에서 뒤쪽 부위까지 다양하였다. 표지된 세포체는 C1 adrenaline cells, gigantocellular reticular uncleus, inferior olive, paragigantocellular uncleus, prepositus hypoglossal uncleus, raphe obscurus uncleus, 및 reticular uncleus 부위에 나타났다.

  • PDF

오토메탈로그라피에 의한 마우스의 신장, 간장, 비장, 및 소뇌에 축적된 수은의 검출 (Detection of Mercury in Kidney, Liver, Spleen and Cerebellum of the Mouse by Autometallography)

  • 조현욱;김명훈;황규영;이성태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401-408
    • /
    • 1997
  • Adult male ICR mice were exposed to methylmercuric chloride (CH$_3$HgCI) through drinking water for 80 days. The distribution of mercury in the kidney, liver, spleen and cerebellum of the mouse was examined according to a autometallographic silver-enhancement technique based on a physical development process which renders mercury deposit visible. Grains of mercury traces were located i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Lesser staining of the grains was seen in the collecting tubules of medulla.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was void. In the liver, mercury accumulations were present primarily in the hepatocytes around portal area containing interlobular bile duct, artery and portal vein. Also grains of mercury traces were accumulated in the white pulp of the spleen and Purkinje cell layer of the cerebellum.

  • PDF

랫드 척수신경절내 zinc의 분포양상: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Histochemically-reactive Zinc in the Rat Dorsal Root Ganglion (DRG) Neurons: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 김이석;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15-19
    • /
    • 2010
  • 이번 연구에서는 성체 랫드(Sprague-Dawley)의 척수신경절내 분포하는 zinc의 분포 관찰하기 위하여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y(AMG)로 염색하였다. H-E염색표본에서 척수신경절 속에는 신경절세포들이 무리지어 분포하고 있었고, 세포체는 둥글거나 타원형이었으며, 작은 신경절세포, 큰 신경절세포로 대별되었다. 모든 신경절세포의 세포체는 한 층의 납작한 위성세포(satellite cell)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었다. AMG 염색표본에서는 작은 신경절세포의 경우 강한 양성반응이 핵 주변부에서 관찰되었으나, 큰 신경절세포의 경우 전반적으로 미약한 AMG 양성반응을 보였고, 염색양상도 서로 달랐다. 그러나 큰 신경절세포를 둘러싸는 위성세포에서는 뚜렷한 AMG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조직화학적 본 연구의 결과는 zinc가 감각신경절인 랫드 척수신경절에서 통증을 포함한 감각의 전달과정에 의미있는 기능을 영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경두개 전침과 발효황금 병행 투여가 흰쥐의 허혈성 뇌세포 손상에 미치는 효과 (Combination of Transcranial Electro-Acupuncture and Fermented Scutellaria baicalensis Ameliorates Motor Recovery and Cortical Neural Excitability Following Focal Stroke in Rats)

  • 김민선;구호;최명애;문세진;양승범;김재효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5권4호
    • /
    • pp.187-202
    • /
    • 2018
  • Objectives : Non-invasive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is one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change in neural excitability of the cortex. Transcranial electro-acupuncture (TEA) can modulate brain functions through changes in cortical excitability as a model of non-invasive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ome composites of fermented Scutellaria baicalenis (FSB) can activate intercellular signaling pathways for activat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that is critical for formation of neural plasticity in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on of combinatory treatment of TEA and FSB on behavior recovery and cortical neural excitability in rodent focal stroke model. Methods : Focal ischemic stroke was induced by photothrombotic injury to the motor cortex of adult rats. Application of TEA with 20 Hz and $200{\mu}A$ in combination with daily oral treatment of FBS was given to stroke animals for 3 weeks. Motor recovery was evaluated by rotating bean test and ladder working test. Electrical activity of cortical pyramidal neurons of stroke model was evaluated by using multi-channel extracellular recording technique and thallium autometallography. Results : Compared with control stroke group who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Combination of TEA and FSB treatment resulted in more rapid recovery of forelimb movement following focal stroke. This combination treatment also elicited increase in spontaneous firing rate of putative pyramidal neurons. Furthermore expression of metabolic marker for neural excitability was upregulated in peri-infract area under thallium autometallograph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bination treatment of TEA and FSB can be a possible remedy for motor recovery in focal stroke.

생쥐 맥락얼기에 분포하는 ZnT3 및 zinc 이온의 조직화학적 동정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ZnT3 and Zinc Ions in the Mouse Choroid Plexus)

  • 김성주;김용국;손원재;김수진;정영길;유윤조;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77-383
    • /
    • 2002
  • 본 연구는 BALB/c 생쥐 맥악얼기내 ZnT3 및 zinc 이온을 ZnT3 항혈청을 이용한 면역세포화학법(ABC법)과 autometallography ($ZnSe^{AMG}$)로 각각 동정하였다. 저배율에서 맥락얼기내 ZnT3 면역반응은 미약하였으나, 고배율에서는 맥락상피와 맥락조직에 국한된 뚜렷한 면역반응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에서 관찰된 ZnT3 면역반응은 주로 맥락상피의 자유면쪽 미세융모 및 막성 소기관에 국한되었던 반면 맥락조직내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서는 면역반응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AMG 염색결과 맥락상피와 맥락조직에서 강한 AMG 과립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모세혈관의 내피상피에서 가장 많이 AMG 과립이 분포하고 있었다. 맥락상피내 AMG 과립은 주로 다소포체에서 관찰되었으며, 소수는 특정 세포질소기관과 상관없이 사이토졸에 산재해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맥락얼기가 일종의 zinc pool의 역할이 있을 것이며, 최소한 뇌척수액과 뇌실질간에 zinc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믿는다.

Localization of Methyl Mercuric Chloride in the Reproductive Tract of Male Mice

  • Choe, Eun-Sang;Kim, Kuk-Ryul;Yee, Sung-Tae;Kim, Myung-Hoon;Min, Byung-Woon;Cho, Hyun-Woo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53-159
    • /
    • 2003
  • Localization of mercury compounds was investigated in selective regions of the male reproductive tract using autometallograph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ercury was observed in Sertoli and Leydig cells in testis, but not in the epithelial cells of rete testis and germ cells. In the efferent ductule, mercury compounds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ic compartments of epithelial cells in the proximal and common regions, while they were observed in the supranuclear cytoplasmic compartments in the conus region. In the epididymis, the compounds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ic compariments of narrow and basal cells, but not in the principal cells of the initial segment. In contrast, the compounds were evenly detected in the cytoplasmic compartments of principal cells in the caput. In the corpus and caudal epididymis, the compounds were observed in the basal region of principal cells. The data shows that mercury is differentially accumulated in the male reproductive tract in a region-specific manner.

중추신경계통 내 분포하는 zinc 이온의 조직화학적 동정법 비교: I. 광학현미경수준에서 (Detection Methods of Histochemically-reactive Zinc in the CNS at the Light Microscopical Level)

  • 김이석;김상현;이법이;이현숙;김성주;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29-34
    • /
    • 2008
  • 본 연구자는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ZnSe^{AMG}$) (Danscher et al., 1997) 염색법을 중심으로 중추신경계통 내 zinc ($Zn^{2+}$)의 분포와 이들을 함유하고 있는 신경종말, 소위 ZEN(zinc-enriched) terminals의 미세구조에 관하여 보고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다른 몇 가지, 즉 Neo-Timm staining (Danscher, 1982), TSQ fluorescence staining (Frederickson et al.,1987), Zinc transporter-3 Immunohistochemistry ($ZnT3^{IHC}$) (Palmiter et at., 1997) 염색법으로 흰쥐 해마복합체에 분포하는 $Zn^{2+}$를 염색한 후 이들의 염색패턴에서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ZnSe^{AMG}$ 염색법은 $Zn^{2+}$에 대한 특이성은 다소 떨어지나 광학 및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이 가능하며, 반영구적인 표본으로 보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고, TSQ는 $Zn^{2+}$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그 염색법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형광물질의 안정성과 표본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 Neo-Timm 염색법은 TSQ형광염색법과 유사한 염색 패턴을 보였으며, $ZnT3^{IHC}$염색법은 오히려 $ZnSe^{AMG}$에 가까운 염색의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추신경계통 내 $Zn^{2+}$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우스 비장내 수은의 미세구조적 위치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Mercury in Spleen of the Mouse)

  • 조현욱;김명훈;이성태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551-561
    • /
    • 1998
  • The autometallographic method was used to demonstrate the localization of mercury deposits in spleen of mouse. The mercury deposits were identified with the light and electron mocroscope. Mice were treated with methylmercuric chloride in the drinking water (demineralized water) for 40 days. Control and mercury treated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body weight and spleen weight per one mouse. Mercury grains were appeared in the germinal center of white pulp consist of a preponderancing lymphocytes, not in red pulp and capsule. At the ultrastructural level, mercury deposits were restricted to lysosomes of macrophage and lymphocyte. Specially, volume in lysosomes of the macrophage was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rcury localization in lysosomes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immune activity.

  • PDF

랫드 후각점막내 Zinc 이온의 조직화학적 동정 (Histochemical Detection of Ionic Zinc in the Rat Olfactory Mucosa: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ZnSe^{AMG}$))

  • 남동우;손원재;김성주;김용국;김수진;유윤조;정영길;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2호
    • /
    • pp.145-154
    • /
    • 2003
  • 본 연구는 후각점막에 내재하는 zinc의 분포를 형태학적으로 뚜렷이 보여준 예가 없기에 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한 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이들의 분포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성숙한 수컷 랫드(SD 계통)를 사용하였다. 우선 동물은 전신마취시킨 후 만들어진 selenium 용액 $100{\mu}l$를 복강에 주사하였고(i.p 실험군), 다른 방법으로는 selenium 용액 $100{\mu}l$를 비강 깁숙히 플라스틱관을 삽입한 후 Hamilton 주사기로 한 방울씩 떨어뜨렸다(i.n 실험군). 후각점막내 zinc를 조직화학법으로 동정하기 위해서 zinc 특이성이 높은 AMG법(Danscher, 1985)을 이용하였다. 각 실험군의 동물은 주사 후 2시간에 이르러 3% Glutaraldehyde 고정액으로 관류함으로써 희생시켰다. 고정후 비중격을 포함하여 후각부위를 떼어낸 수 $30{\mu}l$ 두께의 관상절편을 만들었다. AMG 반응이 끝나면 toluene blue (TB)로 대조염색하고, 알코올과 자일렌 등을 이용한 탈수과정 및 청명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전자현미경적 절편을 만들기 위해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한 실험으로 vibratome을 사용하여, $100{\mu}m$ 두께의 가로절편을 만들었고, AMG염색이 끝나면 일반적인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투과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Selenium 용액을 복강에 투여한 i.p 실험군에서는 $30{\mu}m$ 두께의 후각점막의 상층부와 기저부에서 강한 AMG 반응산물(silver grains)이 관찰되었으나 기저막아래 고유판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selenium 용액을 비강점막에 직접 도포한 i.n 실험군에서는 i.p 실험군과 같이 후각점막에서 강한 AMG 반응이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반응이 기저막내 후각실의 주행을 따라 관찰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후각상피에서는 AMG 과립이 지지세포의 세포 상층부에서 관찰되는 분비과립에 국한되는 소견이며, 이곳에서 관찰된 AMG은 과립(silver grains)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반면 세포체 하부에서 관찰된 AMG grains은 주로 용해소체위에서 밀집되어 관찰되었으며, 핵주변부 및 세포사이공간(intercellular space)에서는 AMG grains이 낱개로 구분, 관찰되었다. 한편 i.n 실험군에서 관찰된 후각점막의 전반적인 구조가 손상된 소견을 보였으며, 지지세포의 위쪽에서는 전자밀도가 높고 간상의 crystalloid structure가 다수 관찰되었고, 이들 구조에 다수의 AMG 과립이 붙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랫드 후각점막에 존재하는 zinc는 지지세포의 분비과립과 후각세포의 축삭다발인 후각실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zinc가 후각기능과 매우 밀접한 관련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향후 후각기능과 zinc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후각점막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에서 zinc가 영위하는 신경생물학적 기능을 밝히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