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 classification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9초

Classification of HTTP Automated Software Communication Behavior Using a NoSQL Database

  • Tran, Manh Cong;Nakamura, Yasuhiro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2호
    • /
    • pp.94-99
    • /
    • 2016
  • Application layer attacks have for years posed an ever-serious threat to network security, since they always come after a technically legitimate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In recent years, cyber criminals have turned to fully exploiting the web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to launch a variety of forbidden or illicit activities by spreading malicious automated software (auto-ware) such as adware, spyware, or bots. When this malicious auto-ware infects a network, it will act like a robot, mimic normal behavior of web access, and bypass the network firewall or intrusion detection system. Besides that, in a private and large network, with hug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traffic generated each day, communication behavior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auto-ware is a challenge. In this paper, based on a previous study, analysis of auto-ware communication behavior, and with the addition of new features, a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HTTP auto-ware communication is proposed. For that, a Not Only Structured Query Language (NoSQL) database is applied to handle large volumes of unstructured HTTP requests captured every day. The method is tested with real HTTP traffic data collected through a proxy server of a private network, providing good results in the classification and detection of suspicious auto-ware web access.

도로교통 이머징 리스크 탐지를 위한 AutoML과 CNN 기반 소프트 보팅 앙상블 분류 모델 (AutoML and CNN-based Soft-voting Ensemble Classification Model For Road Traffic Emerging Risk Detection)

  • 전병욱;강지수;정경용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4-20
    • /
    • 2021
  • 겨울철 도로 결빙으로 인한 사고는 대부분 큰 사고로 이어진다. 이는 운전자가 도로의 결빙을 사전에 자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AutoML과 CNN의 앙상블 모델을 이용하여 도로교통 이머징 리스크를 정확하게 탐지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비정형 데이터인 이미지를 이용한 CNN 이미지 특징 추출 기반 도로교통 이머징 리스크 분류 모델과 정형 데이터인 기상 데이터를 이용한 AutoML 기반 도로교통 이머징 리스크 분류 모델을 각각 학습시킨다. 그 후 모델들에서 도출된 확률값을 입력하여 CNN 기반 분류 모델을 보완하도록 앙상블 모델을 설계한다. 이를 통해 도로교통 이머징 리스크 분류 성능을 향상하고 더 정확하고 빠르게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Scale Invariant Auto-context for Object Segmentation and Labeling

  • Ji, Hongwei;He, Jiangping;Yang, X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8호
    • /
    • pp.2881-2894
    • /
    • 2014
  • In complicated environment, context infor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age segmentation/labeling. The recently proposed auto-context algorithm is one of the effective context-based methods. However, the standard auto-context approach samples the context locations utilizing a fixed radius sequence, which is sensitive to large scale-change of objects. In this paper, we present a scale invariant auto-context (SIAC) algorithm which is an improved version of the auto-context algorithm. In order to achieve scale-invariance, we try to approximate the optimal scale for the image in an iterative way and adopt the corresponding optimal radius sequence for context location sampling, both in training and testing. In each iteration of the proposed SIAC algorithm, we use the current classification map to estimate the image scale, and the corresponding radius sequence is then used for choosing context locations. The algorithm iteratively updates the classification maps, as well as the image scales, until convergence. We demonstrate the SIAC algorithm on several image segmentation/labeling tasks. The results demonstrate improvement over the standard auto-context algorithm when large scale-change of objects exists.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의 주기성 검출에 의한 손상 분별 (The Damage Classification by Periodicity Detection of Ultrasonic Wave Signal to Occur at the Tire)

  • 오영달;강대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07-111
    • /
    • 2010
  • 차량 주행 중에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손상 물질에 의한 타이어의 손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손상이 있는 타이어는 회전 주기성이 있는 초음파 신호가 발생하므로 주기성을 검출하기 위해 포락선 검출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자기상관함수를 사용하였다. 실험에서는 손상된 타이어의 1회전 시간과 자기상관함수를 이용해 구한 주기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타이어의 손상 유무를 분별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Based on Deep Residual Auto-Encoder and Support Vector Machine

  • Xue Han;Wenzhuo Chen;Changjian Zhou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13-23
    • /
    • 2024
  • Music brings pleasure and relaxation to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musical genres based on scenes. Identifying favorite musical genres from massive music data is a time-consuming and laborious task.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effective in distinguishing between various musical genres. However, meeting the actual requirements in terms of accuracy or timeliness is challenging. In this study, a hybrid machine learning model that combines a deep residual auto-encoder (DRAE)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for musical genre recognition was proposed. Eight manually extracted features from the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 were employed in the preprocessing stage as the hybrid music data source. During the training stage, DRAE was employed to extract feature maps, which were then used as input for the SVM classifier.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is method achieved a 91.54% F1-score and 91.58% top-1 accuracy, outperforming existing approaches. This novel approach leverages deep architecture and convention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provides a new horizon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tasks.

베이지안 최적화를 이용한 암상 분류 모델의 하이퍼 파라미터 탐색 (Hyperparameter Search for Facies Classification with Bayesian Optimization)

  • 최용욱;윤대웅;최준환;변중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3권3호
    • /
    • pp.157-167
    • /
    • 2020
  •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물리탐사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인 머신러닝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활용한 연구는 이미지, 비디오, 음성, 자연어 등 다양한 태스크의 추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복잡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고 있고, 더 나아가 자료의 특성, 알고리즘 구조 및 하이퍼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위한 자동 머신러닝(AutoML) 분야로 그 폭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utoML 분야 중에서도 하이퍼 파라미터(hyperparameter) 자동 탐색을 위한 베이지안 최적화 기술에 중점을 두었으며, 본 기술을 물리탐사 분야에서도 암상 분류(facies classification) 문제에 적용했다. Vincent field의 현장 물리검층 및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암상 및 공극유체를 분류하는 지도학습 기반 모델에 적용하였고, 랜덤 탐색 기법의 결과와 비교하여 베이지안 최적화 기반 예측 프레임워크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ResNet-Variational AutoEncoder기반 변종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Variant Malware Family Based on ResNet-Variational AutoEncoder)

  • 이영전;한명묵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
    • /
    • 2021
  •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악성코드는 도메인 전문가에 의해 추출된 특징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 기반의 분석방식은 분석가의 역량에 의존적이며 기존의 악성코드를 변형한 변종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메인 전문가의 개입 없이도 변종 악성코드의 패밀리를 분류할 수 있는 ResNet-Variational AutoEncder 기반 변종 악성코드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Variational AutoEncoder 네트워크는 입력값으로 제공되는 훈련 데이터의 학습 과정에서 데이터의 특징을 잘 이해하며 정규 분포 내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ariational AutoEncoder의 학습 과정에서 잠재 변수를 추출을 통해 악성코드의 중요 특징을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훈련 데이터의 특징을 더욱 잘 학습하고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이 학습을 수행했다. ImageNet Dataset으로 사전학습된 ResNet-152 모델의 학습 파라미터를 Encoder Network의 학습 파라미터로 전이했다. 전이학습을 수행한 ResNet-Variational AutoEncoder의 경우 기존 Variational AutoEncoder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학습의 효율성을 제공하였다. 한편 변종 악성코드 분류를 위한 방법으로는 앙상블 모델인 Stacking Classifier가 사용되었다. ResNet-VAE 모델의 Encoder Network로 추출한 변종 악성코드 특징 데이터를 바탕으로 Stacking Classifier를 학습한 결과 98.66%의 Accuracy와 98.68의 F1-Score를 얻을 수 있었다.

자율주행을 위한 라이다 기반 객체 인식 및 분류 (Lidar Based Object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 변예림;박만복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30
    • /
    • 2020
  • Recently, self-driving research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various institutions. Accurate recognition is important because information about surrounding objects is needed for safe autonomous driving.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e signal processing of LiDAR among sensors for object recognition. LiDAR is a sensor that is widely used for high recognition accuracy. First, we clustered and tracked objects by predicting relative position and speed of objects.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all objects were extracted using point cloud data of each objects through proposed algorithm. The Classification between vehicle and pedestrians is estimated using number of characteristic points and distances among characteristic points. The algorithm for classifying cars and pedestrians was implemented and verified using test vehicle equipped with LiDAR sensors. The accuracy of proposed object classification algorithm was about 97%.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improved by about 13.5% compared with deep learning based algorithm.

Auto Regressive모델링 기반의 특징점 추출과 Support Vector Machine을 통한 조기수축 부정맥 분류 (Feature Extraction based on Auto Regressive Modeling and an Premature Contraction Arrhythmia Classifica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 조익성;권혁숭;김주만;김선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7-126
    • /
    • 2019
  • 부정맥 분류를 위한 기존 연구들은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신경망, 퍼지, 시계열 주파수 분석, 비선형 분석법 등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은 분류율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확한 특징점과 많은 양의 신호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가공 및 연산이 복잡하며, 다양한 부정맥을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R(Auto Regressive) 모델링 기반의 특징점 추출과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통한 조기수축 부정맥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잡음을 제거한 ECG 신호에서 R파를 검출하고 QRS와 RR 간격의 특정 파형 구간을 모델링하였다. 이후 최적 세그먼트 길이(n1, n2), 최적 차수( p1, p2)의 4가지 AR 모델링 변수를 추출하고 SVM을 통해 Normal, PVC, PAC를 분류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한 R파의 평균 검출 성능은 99.77%, Normal, PVC, PAC 부정맥은 각각 99.23%, 97.28, 96.62의 평균 분류율을 나타내었다.

SHAP 분석 기반의 넙치 질병 분류 입력 파라미터 최적화 (Optimizing Input Parameters of Paralichthys olivaceus Disease Classification based on SHAP Analysis)

  • 조경원;백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31-1336
    • /
    • 2023
  • 머신러닝을 이용한 텍스트 기반 어류 질병 분류에서 머신러닝 모델의 입력 파라미터가 너무 많은 문제가 존재하지만, 성능의 문제로 임의로 입력 파라미터를 줄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SHAP 분석 기법을 활용해 넙치 질병 분류에 특화된 입력 파라미터 최적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은 SHAP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넙치 질병 문진표에서 추출한 질병 정보의 데이터 전처리와 AutoML을 활용한 머신러닝 모델 평가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AutoML의 입력 파라미터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의 입력 파라미터 조합을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 방법은 필요한 입력 파라미터 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기존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텍스트 기반 넙치 질병 분류의 효율성 및 실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