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reobasidium pullulans P-1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알코올 발효성 야생 효모, Aureobasidium pullulans P-1의 균학적 특성과 막걸리 발효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coholfermenting Wild Yeast, Aureobasidium pullulans P-1 and Its Makgeolli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 홍용철;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7-314
    • /
    • 2018
  • 본 연구는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한 야생 효모를 막걸리 발효에 응용할 목적으로 충남 예산군 예당저수지 야생화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야생 효모들 중 에탄올 생산 우수 효모로 선발한 Aureobasidium pullulans P-1의 균학적 특성과 막걸리 발효 조건을 조사하였다. A. pullulans P-1는 출아에 의해 영양증식을 하였고 자낭포자를 생성하는 유포자 효모로서 내당성과 에탄올 내성이 강한 호염성 야생 효모이었다. A. pullulans P-1의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배양액을 주모로 증자미와 입국과 물이 혼합된 술밑에 5% 첨가한 후 $25^{\circ}C$에서 1~10일간 발효시키면서 발효 중의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에탄올 함량은 $25^{\circ}C$로 10일간 발효시켰을 때 가장 많은 8.45%를 생성하였고 관능 특성이 우수하였으며 항고혈압 활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71.1%로 높았다.

배양액의 pH가 Aureobasidium pullulans의 풀루란 생성과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on the Elaboration of Pullulan and the Morphology of Aureobasidium pullulans)

  • 신용철;변시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199
    • /
    • 1991
  • The effects of pH on the cell growth, the elaboration of pullulan, and the morphology of Aureobasidium pullulans IFO 4464 were examined. A. pulluans grew in yeast-like form at constant pH7.5 and in mycelial form at constant pH2.5. At the both pH conditions, the elaboration of pullulan was very low, about 6.0~6.5g/l. The mixture of yeast-like form and mycelial form of cells was found at the constant pH4.5, at which condition, the elaboration of pullulan was high, about 24.5g/l. The pH shift experimemts showed that the specific production rates of pullulan were 0.048($hr^{-1}$)for the mycelial form and 0.058($hr^{-1}$)for the yeast like form, which indicated that the yeast-like form has the similar, only slightly higher, biosynthetic activity of pullulan to the mycelial form at pH4.5 and the pH of culture broth is more important factor for the elaboration of pullulan than the morphology of A. pullulans.

  • PDF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균주를 사용한 풀루란의 대량 생산을 위한 파이롯트 규모에서 용존산소와 관련된 조건의 최적화 (Pilot-scale Optimization of Parameters Related to Dissolved Oxygen for Mass Production of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 고와;김이준;정정한;이잔홍;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33-1442
    • /
    • 2010
  •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균주를 사용하여 풀루란을 대량 생산을 위하여 7 l 및 100 l 생물배양기를 사용하여 용존산소와 관련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풀루란의 생산에 최적인 탄소원과 질소원은 각각 50.0 g/l 포도당 및 2.5 g/l 효모추출물이었으며 플라스크 규모에서의 풀루란 변환율은 37%이었다. 풀루란 생산 균주의 생장에 최적인 배지의 초기 pH 및 배양온도는 7.5 및 30oC이었으나 풀루란의 생산에 최적인 배지의 초기 pH 및 배양 온도는 각각 6.0 및 $25^{\circ}C$이었다. 7 l 생물배양기에서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균주의 생육에 최적인 교반속도 및 통기량은 각각 600 rpm 및 2.0 vvm이었으나 풀루란 생산에 최적인 조건은 각각 500 rpm 및 1.0 vvm이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풀루란의 생산농도는 18.13 g/l이었다. 100 l 생물배양기에서 풀루란 생산 균주의 생장에 최적인 내압은 0.0 kgf/$cm^2$이었으나, 풀루란 생산에 최적인 내압은 0.4 kgf/$cm^2$이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풀루란의 생산 농도는 22.89 g/l이었다. 이는 내압이 없는 상태에 비하여 풀루란의 생산 농도가 1.38배 증가한 것이다.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플루란 생산에서 pH와 질소원의 영향 (Effects of pH and Nitrogen sources on the Pullulan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나건;이기영;박돈희
    • KSBB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497-503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질소원의 종류와 농도 그리고 pH가 플루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A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플루란 생산시 가장 좋은 질소원으로는 수율 62%를 얻은 peptone 이었고, 최적 질소원 농도는 유기질소원의 경우 탄 소원/질소의 비가 50j0.15N이었고 그 이상에서는 저해가 일어났다. 훈합질소원 I, II, III을 사용하 였을 때 각각 29.1, 27.4, 26.5g/L의 플루란 생산량 을 보였다. 그러므로, 혼합 질소원을 잘 이용하면 플 루란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pH를 조절하 지 않을 때가 pH를 일정하게 할 때보다는 플루란 수율이 높았다. 또, 유가식배양시 탄소원과 질소원을 함께 공급하였을 때가 질소원만을 공급하였을 때 더 큰 플루란 수율을 보였다.

  • PDF

Strain Selection and Optimization of Mixed Culture Conditions for Lactobacillus pentosus K1-23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nd Aureobasidium pullulans NRRL 58012 Producing Immune-Enhancing β-Glucan

  • Sekar, Ashokkumar;Kim, Myoungjin;Jeong, Hyeong Chul;Kim, 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5호
    • /
    • pp.697-706
    • /
    • 2018
  • Lactobacillus pentosus K1-23 was selected from among 25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owing to its hig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everal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 gallinarum,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Clostridium perfringen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dditionally, among 13 strains of Aureobasidium spp., A. pullulans NRRL 58012 was shown to produce the highest amount of ${\beta}$-glucan ($15.45{\pm}0.07%$) and was selected. Next, the optimal conditions for a solid-phase mixed culture with these two different microorganisms (one bacterium and one yeast) were determined. The optimal inoculum sizes for L. pentosus and A. pullulans were 1% and 5%, respectively. The appropriate inoculation time for L. pentosus K1-23 was 3 days after the inoculation of A. pullulans to initiate fermentation. The addition of 0.5% corn steep powder and 0.1% $FeSO_4$ to the basal medium resulted in the increased production of lactic acid bacterial cells and ${\beta}$-glucan. The following optimal conditions for solid-phase mixed culture were also statistically determined by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 $37.84^{\circ}C$, pH 5.25, moisture content of 60.82%, and culture time of 6.08 days for L. pentosus; and $24.11^{\circ}C$, pH 5.65, moisture content of 60.08%, and culture time of 5.71 days for A. pullulans. Using the predicted optimal conditions, the experimental production values of L. pentosus cells and ${\beta}$-glucan were $3.15{\pm}0.10{\times}10^8CFU/g$ and $13.41{\pm}0.04%$, respectively. This mixed culture may function as a highly efficient antibiotic substitute based on the combined action of its anti-pathogenic bacterial and immune-enhancing activities.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Aureobasidium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ivation conditions for pullulan production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MR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조혜미;김예진;유상호;김창무;김계원;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95-2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배양 조건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시간과 온도에 따른 건조된 균체량과 풀루란 생산량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기존의 AYS배 지내 탄소원과 혼합질소원 변화에 따른 풀루란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sucrose와 ammonium sulfate, soy peptone을 본 실험의 최적 탄소원과 혼합질소원으로 결정하였으며, 그 후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탄소원인 sucrose와 질소원인 soy pepetone의 최적 농도와 최적 초기 pH를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교하였을 때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세가지 변수 중 특히 초기 pH가 풀루란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A. pullulans MR을 26℃에서 5일간 배양할 경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얻은 최적 배양 조건은 sucrose 15%, soy peptone 0.4%, 초기 pH 7이였으며, 위의 배양 조건에서 예측할 수 있는 풀루란의 최대생산량은 47.6 g/L이었다. 이후 확인 실험을 위해 A. pullulans MR을 동일 조건으로 배양한 뒤 풀루란의 생산량을 관찰한 결과 48.9±3.4 g/L로 예측된 값과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sucrose의 경우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도 A. pullulans의 풀루란 생산을 위한 탄소원으로 보고가 되었지만, 배지내 sucrose의 함량이 5%를 초과하게 될 경우 오히려 풀루란의 생성을 저해한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가 있다(Shin 등, 1987b). 이는 배지내 sucrose의 함량이 높아 질수록 sucrose의 농도에 의한 삼투압 현상과 낮은 수분활성도로 인해 발생하며(Singh 등, 2009b), sucrose뿐만 아니라 glucose와 maltose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내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Shin 등, 1987a). 하지만 이러한 보고들과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sucrose의 함량을 5%에서 15%까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풀루란의 생산이 오히려 증가하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초기 배지의 pH의 경우 A. pullulans 균주에 따라 최적 pH가 pH 3.8부터 pH 7.5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Singh 등, 2018a; Wang 등, 2013; Shin 등, 1991) A. pullulans MR의 경우 비교적 중성인 pH 7에서 가장 많은 양의 풀루란이 생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 A. pullulans MR의 풀루란 대량생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식품, 화장품, 제약 등 여러 광범위한 분야에서 미생물 유래 다당류인 풀루란의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Effect of pH on the elaboration of pullulan and the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김정화;;김미령;이지현;김성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380-383
    • /
    • 2000
  • 불완전 곰팡이의 일종인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42023 균주를 이용한 pullulan의 최적조건 및 pH 조절에 따른 pullulan의 생성 그리고 균체형태와 고분자 pullulan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삼각플라스크 내에서 최대의 pullulan 생산은 초기 pH 6.5일때 11.98 g/l의 pullulan을 생산하였고, 회분식 발효에서는 산소 공급속도 0.5 vvm일때 15.16 g/l의 최대의 pullulan생산량을 나타내었다. pH조절에 따른 실험에서는 pH 4.5일때 13.31 g/l의 pullulan 생산량을 보였고, 이때 균체의 형태는 효모형과 균사형태의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분자량 생성면에서는 pH 6.5일때 100만 이상의 고분자가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 PDF

Aureobasidium pullulans 에 의한 Exopolysaccharide 생산 - 멜라닌 색소의 출현에 관한 연구 -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Appearance of Melanin Pigment -)

  • 김재형;이기영;강성홍
    • KSBB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34-142
    • /
    • 1989
  •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세포외 다속류 생성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sucrose 농도가 50 g/l 이상일 때는 기질에 의한 저해 작용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았으며 실소원의 증가에 따라서 균체량은 증가하지만 세포외 다속류 생성은 최적농도 (1 g/l )까지 증가하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했으며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은 길어졌다. (2) 최대 균체 성장은 초기 pH 3.0에서 보인 반면에 세포외 다속류 생성은 초기 pH 7.5에서 최대 값은 나타내었고 최대 PH가 증가함에 따라서 효모형 비율이 증가했으며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은 pH 4.5~8까지는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지만 pH 3 이하에서는 전혀 멜라닌 색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탄소원과 실소원을 증가시켰을 때 pH 5 이하에서는 멜라닌 색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H 6에서 pH 8.5 로 pH가 높아짐에 따라 멜라닌 색소는 빨리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4) 용존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균체량과 세포외 다속류 생성이 증가했고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이 빨라졌으며 potassium phosphate가 전혀 들어있지 않는 배지에서는 멜라닌 색소 출현은 관찰할수가 없었다.

  • PDF

Effect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and pH on the Mass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LEE, JI-HYUN;JEONG-HWA KIM;MI-RYUNG KIM;SUNG-MI LIM;SOO-WAN NAM;JIN-WOO LEE;SUNG-KOO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02
  • The effects of DO and pH on the mass production of pullulan with high molecular weight and the morphology of A. pullulans ATCC 42023 were evaluated. A. pullulans showed a maximum production of pullulan (11.98 g/l) when the initial pH of the culture broth was 6.5 in a shake-flask culture. In a batch culture, the mixture of a yeast-like and mycelial cell forms was found at a pH of 4.5, and the maximum production of pullulan (13.31 g/l) was obtained. However, a high propor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M.W.>2,000,000) was produced at a pH of 6.5, with a yeast-like morphology. The maximum pullulan production yield ($51\%$) was obtained at a pH noncontrol (initial pH 6.5) and DO control (above $50\%$) condition. Pullulan degrading enzyme was activated when the pH of the broth was lower than 5.0 and the portion of low molecular weight pullulan was increased. The formation of a black pigment was observed at an initial stationary phase, at 40 h of fermentation. Therefore, the ferment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a pH noncontrol (initial pH of 6.5) and DO control (above $50\%$) condition, and should be harvested before reaching the stationary phase (around 40 h) for the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Polycan, β-glucan Originating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on Bone Biomarkers in Healthy Women

  • Kim, Jong Dae;Park, Mi Yeon;Kim, Joo Wan;Kim, Ki Young;Cho, Hyung Rae;Choi, In Soon;Choi, Jae Suk;Ku, Sae Kwang;Park, Soo-Ji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0-336
    • /
    • 2015
  • Polycan originating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is mostly composed of β-1, 3/1, 6 glucans and possesses an anti-osteoporotic effect. We conducted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to examin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polycan on bone biochemical markers in healthy perimenopausal women. Sixty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2 groups-group 1 received 400 mg of polycan and group 2 received placebo-these were administered once daily for 28 days. Fasting blood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baseline and 4 weeks after treatment. The primary outcome was change in osteocalcin (OSC) and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ALP). Changes in calcium (Ca), phosphorus (P), C-telopeptide of collagen cross-links (CTx), N-telopeptide of collagen cross-links (NTx), and deoxypyridinoline (DPYR) were the secondary outcomes. A safety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adverse event (AE) and laboratory data. After 4 weeks of polycan treatment, OSC, DPYR, and BALP levels changed (P < 0.05) significantly from baseline in both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ny markers between the 2 groups, except for P (P < 0.05). Interestingly, group 2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Tx (65.2%, P < 0.05), while CTx in group 1 slightly increased (17.2%).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E. Although 4 weeks of polycan treat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ne metabolism biomarkers, increases in CTx were modestly inhibited by polycan. Further studies in a large population and longer treatment period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 of polycan on bone turnover.